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트르담 악파 Notre-Dame school
    12세기말과 13세기초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의 후원을 받아 활동한 작곡가와 가수 집단.|초기의 다성음악을 국제적으로 널리 보급시켰기 때문에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노트르담 악파는 오르가눔(organum), 클라우술라(clausula), 콘둑투스(conductus), 모테트(mottete)의 4가지 형식을 주로 사용했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페로탱 Perotin
    전해지고 있다. 그의 생애에 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으며 신분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일했으며 그의 작품들은 노트르담 악파(혹은 파리 악파)에 속해 있는데 그 악파에 속했던 작곡가들로는 페로탱과 레오냉만이 알려져 있다. 그의 4성부 작품들은 가히 혁명적이라 할 수...
    출생 :
    미상
    사망 :
    1238(?)
    국적 :
    프랑스
  • 클라우술라 clausula
    통제가 엄격했다. 오르가눔 중 멜리스마(한 음절에 여러 음이 붙는 노래 방식)로 된 그레고리오 성가에 기초해서 만든 디스칸투스 부분이 대표적이며 노트르담 악파의 오르가눔에서는 이러한 디스칸투스 부분이 오르가눔 부분과 교대되었다. 오르가눔 부분은 천천히 움직이는 정선율 위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리듬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오르가눔 organum
    에서 유려한 멜리스마 선율이 움직이는 형태이다. 이 새로운 오르가눔은 한 음절 위에 여러 음이 붙기 때문에 '멜리스마' 오르가눔이라 부르며 파리 노트르담 악파의 작곡가들에 의해 더욱 발전을 거듭했다. 발전된 형태의 오르가눔을 모은 〈마그누스 리베르 오르가니 Magnus liber organi〉(1170경)는 노트르담 악파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모두스 리듬 modus rhythmus
    파리 노트르담 악파의 2성 오르가눔의 디스칸투스 부분에서 시작되어 각 성부마다 다른 가사를 쓰는 13세기 복가사 모테트에서 정점에 달했다. 후자에서는 다성음악적 짜임새로 된 여러 성부에 서로 다른 리듬 정형 2~3개가 동시에 사용되기도 했다. 모두스 리듬 체계는 아직 음길이를 정확히 표시해줄 기보 수단이 없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교회음악 敎會音樂, church music
    기교가 뛰어난 가수들의 독창은 오르간이나 몇몇 악기들로 반주되었다(화성적 음악:homophony)(→ 다성음악). 초기 다성음악 양식은 1200년경에 노트르담 악파(Notre-Dame school) 작곡가인 레오냉과 페로탱의 오르가눔에서 정점을 이루었다. 14세기에는 훈련받은 작곡가들에 의해 기존의 곡 사이에 새로운 가사에 의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그리스도교의 영향과 서양 중세음악
    수 있게 되었다. 12세기초 음악활동의 중심지는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으로, 이후 12~13세기에 걸쳐 이곳에서는 다성음악이 점진적인 발전을 이루었다(노트르담 악파). 새로 대두된 중요한 음악 형태는 오르가눔·클라우술라·콘둑투스·모테트인데 이것들은 당시 이미 잘 알려진 세속음악에 리듬 패턴들을 결합한 양식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드론 drone
    두 음높이를 내어 라가의 바탕을 만들어낸다. 페달 포인트는 17, 19세기 유럽 화성음악에서 쓰인 드론이다. 프랑스 음악에서 일찍이 12세기와 13세기초 노트르담 악파의 오르가눔에서부터 사용한 부르동(bourdon)은 초기 드론의 예로, 그만큼 프랑스에서는 드론의 미묘한 느낌을 즐겼다. 프랑스의 루이 14세와 그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아르스 안티쿠아 Ars Antiqua
    콜로뉴의 프랑코(Franco), 피에르 드 라 크루아(Pierre de la Croix) 세 사람을 들 수 있다. 페로탱은 12세기말에 활동했고 레오냉에 이어 유명한 노트르담 악파를 계승했으며, 4성부 음악을 처음으로 작곡했다. 프랑코는 13세기 중반에 전성기에 달했던 이론가로서 〈정량노래기법 Ars cantus mensurabilis〉을 통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르네상스의 모차르트, 조스캥 데 프레 Josquin des Prez
    걸려 세상을 떠나는 불운을 겪었다. 조스캥은 1504년 고향 콩데로 돌아와 노트르담 성당 참사회장으로 일하다가 1521년 모든 사람의 존경을 받으며 영광스런 생...레오나르도 다 빈치'라고 불렀다. 부르고뉴 악파의 뒤를 이어 플랑드르 악파가 전성기를 구가하기 시작할 무렵에 등장한 그는 뒤페와 오케겜이 개척한...
    출생 :
    1450년경
    사망 :
    1521년 08월 27일
    국적 :
    프랑스
    대표작 :
    모테트 〈아베 마리아〉, 〈압살롬, 내 아들〉 등
  • 음악사의 침묵을 깬 부르고뉴 악파의 거장, 기욤 뒤페 Guillaume Dufay
    붙인 〈노트르담 미사〉를 작곡하기는 했지만, 이것은 전 악장을 하나의 일관된 음악적 아이디어로 통일시킨 것은 아니었다. 반면에 뒤페는 통상문의 각 부분을 음악적인 요소로 연결시켜 미사곡 전체에 통일감을 주는 방법을 모색했다. 여기서 뒤페가 주로 사용한 방법은 미사곡 전체에 하나의 정선율을 사용하는 것...
    출생 :
    1400년경
    사망 :
    1474년 11월 27일
    국적 :
    프랑스
    대표작 :
    미사곡 〈무장한 남자〉, 샹송 〈내 얼굴이 창백해 보인다면〉, 모테트 〈이제 장미꽃이 피었네〉 등
  • 서양 중세 음악 Medieval music, 中世西洋音楽
    말은 14세기의 이론가들이 자기들의 새로운 예술 아르스 노바(Ars Nova)에 대응시켜 13세기 말의 음악을 약간 모멸적으로 부른 것이다. 오늘날에 와서는 노트르담 악파를 중심으로 하는 13세기의 음악 전체를 가리키며, 초기의 복음악(複音樂)과 정량이론(定量理論), 정량기보법(定量記譜法)의 발달이 아르스 안티쿠아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