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在日本朝鮮勞動總同盟朴長吉), 공제회 이지영(李智英) 등과 협의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은 무산청년과 노동자의 대동단결을 도모할 목적으로 일본 내 통일기관인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을 결성하기로 하고 이헌·김상철·이지영·박장길·김길섭(金吉燮)·지후근(池厚根), 김치(金治) 외 6명으로 준비회를 구성했다. 1925년 2월 22일 동경도...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25년
- 성격 :
- 사회운동단체, 노동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29년
- 설립자 :
- 백무, 안광천, 이여성, 김상철 외
- 분야 :
- 역사/근대사
-
조선노동총연맹 조선노동총동맹, 朝鮮勞動總聯盟개설 일명 조선노동총동맹으로 불렸다. 연원 및 변천 1927년 9월 6일, 조선노농총동맹(朝鮮勞農總同盟, 1924.4.18∼20, 서울)이 4년 만에 조선노동총동맹과 조선농민총동맹(朝鮮農民總同盟)으로 분리, 두 개의 조직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조직이 분리되기 이전에 노농분리원칙은 이미 1925년 11월 19일 조선노농총동맹...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在日本朝鮮勞動總同盟재일조선인 노동운동의 통일을 제창했고, 여기에 11개 단체가 호응함에 따라 1925년 2월 22일 도쿄의 일화일선청년회관(日華日鮮靑年會館)에서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을 결성했다. 창립대회에서는 강령으로 ① 경제적 절대 평등, ② 자본가계급의 억압과 박해에 대한 철저한 저항, ③ 노동계급의 완전한 해방과 자유평등...
-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大韓独立促成全国労働総同盟노동조합 정보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大韓獨立促成全國勞動總同盟), 줄여 대한노총(大韓勞總)은 좌파 노동조합인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에 대항하여 등장한 대한민국 초기의 우파 노동조합 단체로,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의 전신이다. 대한민국에는 본래 1945년 10월 10일 허성택을 위원장으로 한...도서 위키백과
-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在日本朝鮮労働総同盟단체 정보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在日本朝鮮勞動總同盟)은 재일조선인의 노동운동단체이다. 기관지 『조선노동』과 『노동독본』을 발행하는 등 일본 내 조선인들의 노동환경 개선에 힘 썼으며, 노동 운동 외에도 3.1운동기념투쟁과 관동진재조선인학살추도회, 국치일 기념투쟁, 조선총독폭압정치반대투쟁 등에도 참여...도서 위키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