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캐나다의 뉴프랑스 시대개요 1534년 프랑스의 항해가 자크 카르티에는 세인트로렌스 만(灣)에 입항하여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의 이름으로 이 지역을 프랑스령 뉴프랑스로 할 것임을 선언했다. 1600년경에는 오대호 지방 등 내륙에서도 모피 교역이 널리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역시 프랑스인 사뮈엘 드 샹플랭은 1603년 세인트로렌스강을...
-
-
부르고뉴 공작 루이 Louis, Duke of Burgundy, ルイ (ブルゴーニュ公)출처 필요부르고뉴 공작 루이는 프랑스 왕국의 왕세손(도팽)이었다. 루이 14세의 손자로 루이 왕세자와 바이에른의 마리아 아나 빅토리아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국왕으로 즉위하지 못하고 죽었기 때문에 프티 도팽(le Petit Dauphin, 작은 도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버지는 그랑 도팽(le...도서 위키백과
-
프랑스 통치시대의 캐나다 프랑스어 문학이 2세기 동안 뉴프랑스에서 인쇄되어 나온 프랑스어 글은 단 한 페이지도 없었다. 이 식민지에 인쇄기가 들어온 것은 영국의 지배를 받게 된 뒤였다. 뉴프랑스에서 씌어졌거나 뉴프랑스를 다룬 실질적인 식민지문학은 프랑스에서 인쇄되어 유럽인들에게 읽혔다. 발견이나 탐험 기록, 공적인 보고문과 서신, 여행자의...
-
신대륙에서 프랑스의 입지는 어느 정도였는가?북아메리카의 프랑스 식민지는 뉴 프랑스라고 불렸으며 캐나다, 아카디아, 루이지애나 지역을 포함했다. 첫 번째 식민지는 프랑스의 정복자 카르티에(Jacques Cartier, 1491~1557)가 1534년 캐나다의 세인트로렌스 강 유역을 따라 내륙으로 들어오면서 건설되었다. 1604년, 시외르 드 몽(혹은 피에르 드 구아, 1568~1630...
-
-
-
뽕진요 뻥지뉴, ─것을 의미한다. 이 말은 브라질 사회에 적응하였는지 못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상징적인 말로 쓰였다. 연원 및 변천 20세기 초에 브라질의 자본가들은 프랑스의 ‘황금시대(Belle Époque)’ 문화를 따라가려고 애썼다. 곧 프랑스의 음식뿐만 아니라, 패션, 예술, 나아가 사회적 관습 등을 적극적으로 받아 들였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
코리안 뉴 웨이브 Korean new wave등으로 기존 한국영화들과의 차별성을 드러내며 등장했다. 이를 의미 규정하고 국제적으로 소개하며 한국영화의 위상을 알리기 위해 등장한 것이 ‘코리안 뉴웨이브’라는 용어이다. 이탈리아의 ‘네오 리얼리즘 영화’ 나 프랑스의 ‘누벨바그’, 일본의 ‘쇼치쿠 누벨바그’, 미국의 ‘뉴 아메리칸 시네마’, 독일의...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영화
-
프렌치-인디언 전쟁 French and Indian War탐내고 있던 이 지역에서 수적으로는 영국계 정착민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탐험과 무역, 인디언과의 유대면에서는 프랑스가 우세했다. 이미 1749년부터 뉴프랑스(북아메리카의 프랑스 영토)의 총독은 영국인들의 정착지를 애팔래치아 산맥 동쪽 영토로 국한시킬 목적으로 그 지역의 모든 영국인들에게 추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