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동총동맹 勞動總同盟, Confederation Generale..
    프랑스 최대의 노동조합연합조직. (영). General Confederation of Labour.|1895년에 설립되어 1902년 노동조합사무소연맹(FBT)과 통합되었다. 경제적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단체교섭과 총파업을 활용할 것을 주장했으며 계급투쟁을 통해 더욱 혁명적인 사회변혁을 성취해야 한다는 주장도 했다. 1906년 생디칼리스트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在日本朝鮮勞動總同盟
    朴長吉), 공제회 이지영(李智英) 등과 협의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은 무산청년과 노동자의 대동단결을 도모할 목적으로 일본 내 통일기관인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을 결성하기로 하고 이헌·김상철·이지영·박장길·김길섭(金吉燮)·지후근(池厚根), 김치(金治) 외 6명으로 준비회를 구성했다. 1925년 2월 22일 동경도...
    시대 :
    근대
    설립 :
    1925년
    성격 :
    사회운동단체, 노동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29년
    설립자 :
    백무, 안광천, 이여성, 김상철 외
    분야 :
    역사/근대사
  • 조선노동총연맹 조선노동총동맹, 朝鮮勞動總聯盟
    개설 일명 조선노동총동맹으로 불렸다. 연원 및 변천 1927년 9월 6일, 조선노농총동맹(朝鮮勞農總同盟, 1924.4.18∼20, 서울)이 4년 만에 조선노동총동맹과 조선농민총동맹(朝鮮農民總同盟)으로 분리, 두 개의 조직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조직이 분리되기 이전에 노농분리원칙은 이미 1925년 11월 19일 조선노농총동맹...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조선노동총동맹 朝鮮勞動總同盟
    결성된 조선노농총동맹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이 미분화된 조직체였으나, 사회운동이 발전함에 따라 1925년 11월 19일 조선노농총동맹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조선농민총동맹과 조선노동총동맹으로의 분리를 결의했다. 이에 따라 먼저 각 지방에서 종래의 노농연합회·노농연맹·노동공제회 등 노동자·농민의 연합단체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在日本朝鮮勞動總同盟
    재일조선인 노동운동의 통일을 제창했고, 여기에 11개 단체가 호응함에 따라 1925년 2월 22일 도쿄의 일화일선청년회관(日華日鮮靑年會館)에서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을 결성했다. 창립대회에서는 강령으로 ① 경제적 절대 평등, ② 자본가계급의 억압과 박해에 대한 철저한 저항, ③ 노동계급의 완전한 해방과 자유평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노동해방단 Osvobozhdenye Truda
    1883년 9월 제네바에서 게오르기 발렌티노비치 플레하노프와 파벨 악셀로트가 창설했다(→ 플레하노프, 악셀로트). 계급의식을 지닌 산업노동자들만이 사회혁명을 이룰 수 있다고 굳게 믿었던 이들은 인민의 의지와 결별한 뒤,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을 번역하거나 사회주의 실현의 전제조건으로서 경제·산업 발전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노동세력총동맹 Confederation Generale du T..
    공무원들과 사무직 노동자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나중에 초대 위원장이 된 레옹 주오와 다른 네 사람이 1947년 노동총동맹(CGT) 집행부에서 탈퇴한 뒤 이듬해 결성된 단체이다. 이들이 사퇴한 것은 1947년 총파업에서 뚜렷하게 드러났듯이 친공산주의 색채를 띤 CGT의 정치적 입장에 반대한 때문이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일본노동총동맹 日本労働総同盟
    일본노동총동맹은 전전 일본의 노총이다. 약칭은 총동맹(総同盟). 1912년 스즈키 분지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된 우애회가 점차 좌경화되어 1919년 대일본노동총동맹우애회(大日本労働総同盟友愛会)로 개칭했다. 또 반사회주의적 태도에서 사회주의 입장으로 전향이 이루어져 1921년 일본노동총동맹으로 개칭되었다. 관동...
    도서 위키백과
  • 일본노동조합총동맹 Japanese Federation of La..
    보고서 인용 구 총동맹과 같이 기독교 사회주의, 반공주의 성향이었다. 노동계가 좌파는 총평으로, 우파는 전노회의・동맹회의로 분화됨에 따라 총동맹은 전일본노동총동맹(동맹)에 합류하는 형태로 발전적 해소되었다. 전전 일본의 합법노동운동은 스즈키 분지가 메이지시대 말기에 결성한 우애회를 모태로 한 일본노동...
    도서 위키백과
  •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大韓独立促成全国労働総同盟
    노동조합 정보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大韓獨立促成全國勞動總同盟), 줄여 대한노총(大韓勞總)은 좌파 노동조합인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에 대항하여 등장한 대한민국 초기의 우파 노동조합 단체로,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의 전신이다. 대한민국에는 본래 1945년 10월 10일 허성택을 위원장으로 한...
    도서 위키백과
  •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在日本朝鮮労働総同盟
    단체 정보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在日本朝鮮勞動總同盟)은 재일조선인의 노동운동단체이다. 기관지 『조선노동』과 『노동독본』을 발행하는 등 일본 내 조선인들의 노동환경 개선에 힘 썼으며, 노동 운동 외에도 3.1운동기념투쟁과 관동진재조선인학살추도회, 국치일 기념투쟁, 조선총독폭압정치반대투쟁 등에도 참여...
    도서 위키백과
  • 총파업 총동맹파업, 總罷業
    한 산업체에서만 일어나는 파업은 엄밀히 말해서 총파업이라고 할 수 없다. 총파업은 영국에서 노동조합이 발전함에 따라 단체교섭 전략의 일부로서 이용되기 시작했다. 1820, 1830년대에 급진적인 노동조합 지도자들은 의회를 개혁하고 '노동자의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업의 전면적 중단이라는 개념을 옹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건

조선노동총동맹 창립대회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취지서
일제를 타도하자는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격문 
조선노동총동맹 창립대회에 강달영이라는 이명으로 참가한 강달룡(『매일신보』 1924.4.2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