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농민연맹 農民聯盟, Bund der Landwirte
    1893년부터 독일제국에서 활동한 의회 밖의 기구. (영). Agrarian League.|레오 그라프 폰 카프리비 총리가 1892년 자유무역정책을 펼치자 이에 맞서 만들어진 이 연맹농민보조금·수입관세·최저가격제를 확립하려고 애썼다. 카프리비의 뒤를 이은 총리가 밀의 수입관세를 올리겠다고 약속했지만 1900년경 농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농민운동 농민 전쟁, 農民運動
    중반 민족해방운동의 발전과 더불어 농민운동 조직 내부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중앙조직인 조선노농총동맹은 조선노동총연맹과 조선농민연맹으로 분리되었으며, 소작인조합은 농민조합으로 개편되었다. 1927년 9월 창립 당시 농민총동맹 산하에는 32개의 농민조합과 2만 4,180명의 조합원이 있었다. 한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 대한독립촉성농민연맹 大韓獨立促成農民總聯盟
    비누 등 생활필수품을 직접 구입하여 농촌에 싼값으로 배급하는 것 등이었다. 이상의 활동으로 보면 대한독립촉성농민연맹은 1차적 활동목표가 농민의 권익신장에 있었다기보다는 좌익농민운동조직과의 싸움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맹은 좌익농민운동조직이 모두 없어진 정부수립 이후에는 아무런 활동도...
  • 전국농민조합총연맹 전농, 全國農民組合總聯盟
    나타난 것이다. 전농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과 더불어 조선공산당의 대중조직이었으며, 인민공화국을 지지했다. 하지만 미군정의 탄압으로 세력이 약화되었고, 1947년 8월 31일 우익 농민운동이 조직되고 이승만이 초대 총재였던 대한독립촉성농민연맹의 전농 파괴 활동으로 조직이 쇠퇴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
    설립 :
    1945년 12월 8일
    성격 :
    사회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대한독립촉성농민연맹 대한농총, 大韓獨立促成農民總聯盟
    내용 1947년 8월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산하의 농민총국이 분리, 독립하여 세워진 단체로 약칭 ‘대한농총’이라 한다. 중요임원으로는 고문 이승만(李承晩)·김구(金九), 위원장 채규항(蔡奎恒), 부위원장 김은석(金恩錫)이었다. 대한노총과 대한농총은 동일노선의 유지와 긴밀한 유대강화를 위하여 두 단체를 함께...
    시대 :
    현대
    설립 :
    1947년 8월
    성격 :
    사회운동단체, 농민운동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승만, 김구, 채규항, 김은석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벨라루스 농민 노동자 연맹 Belarusian Peasants'..
    정당 정보 벨라루스 농민 노동자 연맹, 또는 약칭으로 흐라마다는 1925년 폴란드 하원의 벨라루스인 의원 브라니슬라우 타라슈케비치, 시몬 라크미하일로우스키, 표트라 먀틀라, 파벨 발로신이 창당한 사회주의 정당으로, 코민테른 전반으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 흐라마다의 주요 주장은 다음과 같았다. 폴란드 내...
    도서 위키백과
  • 미국농민연맹 American Farm Bureau Federat..
    미국농민연맹은 미국 최대의 농민단체로 보수주의적 색채를 지니면서 미국 농업정책 수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격지지 축소, 정부규제 완화, USDA 식품정책을 반대하는 등 시장지향적 농업정책을 선호함에 따라 의회내 공화당의 입장과 비슷하다. 일리노이, 아이오와, 인디아나 등 Corn Belt States가 거점...
    도서 위키백과
  • 대한독립촉성농민연맹
    대한독립촉성농민연맹(大韓獨立促成農民總聯盟)은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산하의 농민총국이 확대·발전되어 1947년 8월 31일 결성된 우익 농민운동 조직이다. 초대 총재는 이승만이었으며, 강령은 '농민대중의 복리와 사회적 지위 향상, 국민경제 재건과 만민공생의 균등사회 건설, 민주주의적 자주독립국가 건설...
    도서 위키백과
  • 전국농민조합총연맹
    할 것> 등을 실천과제로 내걸었다. 전농은 전평(全評)과 함께 조선공산당의 대중조직으로서, 인민공화국 지지와 사수를 내걸었으나, 미군정의 좌익운동 탄압으로 세력이 약화되었고 1947년 8월 31일 우익 농민운동이 조직되고 이승만이 초대 총재였던 대한독립촉성농민연맹의 전농 파괴 활동으로 조직이 쇠퇴하게...
    도서 위키백과
  • 녹색농민연합 Union of Greens and Farmers, 綠人與農民聯盟
    정당 정보 녹색농민연합(綠色農民聯合, 2014년 총선거 결과, 단결에 이어 제3당이다. 라트비아 농민연합 라트비아 녹색당 라트비아와 벤츠필스를 위하여 리예파야당 리투아니아 농민녹색연합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농민운동 農民運動
    접어들었지만 일제로부터 해방되자 농민운동은 정치무대의 전면에 등장하였다. 대표적인 농민운동조직은 ‘전국농민연맹(全國農民總聯盟)’이었다. 전국농민연맹은 해방된 지 3개월 여만에 조합원 330여만 명을 지닌 최대의 농민조직이었다. 이 단체에 대항하는 대한독립농민연맹(大韓獨立農民總聯盟)도 1947...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전국농민회총연맹 全國農民會總聯盟
    기존의 전국농민협회, 한국가톨릭농민회, 한국기독교농민회 등이 연합하여 결성된 조직으로, 1945년 8·15해방 직후에 활동했던 전국농민조합총연맹 이후 최대 규모의 농민운동조직이다. 1990년 2월 전국 78개 군농민회 대표가 참가한 '전국단일조직 건설을 위한 군농민단체대표자회의'를 통해 '전국농민회총연맹 준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농민연맹(Agrarian Leagu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