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누에나방 Bombyx
    나비목 누에나방과의 한 (屬).|상업용 견사의 원료가 여기서 나온다. 수세기 동안 양잠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원조인 중국산 누에는 전세계로 퍼져나가 길러지고 있다. 성충은 날 개편길이가 40~50㎜이다. 몸은 통통하며 털이 많다. 성충기간은 2~3일 정도로 짧다. 이 기간 동안은 전혀 먹지 않으며 좀처럼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 누에
    실의 길이는 1,200∼1,500m가 된다. 고치를 짓고 나서 약 70시간이 지나면 고치 에서 번데기가 되며, 그 뒤 12∼16일이 지나면 나방이 된다. 고치 나방은...누에나방은 교미를 하며 암나방은 약 500∼600개의 알을 낳고 죽는데, 누에나방은 입이 퇴화되어 전혀 먹지 않는다. 우리 나라에서 누에를 치기 시작한 것...
    분류 :
    누에나방과
    성격 :
    동물, 유충
    유형 :
    동식물
    분야 :
    과학/동물
  • 밤나무산누에나방 어스렝이나방
    몸과 날개가 적갈색~암갈색이다. 앞날개에는 2줄의 파상선(波狀線)이 있고 뒷날개의 중앙에는 원형의 검은 무늬가 있다. 번데기 번데기는 긴 타원형의 고치 에 들어있는데 고치가 망상(網狀)이므로 에 있는 번데기를 볼 수 있다. 유충 유충의 체장은 100 mm 정도이고 어릴 때는 흑색이지만 커지면서 황록색이 되며...
    분류 :
    나비목 > 산누에나방과 > 투명잡초노린재속
    서식지 :
    낮은 숲, 밤나무 숲
    먹이 :
    참나무와 밤나무 등의 잎
    크기 :
    약 115~120mm
    학명 :
    Dictyoploca japponica Moore, 1862
    분포지역 :
    한국, 러시아 극동지역, 중국, 대만, 일본 등
    출현시기 :
    9월, 10월
  • 밤나무산누에나방 Caligula japonica Moore
    성충은 8월에서 10월까지 나타나며 연 1회 발생한다. 유충은 밤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싸리나무 등 많은 종류의 나뭇잎을 먹는다. 고치는 아주 단단하고 거친 그물모양을 하고 있으며 에 번데기가 보인다. 알로 월동한다. 뒷날개의 눈알모양무늬는 크고 뚜렷하며 은 흑갈색으로 채워져 있다.
    분류 :
    나비목>누에나방상과>산누에나방과
    크기 :
    날개편길이 74~124mm
    학명 :
    Caligula japonica Moore
    분포지역 :
    한반도 전역, 러시아 극동지역, 중국, 대만, 일본
  • 누에나방 Bombyx mori, カイコ
    5령 말이 되면 뽕잎 먹는 것을 멈추고 고치를 짓기 시작하는데 약 60시간에 걸쳐 2.5g 정도의 고치를 만든다. 고치를 지은 후 약 70시간이 지나면 고치 에서 번데기가 되며, 그 후 12~16일이 되면 나방이 된다. 이 나방은 알칼리성 용액으로 고치의 한쪽 끝을 뚫고 나온다. 암나방은 약 500~600개의 알을 낳는다. 야생...
    도서 위키백과
  • 밤나무산누에나방 Caligula japonica, クスサン
    주로 한국·일본·대만·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다. 번데기는 얼기설기한 그물망 같은 고치에 잠들어 있으며 10월 중순경에 날개돋이 한다. 그물 고치는 한쪽이 봉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안에서 밀고 나올 수 있지만 바깥에서는 들어갈 수 없는 구조다. 많은 수가 기생을 당하여 성충으로 탈바꿈하는 비율은 20...
    도서 위키백과
  • 나방
    몇 차례 탈피하면서 성장하여 번데기가 되는데, 대부분 고치를 만들고 그 에 있다. 이때 번데기의 피하에서 성충체가 만들어지며 얼마 뒤 흉배부가 갈라져...羽化:번데기에서 성충으로 되는 일)가 일어나게 된다. 나방의 유충은 여러 가지 식물을 먹으므로, 누에와 같이 유용한 것도 있으나 해충이 많다. 벼에 큰...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絹, silk
    누에로 알려진, 봄빅스(屬)에 속하는 나방 애벌레가 만들어내는 고치섬유이다. 견의 생산과 직조에 대한 기원은 아주 오래되었으나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중국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은 거의 확실하고 문헌에 따르면 BC 3000년 중반 이전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오랫동안 중국인들은 견을 생산하는 방법과 자료들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누에 silkworm
    누에나방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 누에나방과 > 누에나방속
    먹이 :
    뽕나무
    크기 :
    약 0.2cm ~ 8cm
    식성 :
    초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번데기 본도기, pupa
    고치는 말려 있는 잎, 땅속의 썩은 낙엽층, 굴 등에 숨어 있거나 작은 가지나 덤불에 매달려 있다. 몇몇 곤충은 이러한 번데기 상태로 겨울을 지낸다. 누에나방의 고치 안에 들어있는 번데기는 한국에서 식용하는데, 1960년대 제사공장에서 누에고치에서 실을 자아낸 후 남은 번데기를 1960년대 조리해서 간식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곤충
  • 노세마속 Nosema
    미포자충목에 속한다. 무성생식을 반복한 후에 포자를 형성한다. 노세마 봄비키스는 누에의 유행병인 미립자병을 일으킨다(→ 누에나방). 숙주의 모든 조직 및 유충에서 성충에 이르는 전발생단계에 침투한다. 감염이 진전되면 작은 갈색 반점이 누에의 몸을 뒤덮는다. 병에 걸린 누에는 고치를 칠 수 없거나 아니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생물
  • 나방 Moth, ガ
    잘 쓰이지 않지만 누에나방 등의 실샘에서 얻은 텍스사(絲)는 낚싯줄로 쓰였다. 남아메리카의 일부 원주민은 나방의 유충·번데기·성충을 식용으로 했다. 또 은...대부분의 수목) 등 많은 종류의 농림 및 원예의 해충이 있으며, 가로수·정원수를 해쳐서 화제가 된 미국흰불나방도 있다. 또, 고치 에 떨어진 유충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6건

누에나방속
누에나방속
누에나방속
누에나방속
누에나방속
누에나방속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