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화 南畵, Nan-ga
    일본에서 18~19세기에 많은 화가들이 즐겨 그린 회화양식.|에도 시대[江戶時代 : 1603~1867] 중기와 말기의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화가들 중에는 남화파에 속하는 사람이 많았다. 이 회화 양식은 17~18세기에 중국 청에서 발달한 개인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청의 회화양식을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그들은 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미술
  • 남종화 남파, 南宗畵
    명 말기 당나라 선종의 남북분파에 착안해 중국 산수화를 출신성분과 화풍에 따라 남북 2종으로 구분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남종문인화라고도 한다. 문인들이 비직업적으로 수묵과 옅은 담채를 써서 내면세계의 표출에 치중하고, 시정적이며 사의적인 측면을 중시해서 그린 품격 높은 그림을 가리킨다. 한국에는 17세기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남종화 南宗畵
    동양화의 한 분파로 북종화에 대비되는 화파(畵派).|개설 우리나라에서는 남종화 또는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라는 말로 통용되며, 일본에서는 주로 남화(南畵, 난가)라고 부른다. 이 용어의 시초는 중국 명나라 말의 서화가 겸 이론가로 널리 알려진 동기창(董其昌)과 그의 친구 막시룡(莫是龍)이 1610년경에 쓴 것으...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장자 노장, 莊子
    도척(盜)·거협 등을 썼으며, 상상으로 지어낸 〈외루허 畏累虛〉·〈항상자 亢桑子〉의 저자로도 알려져 있다. 장자는 자신의 이름을 딴 저서 〈장자〉(〈남화진경 南華眞經〉이라고도 함)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장자〉는 총 33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4세기에 읽히던 〈장자〉는 53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는 증거...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남화한인청년연맹 南華韓人靑年聯盟
    내용 재만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이 상하이로 철수하여 전투체제로 개편한 단체로, 맹원(盟員)은 유자명(柳子明)·유기석(柳基石, 일명 柳絮)·장도선(張道善)·정해리(鄭海理)·정화암(鄭華巖)·안공근(安恭根)·오면직(吳冕稙)·이현근(李炫謹) 등이었다. 활동은 일본침략세력의 저지작전으로 1933년 3월 17일백정기...
    시대 :
    근대
    설립 :
    1930년 4월 20일
    성격 :
    독립운동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유자명(柳子明), 유기석(柳基石), 장도선(張道善), 정해리(鄭海理), 정화암(鄭華巖), 안공근(安恭根), 오면직(吳冕稙), 이현근(李炫謹)
    분야 :
    역사/근대사
  • 조선남화연맹 朝鮮南畵聯盟
    개설 고희동, 이상범, 김기창, 노수현, 배렴, 허건을 비롯한 조선인 남화가 40여 명이 연합하여 결성하였다. 1942년 10월 제1회 조선남화연맹전람회를 개최한 이래 43년까지 총 2회의 전시를 열었다. 전시에는 조선인 작가 외에 가타야마 탄(堅山坦), 미키 히로시(三木弘) 등 일본인 작가들도 참여하였다. 설립목적 설립...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42년 8월 30일
    성격 :
    미술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43년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조선남화협회 朝鮮南畵協會
    기관지인 『경성일보』를 통해 1929년 이후의 활동상을 일부 파악할 수 있다. 1929년 결성하여 같은 해 4월 협회의 설립자인 통구경당(通口景堂) 주관의 전국남화전람회를 후원하였으며, 10월 제2회 추계(秋季)전람회를 개최하였다. 이를 볼 때 설립 시기는 1929년 4월 이전에 결성된 것으로 보인다. 재조선 일본인작가...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위치 :
    경성부(京城府) 길야정(吉野町: 현재 용산구 도동)1-91번지
    설립 :
    1929년
    성격 :
    미술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통구경당(通口景堂), 홍중계호(弘中桂湖) 외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남화학원 南華學院
    내용 김규식(金奎植)·서병호(徐丙浩) 등이 중심이 되어 설립하였다. 1919년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학무총장이 된 김규식은 미국에서 돌아와 임시정부의 일을 보는 한편, 교육사업에도 힘을 기울였다. 김규식은 중국인 유지 및 서병호 등과 함께 중국학생과 한국학생을 대상으로 중학예과 2년제, 고등과 4...
    시대 :
    근대
    설립 :
    1923년 9월 11일
    성격 :
    학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규식, 서병호
    분야 :
    역사/근대사
  • 남화진경대문구결 南華眞經大文口訣
    내용 『남화진경』이란 당나라 이후로 장자(莊子)를 남화진인(南華眞人)이라 하면서 그의 책 『장자』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모두 10권이나 현재 권5·6의 1책만 성암문고(誠庵文庫)에 전한다. 을해자로 간행되고, 구결 표기의 한글에서 ㅿ, ㆁ이 비교적 정확하게 사용되면서도 각자병서(各自竝書)가 보이지 않으므로...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구결서, 도가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권
    분야 :
    언어/언어·문자
    소장/전승 :
    성암문고
  • 장자 남화진경, 莊子
    남화진경 南華眞經〉이라고도 한다. 중국의 철학과 종교사상(특히 불교의 선종[禪宗])의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의 중요성은 도(道)를 그 이전 노자의 〈도덕경 道德經〉에서 천명한 무위자연(無爲自然)에 의한 조화보다 더 복잡하고 계몽된 형이상학적 '숙명주의'로 해석한 데 있다. 〈장자〉에 의하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石製 覽花竹山水妙境 印章
    또한 인장의 옆면에 제작 기록이나 시문의 내용을 새기는 방각(傍刻)이라는 새로운 전통을 만들었다. 현존하는 문팽의 인장은 그 수가 적어 가치가 매우 높으나, 명성이 대단했던 만큼 그의 서체를 모방한 위작이 많이 전한다. "남화죽산수묘경"은 '꽃과 대나무가 있는 산수의 조화로운 경치를 감상한다'라는 뜻이다...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4.2cm, 세로: 3.9cm, 높이: 3.4cm
    재질 :
    석인
  • 승리가 안겨준 문제
    희망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베트남에서의 교착상태를 해결해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닉슨의 정책은 군사적으로는 이른바 베트남화 계획을 지향했다. 즉, 베트남에서 미국을 단계적으로 철수시켜 베트남 전쟁 자체를 월남인들에게 맡기겠다는 것이다. 닉슨은 1969년 6월 미드웨이 섬에서 티우 남...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