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누에실의 길이는 1,200∼1,500m가 된다. 고치를 짓고 나서 약 70시간이 지나면 고치 속에서 번데기가 되며, 그 뒤 12∼16일이 지나면 나방이 된다. 고치 속의 나방은...누에나방은 교미를 하며 암나방은 약 500∼600개의 알을 낳고 죽는데, 누에나방은 입이 퇴화되어 전혀 먹지 않는다. 우리 나라에서 누에를 치기 시작한 것...
- 분류 :
- 누에나방과
- 성격 :
- 동물, 유충
- 유형 :
- 동식물
- 분야 :
- 과학/동물
-
밤나무산누에나방 어스렝이나방몸과 날개가 적갈색~암갈색이다. 앞날개에는 2줄의 파상선(波狀線)이 있고 뒷날개의 중앙에는 원형의 검은 무늬가 있다. 번데기 번데기는 긴 타원형의 고치 속에 들어있는데 고치가 망상(網狀)이므로 속에 있는 번데기를 볼 수 있다. 유충 유충의 체장은 100 mm 정도이고 어릴 때는 흑색이지만 커지면서 황록색이 되며...
- 분류 :
- 나비목 > 산누에나방과 > 투명잡초노린재속
- 서식지 :
- 낮은 숲, 밤나무 숲
- 먹이 :
- 참나무와 밤나무 등의 잎
- 크기 :
- 약 115~120mm
- 학명 :
- Dictyoploca japponica Moore, 1862
- 분포지역 :
- 한국, 러시아 극동지역, 중국, 대만, 일본 등
- 출현시기 :
- 9월, 10월
-
밤나무산누에나방 Caligula japonica Moore성충은 8월에서 10월까지 나타나며 연 1회 발생한다. 유충은 밤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싸리나무 등 많은 종류의 나뭇잎을 먹는다. 고치는 아주 단단하고 거친 그물모양을 하고 있으며 속에 번데기가 보인다. 알로 월동한다. 뒷날개의 눈알모양무늬는 크고 뚜렷하며 속은 흑갈색으로 채워져 있다.
- 분류 :
- 나비목>누에나방상과>산누에나방과
- 크기 :
- 날개편길이 74~124mm
- 학명 :
- Caligula japonica Moore
- 분포지역 :
- 한반도 전역, 러시아 극동지역, 중국, 대만, 일본
-
나방몇 차례 탈피하면서 성장하여 번데기가 되는데, 대부분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 있다. 이때 번데기의 피하에서 성충체가 만들어지며 얼마 뒤 흉배부가 갈라져...羽化:번데기에서 성충으로 되는 일)가 일어나게 된다. 나방의 유충은 여러 가지 식물을 먹으므로, 누에와 같이 유용한 것도 있으나 해충이 많다. 벼에 큰...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동물
-
-
-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