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동운동 勞動運動노동자들의 경제적·사회적 지위를 안정·향상시키기 위한 계급운동. 개설 노동자들의 상호부조적 공제노력인 동시에 자신들의 노동력을 사용하는 자본가에 대하여 고용안정·노동조건개선·임금인상·복리증진 등을 위하여 전개하는 자위적이며 대항적인 활동으로, 궁극적으로 노동자의 권익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국...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노동운동 勞動運動1927년 강우를 중심으로 박희도·이항발·이순탁 등이 창간한 사회주의계열의 잡지. 내용 편집 겸 발행인 강우(姜禹)를 중심으로 박희도·이항발·이순탁·박원희·김진희·이만규·이정석 등이 창간하였다. 이 잡지는 몇 차례 압수를 당하기도 하면서 10여호를 발행한 후 휴간했다가 속간하였는데, 1931년 10월호가 ...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강우
- 창작/발표시기 :
- 1927년(창간)
- 성격 :
- 잡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노동 운동 勞動 運動부산광역시 지역에서 일어난 노동 운동. [개설] 부산 지역의 노동 운동은 일제 강점기부터 시작되었다. 개항기부터 일본과의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해 부산 지역의 노동 운동은 항일 투쟁과 연계되어 다른 지역과 달리 급진적 성향을 보였다. 대표적인 예로는 사실상 최초의 대규모 파업으로서 약 5,000여 명의 노동자...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노동 운동과 사회주의의 성장도매상인을 상대로 가정에서 일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의 노동 환경이나 생활은 매우 열악하였다. 노동자들은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동 운동에 뛰어들었다. 그들은 이미 부르주아와 함께 1830년과 1848년의 혁명에 가담하였고, 1870년의 파리 코뮌에서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었다. 그러나 그들이 얻은...
-
-
노동조합 노조, 勞動組合불구하고 자유당 정권하에서의 자주적 노동운동 역량의 미성숙으로 인하여 노동조합의 민주적 개편은 개혁적이지 못했다. 1960년 4․19혁명 이후 활발하게 전개되던 노동조합운동은 1961년 5․16군사쿠데타로 집권한 군부 세력에 의해 중단되었다. 1961년 5월 국가재건최고회의 포고에 의하여 기존 노동조합은 해체...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198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서울노동운동연합 창립 선언문우리는 오늘 노동자가 우리 민족의 역사를 창조하는 진정한 주인이며, 노동자가 억압받지 않는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야말로 노동 운동의 궁극적 과제임을 선언한다. 그러나 지난 70여 년 동안 일본 제국주의 침략과 독재 정권의 탄압으로 노동자의 생존권은 철저히 유린되어왔다. 특히 ’80년 광주 민중의 민주화 투쟁을...
- 시기 :
- 1985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