항목

  • 다다이즘 Dadaism
    이 운동이 다다이즘으로 불리게 된 것은 1916년 취리히의 볼테르 카바레에서 모임을 가졌던 젊은 예술가와 반전주의자들이 우연히 사전에서 '다다'라는 단어를 발견하면서부터이다. 그들은 이 단어가 정통주의 미학에 반기를 든 자신들의 예술활동과 반전운동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다고 여겼다. 다다이즘의 선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문화 일반
  • 다다이즘
    1920년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난 비합리적이고 비도덕적인 문예사조.|연원 및 변천 ‘다다(dada)’라는 용어를 지어낸 사람이 누구인지, 또한 그 용어의 의미가 무엇인지는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다이즘을 한 시기의 중요한 예술사조로 자리잡게 한 데에는 스위스 취리히에 거주하는 루마니아 태생의 시...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다다이즘 Dadaism
    1920년대 전반까지 유럽과 미국에서 성행한 반문명적·반전통적 예술 운동 다다이즘은 문명 활동의 결과 세계1차대전의 비극이 일어난 것에 분노를 느껴 문명을 비판한 것에서 출발하였다. 1차세계대전 중 중립국 스위스는 반정부적 예술가들에 대한 박해가 적어 다다이즘의 발생지가 되었고, 스위스 취리히에서 후고 발...
  • 다다이즘 dadaism
    1910년대 중반 이후 유럽의 전위적인 예술가들이 관습적인 예술에 반발하면서 본능과 불합리성을 추구한 문화 운동. 이야기와 논리를 부정하고 사람과 사물에 대한 새로운 조망과 시각을 제공했는데 모나리자 그림에 콧수염을 그린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작품에서 보듯 예술 개념을 조롱하는 반예술적 표현이 ...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다다이즘 dadaism
    1920년대에 프랑스, 독일, 스위스의 전위적인 미술가와 작가들이 본능이나 자발성, 불합리성을 강조하면서 기존 체계와 관습적인 예술에 반발한 문화 운동. '다다'(어린이가 갖고 노는 말 머리가 달린 장난감)라는 말은 우연히 사전에서 선택된 어휘인데, 어린이를 닮고 싶은 욕망과 인간의 충동을 암시한다. 다다이스트...
    도서 영화사전 | 태그 영화 , 문화 일반
  • 다다이즘 Dada, ダダイスム
    반도덕, 반예술을 표방한 예술 사조이자 실존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반문명, 반전통적, 허무주의 예술 운동으로 기존의 모든 가치나 질서를 철저히 부정하고 야유하였으며 기존의 규범적 예술 영역을 넘어섰다. 1915년에 시작해서 독일을 거쳐 중부 유럽으로 퍼져 나갔으며, 1920년과 1923년 사이 프랑스 파리에서 전성기...
    도서 위키백과
  • 제1차 대전 이전의 문화 (관련어 다다이즘)
    입체파 19세기 말 인상파 미술을 이어받아 20세기 초에는 야수파와 입체파 미술이 등장하였다. 강렬한 색깔의 대비를 강조하는 야수파가 '색채의 혁명'이었다면 입체파는 '형태의 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입체파는 기존의 물체의 모양을 분석하고 해부하여 새롭게 구성한 것이 그 특징이다. 입체파의 대가는 피카소와 ...
  • Dada 다다이즘, ダダイスム
    Dada or Dadaism was an art movement of the European avant-garde in the early 20th century. Dada in Zürich, Switzerland, began in 1916 at Cabaret Voltaire, spreading to Berlin shortly thereafter, but the height of New York Dada was the year before, in 1915. The term anti-art, a precursor to Dada,...
  • 20세기 서양회화
    그는 '색채는 형태인 동시에 주제'라고 믿고 1911년 〈동시성-창문〉 연작에서 광선과 색면을 병치한 추상적인 구성을 제작했다. 환상과 비합리성 다다이즘은 제1차 세계대전중 취리히에 피난온 화가 장 아르프, 문인 트리스탄 차라, 휴고 발이 중심이 되어 일어난 반예술운동이다. 그것은 당시 기존체제에 대한 환멸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화 , 미술
  • 네오다다 Neo-Dada, ネオダダ
    네오다다(Neo-Dada), 신다다, 네오 다다이즘(Neo­Dadaism)은 초기 다다이즘 작품의 의도와 비슷한 방식을 지닌 청각, 시각, 문학적 표현 운동이다. 유의어로 반예술 운동이라고 한다. 미국에서 네오다다는 1960년대에 바바라 로즈에 의해 보급되었으며, 그린다고 하는 행위를 지상(至上)으로 삼은 액션 페인팅에 대하여...
    도서 위키백과
  • 한스 리히터 요하네스 지크프리트 리히터, Hans Richter
    그곳에서 많은 전위적인 예술가들과 진보적인 지식인들과 교류하는데, 특히 스웨덴 출신의 비킹 에겔링(Viking Eggeling)에게 추상화 방법론을 배우고 다다이즘(Dadaism) 운동에 참여하게 된다. 이후 리히터의 화풍은 움직임의 해체를 바탕으로 한 급진적 추상화로 방향을 바꾼다. 한편, 리히터는 1920년대에는 다다이즘...
    출생 :
    1888년 4월 6일, 독일 베를린
    사망 :
    1976년 2월 1일, 스위스 로카르노
    본명 :
    요하네스 지그프리드 리히터(Johannes Siegfried Richter)
    수상 :
    1947년 베니스 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 노미네이트(<돈으로 살 수 있는 꿈들>)
    데뷔 :
    <리듬 21>(Rhythmus 21 / Rhythm 21, 1921)
  • 초현실주의 超現實主義
    시도하는 1920년대의 사상운동 또는 전위적 예술사조이다. 그 기조는 낭만주의 원리의 재확인인 동시에 상징주의와도 접맥되며, 직접적인 선행 사조는 다다이즘(dadaism)과 입체파라고 할 수 있다. 다다이즘은 1916년, 취리히에서 루마니아의 시인 트리스탄 차라(Tristan Tzara)에 의해 창간된 ≪캬바레 볼테르≫지(誌...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현대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막간〉(Entr'acte, 1924), 감독: 르네 클레르(René Clair)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