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네덜란드느릅나무 Dutch elm d..
    느릅나무가 곰팡이에 의해 죽는 .|네덜란드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을 일으키는 곰팡이인 케라토키스티스 울미(Ceratocystis ulmi)는 제1차 세계대전중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1930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그 을 알아냈고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초에 연방 전체의 박멸 켐페인으로 감염숫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느릅나무 elm
    U. pumila)는 빨리 자라는 나무로 어린가지는 무르고 줄기는 약하지만 그늘에서도 잘 자라 녹음수로 심거나 바람을 막아주는 나무로 심기도 한다. 곰팡이 때문에 생기는 네덜란드느릅나무(Dutch elm disease)에 쉽게 감염되며 체관부에 흑반증이 나타나기 때문에 저항력 있는 품종들을 선택해 심어야 한다. 목재는 물...
  • 식물 의 분류
    벼품종을 침해하는 새로운 도열병균의 품종이 출현하여 도열병이 유행한 적이 있다. 세계적으로는 밤나무줄기마름병(병원체 Endothia parasitica)과 네덜란드느릅나무(병원체 Ceratocystis ulmi) 등이 큰 피해를 가져왔다. 밤나무줄기마름병은 1904년 뉴욕에서 처음 발견되어 확산되기 시작해 수년 사이에 미국 전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생물
  • 느티나무속 Zelkova
    목재와 분재를 만든다. 느티나무속 식물들은 심하게 이 든 미국느릅나무 대신 녹음수로 어느 곳에서나 심을 수 있는데, 미국느릅나무보다 추위에 잘 견디지 못하지만 네덜란드느릅나무에는 더 강하다. 카프카스 원산인 젤코바 카르피니폴리아와 중국 원산인 젤코바 시니카는 잎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을 이루며...
  • 얼룩위조
    또는 황동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끝부분이 마르고 시들며, 열매는 거칠어지고 뒤틀린다. 방제법은 저항성이 있는 변종 또는 에 감염되지 않은 식물을 심는다. 총채벌레류들이 나타나는 시기에 소독을 해주고, 수확하고 난 후 감염된 식물과 남은 작물들을 바로 제거하며, 잡초관리를 엄격하게 한다.→ 네덜란드느릅나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자낭균류 sac fungi, 子囊菌類
    네덜란드느릅나무병균·밤나무줄기마름병균이 포함되어 있다. 사과나무검은별무늬병균(Venturia inequalis)은 수많은 다른 식물에도 을 일으킨다(네덜란드느릅나무, 밤나무줄기마름병, 더뎅이병). 모든 균류 중에서 없어서는 안 될 곰팡이는 자낭균류에 속하는 빵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일 것이다. 이 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균류 , 생물
  • 나무좀류 engraver beetle, bark beetle
    나무에 침투해 뿌리·줄기·씨·열매에 피해를 준다. 몇몇 종은 질병을 옮기기도 하는데 스콜리투스속(―屬 Scolytus)과 힐루르고피누스속의 느릅나무좀은 네덜란드느릅나무(Dutch elm disease)을 일으키는 곰팡이의 일종인 케라토스토멜라 울미(Ceratostomella ulmi)의 포자를 매개한다. 입스속과 덴드록토누스속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 곰팡이의 습격
    1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감자, 20세기 들어 영국에서만 2,500만 그루의 느릅나무를 고사시키는 등 유럽과 북아메리카에 큰 피해를 준 네덜란드느릅나무의 사례에서 극적으로 드러난 바 있다. 동물도 재앙을 비켜가지 않음이 최근 드러나고 있다. 개구리 등 양서류의 피부에 감염돼 죽음에 이르게 하는 항아리...
  • 부정자낭균류 不整子囊菌類, Plectomycetes
    2,500종 이상이 폐쇄된 자실체나 세팔로스포리움(cephalosporium) 속에 자낭을 형성하고 자낭 속에는 자낭포자가 들어 있다. 경제적으로 중요한 속으로는 네덜란드느릅나무과 참나무 입고병의 원인이 되는 세라토시스티스속과 사람을 포함한 동물에 피부병을 일으키는 백선균등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균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네덜란드느릅나무병 (Dutch elm diseas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