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태평양비핵지대조약 라로통가 조약, S..
    남태평양 지역에서 핵폭발 장치의 제조·저장·취득·실험 등을 금지한 조약.|1971년 창립한 남태평양 포럼(South Pacific Forum/SPF) 정상회담에서 1985년에 채택해 1986년 12월에 정식으로 발효되었다. 쿡 제도의 수도 라로통가에서 조인되었기 때문에 라로통가 조약(Treaty of Rarotonga)이라고도 한다. 이 조약에 ...
  • 라로통가 조약 (관련어 남태평양비핵지대조약) Treaty of Rarotonga, ..
    좌표 }}legend0 라로통가 조약(Treaty of Rarotonga) 또는 남태평양비핵지대조약(South Pacific Nuclear Free Zone Treaty)은 남태평양비핵무기지대의 형식을 갖춘 조약이다. 이 조약은 이 지역의 경계 내에서 핵무기의 사용, 실험, 소유를 금지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쿡 제도, 피지, 키리바시, 나우루, 뉴질랜드, 니...
    도서 위키백과
  • 아프리카 비핵지대조약 벨린다바 조약, African..
    금지한 의정서에 서명했다. 이 조약은 28개국의 비준을 얻어 발효되었다. 2002년 현재 비준되어 있는 비핵지대 관련 조약은 일명 틀라텔롤코 조약이라고 불리는 중남미핵무기금지조약, 라로통가 조약이라 불리는 남태평양비핵지대조약, 방콕 조약이라 불리는 동남아시아 비핵지대조약, 한반도 비핵화공동선언 등이 있다...
  • 비핵지대 nuclear-weapon free and peace ..
    비핵지대조약이 있다. 중남미와 대서양, 태평양 해역과 역내 24개국이 그 대상으로 1968년 발효되었다. 둘째, 라로통가 조약이라고도 하는 남태평양비핵지대조약이다. 1986년 발효되어 남태평양협의기구 구성국 11개국이 가입하고 있다. 셋째, 방콕 조약이라고도 하는 동남아시아 비핵지대조약으로 동남아시아 10개국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교 , 국제사회
  • 국제 핵비확산 체제 international nuclear nonproliferation..
    protection of nuclear nterial), 원자력수출통제제도(NSG, 쟁가위원회) 등이 있으며, 지역 내 비핵화를 목표로 한 중남미 핵무기금지조약(Tlatelolco Treaty), 남태평양비핵지대조약(Rarotonga Treaty) 등도 다자간 체제이다. 핵비확산 체제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류에게 위협이 되는 원자력의 군사적인 이용 요인을...
    도서 원자력사전 | 태그 원자력
  • 남위 60도 60th parallel south, 南緯60度線
    등 일부 나라와 단체에서는 다르게 정의하기도 한다. 남극 조약도 남위 60도 이남의 모든 육지와 빙붕에 대해서 적용된다. 남태평양 비핵 지대 조약과 라틴아메리카 비핵 지대 조약의 남쪽 경계이기도 하다. 본초 자오선에서 시작해서 동쪽으로, 남위 60도는 다음 지역을 지난다. 좌표 나라, 지역, 해역 주석 좌표...
    도서 위키백과
  • 뉴질랜드의 역사 History of New Zealand, ニュージーランドの歴史
    자유 경제 풍토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이 정책들을 유지하고 있다. 1985년에는 비핵지대(Nuclear freezone)을 선언하였으며, 1985년 남태평양 국가들과의 비핵화 선언인 《라로통가 조약》(Treaty of Rarotonga)을 체결했다. 1987년 데이빗 레인즈가 이끄는 노동당에 의해 뉴질랜드 비핵지대 선언이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