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조선농민총동맹 朝鮮農民總同盟동맹과 노동동맹으로 분립함으로써 조선농민총동맹이 결성되었다. 조선농민총동맹의 중앙집행위원장에 인동철(印東哲), 중앙집행위원에는 경기송(慶箕松), 장준(張埈), 정학원(鄭鶴源), 송영섭(宋寧燮), 김복수(金福洙), 서태석(徐邰晳), 신준희(申俊熙), 조경서(曺景敍), 김익두(金益斗), 서철환(徐徹煥), 김용기(金龍...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大韓独立促成全国労働総同盟노동총동맹(大韓獨立促成全國勞動總同盟), 줄여 대한노총(大韓勞總)은 좌파 노동조합인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에 대항하여 등장한 대한민국 초기의 우파 노동조합 단체로,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의 전신이다. 대한민국에는 본래 1945년 10월 10일 허성택을 위원장으로 한 남로당 계열 좌파 노동조합인...도서 위키백과
-
노동조합 노조, 勞動組合농민총동맹으로 분리되었으나, 이 두 단체는 일제의 탄압으로 인하여 자기 기능을 거의 수행할 수 없었다. 한편 1920년대 전반기 전국적 노동조합이 결성되고 있을 무렵, 각 지방에서는 수많은 노동조합이 결성되었는데, 이러한 지방의 노동자 조직은 이 시기에 앙양되고 있던 노동쟁의를 통하여 설립되었다. 이들은...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노동운동 勞動運動노동총동맹을 결성하여 노동자계급의 완전한 해방과 자유·평등의 신사회건설을 위하여 매진하기도 하였다. 1930년대 이후는 일본제국주의의 위기와 노동운동의 격화기였다. 1931년 일제는 만주침공을 감행하였고, 만주국이라는 괴뢰정권을 세워 만주를 식민지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륙침공을 획책하고 있었다. 그에...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