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니아야 학파 Nyaya
    인도 6파철학(darśana) 가운데 하나.|논리학과 인식론으로 유명하다. 니아야 체계가 주로 기여한 것은 아주 세세하게 추론방법을 세운 것이다(→ 비량). 다른 학파와 마찬가지로 니아야도 철학이자 종교이고 주관심사가 무지로 인해 생기는 인간의 고(苦)를 끝내려는 것이다. 자유는 올바른 지식으로부터 생긴다는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니야야 학파 (관련어 니아야 학파) Nyaya, ニヤーヤ学派
    힌두교 니야야 학파(Nyāya)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의 하나로, 정리론(正理論) 또는 정리학파(正理學派)라고도 한다. "니야야"란 법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베다》 연구를 할 때의 여러 가지 변론이나 사고(思考)에 있어서 논증상의 법칙이나 규약이 설정되고 이러한 것에 관한 연구와 교의가 이윽고 한 ...
    도서 위키백과
  • 니아야-바이셰시카 학파
    샤 Tārkikarakṣā〉, 케샤바 미슈라(1225~75)의 〈타르카바샤 Tarkabhāṣā〉, 안남 바타(17세기)의 〈타르카상그라하 Tarkasaṃgraha〉 등이 있다. 니아야-바이셰시카 학파는 사물·성질·관계·보편자에 대해서 실재론적이다. 양 학파는 개인적 자아에 대해서는 다원론적이며, 또한 유신론적이다. 양자는 모두 외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드바이타 타트바바다, Dvaita
    대표적인 철학자 상카라를 지상으로 내려보낸 다음에 최고신인 비슈누는 선(善)을 구하기 위해 바유를 지상으로 내려보냈다고 한다. 마드바의 해석서에는 니아야 학파의 영향이 엿보인다. 라마누자(1050~1137)가 먼저 주장했던 것처럼 마드바는 비슈누를 최고신으로, 우파니샤드의 브라만은 인격적 신으로 보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바이셰시카 Vaisheshika
    바이셰시카 학파는 얼마 동안 독자적으로 존재하다가 니아야 학파와 완전히 통합되었는데, 이 통합과정은 11세기에 끝났다. 그후 이 학파니아야바이셰시카 학파라고 불리게 되었다. 바이셰시카 학파는 실체들과 인간의 지각에 나타나는 이들의 관계들을 확인하고 목록을 만들고 분류해보려고 애쓴다. 이 철학체계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인도철학 印度哲學, Indian philosophy
    인도철학은 니아야·바이셰시카·상키야·요가·푸르바미망사·베단타 학파의 정통철학과 불교·자이나교·순세파(Carvaka) 등의 비정통철학(nastika)으로 대별되며, 여러 가지 철학적 물음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관심사로는 세계의 본성을 탐구하는 우주론, 실재의 본성(형이상학), 논리학, 지식의 본성(인식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학문
  • 우다야나카르야 Udayanacarya
    논리학의 양대 학파의 견해를 융합하려고 노력했다. 이로부터 '올바른' 추론을 내세우는 신(新)니아야(Navya Nyāya)학파가 발전했는데, 인도의 몇몇 지역에서는 아직까지 이 학파가 인정·계승되고 있다. 양대 학파 중 구(舊)니아야 체계는 논리적 증명을 사용하여 지식의 대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관심을 기울인...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비량 比量, anumana
    추론은 인도의 논리학파인 니아야 학파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학파에서는 공식보다는 논증 형식을 띠고 있으며 5단계로 이루어진 추론을 고안해냈다. 주장·이유·예·적용·결론이 바로 그 5단계이다. 한 추론이 그릇된 이유로 엉망이 되었을 때 사인(似因 hetvabhasa : '타당한 이유같이 보일 뿐인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베단타 Vedanta
    따라서 '행위'의 결과를 받는 수취인이라는 믿음이 그것이다. 모든 베단타 학파는 불교와 자이나교와 같은 비정통 철학뿐 아니라 다른 정통(āstika) 학파(니아야·바이셰시카·상키아·요가·푸르바-미망사의 일부)의 결론도 모두 거부한다. 베단타가 인도 사상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커서 힌두철학이 여러 가지 형태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샤브다 shabda
    는 경전 해석을 중시하는 미망사 학파에 특히 중요하다. 미망사 학파가 목적이 있는 행동을 강력히 권하고 언어적 증거 외의 다른 지식 수단으로는 그것의 효험...과 같은 초감각적 대상도 권위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논리학파인 니아야는 샤브다를 인정해 인간과 신의 구두 증언 모두를 유효한 인식 수단으로 간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정통철학파 正統哲學派, astika
    정통육파철학체계는 상키아·요가·니아야·바이셰시카·미망사·베단타 등으로 구성된다. 정통철학파의 원어 '아스티카'는 '있다'는 뜻인 '아스티'에서 왔다...브라만 계급의 우월성 등을 인정하지 않는 개인이나 학파를 말한다. 비정통철학파에 들어가는 학파 가운데에는 불교, 자이나교, 금욕적인 사명파, 유물론적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인도의 언어철학자
    후자는 쿠마릴라의 제자로 알려져 있지만 미망사 학파와는 매우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문법학자들은 미망사 학파처럼 언어와 의미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Vidhiviveka〉 등이 있다. 바르트리하리는 그의 최초의 원리로서 미망사와 니아야 실재론의 한 원리, 즉 사물자체와 접촉한다는 비개념적 지각이 존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