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동가치설 勞動價値說, labour theory of value
    역사적으로 많은 학자들이 노동에 의한 가치의 규정을 논의했으나, 이론적 체계를 갖춘 노동가치설의 성립은 A. 스미스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실현되었다.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이용'과 '구매력'이라는 2가지 측면에 따라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로 구분하며 교환가치의 척도를 노동이라고 규정하고, 가격은 이 교환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임금 (관련어 노동가치설) 賃金, wage
    노동 서비스의 대가.|보통 생산직 근로자에 대한 임금과 사무직 노동자 등에 대한 봉급으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임금은 주로 시간당 임금 또는 임금률이 정해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성과급과 같이 일정한 성과에 대해 일정임금률이 정해져 있기도 하고 일당 등과 같이 하루를 기준으로 지불되기도 한다. 후자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Labor theory of value 노동가치설, 労働価値説
    The labor theory of value (LTV) is a heterodox economic theory of value that argues that the economic value of a good or service is determined by the total amount of socially necessary labor required to produce it, rather than by the use or pleasure its owner gets from it. At present this concept...
  • 노동가치론 (관련어 노동가치설) Labor theory of value, 労働価値説
    마르크스주의 경제학 노동가치론(labor theory of value, LTV)은 가치에 관한 비주류 경제학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는 재화나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는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시간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초기에는 애덤 스미스나 데이비드 리카도 같은 초기 고전경제학자나 무정부주의 경제학자들의 이론을 뒷받...
    도서 위키백과
  • 가치학설 價値學說, theories of value
    생산을 중시하는 노동가치설과 소비를 중시하는 효용가치설 2가지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경제학사의 많은 이론들도 결국 이 2가지 가치론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경제 현상들을 설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할 경우 노동가치설은 객관가치설로, 효용가치설은 주관가치설의 범주로 나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객관가치설과 주관가치설 objective-subjective t..
    가치설은 말 그대로 객관적 요인에 의해 상품의 가치가 규정된다고 보는 것으로서, 그 요인을 생산과정의 노동투입량에서 찾는다. 따라서 객관가치설은 곧 노동가치론이라 할 수 있으며, 17세기 W. 페티의 연구 이후 고전학파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들에 의해 체계가 성립되었다(→노동가치설). 한편 주관가치설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노동과 임금의 분배
    군의 임금을 인상하는 것은 곧 다른 노동자군의 희생을 의미하므로 임금상승을 위한 규정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고 보았다. 마르크스의 잉여가치설 마르크스는 리카도의 노동가치설을 받아들였으나 임금생존비설의 근거는 다른 곳에서 찾았다. 그는 임금을 생존비 수준으로 하락시키는 것이 인구의 절대적 증가에 따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가치기준으로서의 노동
    기본적인 생산요소이다. 따라서 모든 생산물을 그것에 투입된 노동의 집적으로 보아, 노동을 가치측정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이러한 근거에서 전개된 '노동가치설'연구는 카를 마르크스에 의해 그 체계가 완성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왔다. 노동가치론은 가치가 사람들의 주관적 평가로 결정된다는 견해를 거부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비교우위
    리카르도(D. Ricardo)에 의해 자유무역이 교역 대상국 모두에게 유리하다는 국제분업 및 무역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노동가치설에 근거하여 노동투입에 따른 요소비용만을 고려하였고 두 나라 간에 두 가지 재화 생산만이 가능하다는 제한적인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오늘날에는 상품의 종류가 세분...
  • 잉여가치 Surplus value, 剰余価値
    마르크스주의 경제학 잉여가치는 노동착취 때문에 투입된 원 자본가치보다 그 가치가 증식된 부분이다. 원재료 또는 생산수단과 노동력의 결과로 하나의 상품이 탄생하고 그 상품은 이윤을 낸다. 그러나 이 자본주의 생환구조에서 '노동력'은 불변하는 원재료 또는 생산수단과 달리 주관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가변법칙...
    도서 위키백과
  • 애덤 스미스 Adam Smith
    사실상 노동을 가치측정의 단위로 하는 지배노동가치설을 취하는 반면, 자연가격은 임금·이윤·지대 등 비용의 합계로 이루어진다고 하는 생산비설(투하노동가치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가치론이 혼재하고 있는 스미스의 이론에서 투하노동가치설은 리카도와 마르크스에 의해, 지배노동가치설은...
    출생 :
    1723년 6월 5일, 스코틀랜드 파이프 커콜디에서 세례받음
    사망 :
    1790년 7월 17일, 에든버러
    국적 :
    스코틀랜드,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철학가
  • 상품의 2요소
    다른 종류의 사용가치와 교환되는 비율로서 나타난다. 상품의 교환가치, 즉 가격이 궁극적으로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를 논하는 가치론은 크게 노동가치설과 효용가치설로 대별된다. D. 리카도에 의해 제창되어 K. 마르크스에 의해 발전된 노동가치설에 의하면, 노동을 가치의 실체로 보고 상품의 가치는 그 상품생산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