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니케포루스 1세 Saint Nicephorus I
    축일은 3월 13일. 그리스 정교회 신학자, 역사가,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806~815). (그). Nikephoros.|그가 쓴 비잔틴사 연대기들과 비잔틴의 성상숭배를 옹호한 책들은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초기 그리스도교 사상과 관행에 관한 자료들을 제공해 준다. 보수적인 정교를 믿던 니케포루스 가정은 이사우리아 ...
    출생 :
    758경, 콘스탄티노플
    사망 :
    829. 6. 2, 소아시아 칼케돈 근처 비시니아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니키포로스 1세 (관련어 니케포루스 1세) Nikephoros I, ニケフォロス1世
    출처 필요왕 정보 니키포로스 1세는 802년부터 811년까지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다. 여제 이리니가 폐위되고 황제가 되었으나 불가르족과의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니키포로스의 조상은 아랍인으로 가산 왕국의 자발라 왕의 후손이라고 한다. 이리니에 의해서 궁정의 재무대신이 되었고 802년 궁정 쿠테타로 여제 이레네를...
    도서 위키백과
  • Nikephoros I 니케포루스 1세, ニケフォロス1世
    Nikephoros I or Nicephorus I, also Logothetes or Genikos (Nikēphoros I, "Bringer of Victory"; died July 26, 811), was Byzantine Emperor from 802 to 811 AD, when he was killed in the Battle of Pliska.A patrician from Seleucia Sidera, Nikephoros was appointed finance minister (logothetēs tou geni...
  • 니키포로스 1세 Nikēphoros I
    그뒤 임시협정을 맺어 샤를마뉴를 황제로 인정하는 대신 분쟁지역을 돌려받기로 했다. 협정의 자세한 내용은 2년 뒤, 즉 니키포로스의 사위인 미카엘 1세가 왕위에 오르고 나서 완성되었다. 807~809년 비잔티움 북쪽 국경을 유린하던 불가르족에 대항하는 조직적 활동을 펴나갔다. 811년 불가리아 칸[汗] 크룸이 몇 번...
    출생 :
    ?, 셀레우키아
    사망 :
    811. 7. 26, 불가리아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니키포로스 2세 Nikephoros II Phokas
    했으나 이 정책은 비잔티움을 위험에 빠뜨렸으며 그가 죽은 뒤에는 특히 심한 위기까지 몰고 갔다. 또한 카롤링거 왕조의 영광을 되살린 신성 로마 황제 오토 1세의 팽창정책을 막기 위해 오토의 황제칭호를 인정하지 않았고 이탈리아에서 비잔티움 제국의 입지를 강화하려 애써 다소 성공을 거두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출생 :
    912, 카파도키아
    사망 :
    969. 12. 10/11,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브리엔니우스 Nicephorus Bryennius
    황제 알렉시우스 1세 콤네누스를 카이사르라고 불러 총애를 받았다. 그는 제1차 십자군의 지휘관인 부용의 고드프루아에 맞서 콘스탄티노플을 성공적으로 지켜냄으로써(1097) 알렉시우스가 고드프루아와 협상하는 데 일조했다. 또한 그는 알렉시우스와 안티오크 군주 보에몽의 평화협상을 처리했으며(1108), 이코니움의...
    출생 :
    1062, 비잔틴 아드리아노플
    사망 :
    1137,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 니키포로스 2세 포카스 Nikephoros II Phokas, ニケフォロス2世フォカス
    니케포루스는 황후 테오파노와 결혼하였다. 그러나 이 결혼은 몇 가지 종교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니키포로스는 이미 사별한 아내가 있었고 그때 평생 독신으로 살겠다고 맹세하였으며 테오파노의 자식들의 대부였기 때문에 기독교적 입장에서는 혼인무효의 결혼이었던 것이다. 완고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
    도서 위키백과
  • 레온 5세 아르메니아인 레오, Leo V
    비잔티움 제국의 제2차 성상파괴(聖像破壞) 시대를 열었다(→ 성상파괴논쟁). 803년 바르다니스 투르코스와 니케포루스 1세가 비잔티움 제위를 놓고 싸울 때 바르다네스 편을 들었으나 뒤에 니케포루스 쪽으로 돌아섰다. 니케포루스 1세와 미카일 1세 밑에서 장군으로 일하면서 두각을 나타내 제국 아나톨리콘 지역의...
    출생 :
    ?, 아르메니아
    사망 :
    820. 12. 25,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테오도라 Theodora
    콘스탄티누스 9세에게 사실상 밀려나고 말았다. 1055년 콘스탄티누스가 죽자 70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써보지 못했던 자신의 권력을 활발히 행사하고, 니케포루스 브리엔니우스 장군의 정권찬탈 기도를 좌절시켰다. 강력한 통치력으로 복종하지 않는 귀족들을 통제하고 갖가지 권력남용을 저지했다. 그러나 개인적인...
    출생 :
    981, 콘스탄티노플
    사망 :
    1056. 9,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 미카일 2세 Michael II
    출신으로 처음에는 군(軍) 지휘관이 되었는데, 나중에 황제 레오 5세가 된(813) 아르메니아인 레오와 군의 동료였다. 803년에 바르다네스 투르쿠스와 니케포루스 1세가 제위를 놓고 싸울 때, 레오와 함께 바르다네스를 도왔으나 나중에는 니케포루스 쪽으로 돌아섰다. 몇 년 뒤 레오가 왕위에 오르고 나서, 미카일은 그...
    출생 :
    ?, 아시아 주교구 아모리움
    사망 :
    829. 10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테오도루스 Saint Theodorus Studites
    이레네에 의해 복위되었다. 그뒤 그의 신앙공동체는 콘스탄티노플에 있는 스투디온 수도원으로 옮겼다. 806년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니케포루스 임명문제를 놓고 황제 니케포루스 1세(그리스 정교회에 대한 황제의 우월권을 주장함)와 대립했다. 테오도루스는 공의회에서 단죄받아 2번째로 유배당했다(809~811). 황제...
    출생 :
    759, 콘스탄티노플
    사망 :
    826. 11. 11, 마르마라 해 프린키포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아타나시우스 트레비존드의 아타나시오스, Saint Athanasius the Athonite
    아타나시우스는 969년 니케포루스가 죽은 뒤 키프로스로 도망쳤다가 환상중에 명령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아토스 산으로 되돌아온 뒤 니케포루스의 계승자인 황제 요한네스 1세 치미스케스에게 공식적인 인정과 재정지원을 받았다. 요한네스 1세는 971~972년 아토스 수도원에 설립허가서를 수여함으로써 논쟁을...
    출생 :
    920경, 소아시아 트레비존드
    사망 :
    1000경, 그리스 아토스 산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