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시아 서사시에 구어체와 사실적인 문체를 도입한 페르시아의 위대한 낭만주의 서사시인. 정식 이름은 Elyās Yūsof Neẓāmī Ganjavī. Neẓāmī는 Niẓāmī라고도 씀.|생애에 관해서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어려서 고아가 되었고 단 한 번 국공을 만나러 갔던 것을 제외하고는 전 생애를 간자에서 보냈다. 비록...
만한 자료는 1116(또는 1117)년에 페르도우시의 무덤을 찾아가서 그가 죽은 지 1세기도 지나지 않아 그의 고향에 떠돌던 전설들을 수집한 12세기의 시인 네자미 예 아루지가 한 이야기가 있을 뿐이다. 거의 6만 대구(對句)로 된 페르도우시의 시 〈왕들의 책〉은 주로 이 시인의 성년 초기에 그의 고향 투스에서 같은...
함세('오행연구'라는 뜻)라는 명칭은 네자미(1141경~1209)가 지어 〈함세〉라는 제목을 붙인 5부작 대서사시에서 이름을 따왔다. 모두 마스나위 형식으로 지어진 이 5부작 시 중 1부는 〈비결의 보고 Makhzan ol-asrar〉라는 교훈적인 작품이며, 2~4부는 전통적인 사랑 이야기들, 5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모험을 그린...
또 각종 기계류와 기구도 제조한다. 비옥한 농업지역의 중심에 있는 이곳에서는 농산물 가공이 이루어지며, 면직물과 카펫 제조공장 여러 개와 농업연구소, 교원양성기관이 있다. 유명한 건물로는 주마메체트 이슬람교 사원(1620 건립)과 12세기의 페르시아 시인 네자미 간비를 추모하여 건립된 현대식 영묘가 있다...
페르시아 고전문학에서 가장 위대한 사람 중의 하나이다. 어려서 아버지 모슬레흐 옷딘을 잃었다. 그후 바그다드에 있는 유명한 네자미예대학에 유학했고, 거기에서 이슬람에 대한 전통적인 지식을 얻었다. 몽골이 페르시아를 침략하여 정세가 불안정했으므로 사디는 아나톨리아·시리아·이집트·이라크 전역을 방황...
왕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그의 초상화는 작가였던 아브드 웃 라힘의 초상화와 함께 현재 영국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다이슨 페린스 사본 〈함세 네자미 Khamseh Nezāmi〉에 실려 있는데, 이는 자한기르 황제가 두 사람에게 내린 큰 명예였다. 그가 그린 걸작들은 〈악바르 나메 Akbar-nāmeh〉(체스터 비티...
무덤 옆에 묻혔다. 가끔 '인도의 앵무새'로 알려진 그는 많은 작품을 썼다. 그중에는 생애의 각각 다른 시기에 편집된 5권의 시집과 유명한 페르시아 시인 네자미(1141경~1209)의 〈5행시 Khamseh〉를 본떠 만든 5수의 긴 전원시 모음인 〈5연시 Khamsah〉가 있다. 아미르 호스로우의 5연시는 이슬람 문학에서 유명한...
가장 유명한 시집은 〈살만 오압살 Salmān o-Absāl〉·〈유소프 오잘리하 Yūsof o-Zalῑkhā〉가 수록된 〈하프트 아우랑 Haft Awrang〉('칠성좌' 또는 '큰곰자리')이라는 제목의 7부로 된 요약본이다. 이 시집은 13세기 낭만파 시인 네자미의 작품들을 모방한 것이지만 자미의 특징인 뛰어난 지적 활력을 지니고 있다...
27년에 그는 베자드의 제자 샤이크자데와 함께 하피즈의 〈디반 Divān〉과 터키의 시인 미르 알리 시르 나바이의 〈디반〉에 삽화를 그렸다. 또한 그는 네자미의 〈캄세 Khamseh〉에 샤타마스프를 위한 삽화를 그렸다(1539~43). 그 직후에 타마스프는 회화가 보잘것없고 비종교적인 도락에 불과하다고 보고 회화에서...
남아 있는 그의 작품들은 1530~80년대에 제작된 것들인데, 이것은 이례적으로 긴 활동기간이다. 그는 타하마스프 1세의 〈왕들의 책 Shāhnāmeh〉과 네자미의 〈함세 Khamseh〉(1539~43)를 비롯해 사파위 왕조 시대의 가장 위대한 필사본을 만들었다. 그가 헤라트에서 활동한 베자드 유파의 화가들한테서 영향을 받은...
비단에 그림을 그리기도 했지만 시집 등의 필사본에 그린 삽화들이 보다 일반적이었다. 그러므로 헤라트파 그림의 주제는 당대의 문학에서 많이 따왔다. 네자미, 사디, 자미의 후기 작품들을 기초로 한 삽화들 외에도 시인인 페르도우시(?~1020)가 지은 페르시아의 서사시 〈열왕기 Shāh-nāmeh〉를 주제로 한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