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난세포 시녀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여왕님
    남성이 평생 동안 수많은 정자를 만드는 것에 비하여 여성이 만드는 난자의 수는 매우 적다. 사실, 남성은 간세포(정원세포)가 평생에 걸쳐 계속 분열하지만 여성은 분열능력을 가지고 있는 간세포(난조세포, Oogonia)의 역할이 이미 끝나버린다. 따라서 출생한 이후에는 감수분열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휴면기에 들어간 ...
    도서 누구나 세포 | 태그 세포
  • 난세포 난자, 卵細胞
    암컷의 성세포 또는 배우자.|식물에서는 대배우자(macrogamete)라고도 한다. 동물학에서는 난자, 여러가지 보호막, 영양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캡슐에는 알[卵]이라는 말이 쓰이고, 난세포에 대해서는 난자(ovum)라는 용어가 흔히 쓰인다. 수배우자와 마찬가지로 난세포도 반수의 염색체만 갖고 있다. 그러나 난세포는 ...
  • 난자 난세포, 卵子
    정자와 수정되어 새로운 개체를 발생시킨다. 임신 가능한 기간 동안 300~400개의 여포가 성숙하여 파열되면 성숙한 난자가 난소에서 방출되어 난관으로 들어가고 난관 근육이 수축하여 난자를 자궁 안으로 이동시킨다. 여포자극호르몬이 난자의 성숙을 돕고 황체형성호르몬이 분비로 배란이 일어난다. 난자는 여성의 유...
  • 난세포 卵細胞, ootid
    제1난모세포의 연속적인 2번의 분열에서 유래한 4개의 세포 중의 하나. 포유류에서는 수정이 일어나지 않으면 제2감수분열이 완전하게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난세포는 웅성전핵 및 자성전핵을 갖고 있다.
  • 난소 (관련어 난세포) 卵巢, ovary
    여성이 사춘기에 이르면 난소는 점차 커지고 모양이 변하는데 아몬드 모양으로, 길이가 약 4㎝, 폭 2㎝, 두께 1.5㎝ 정도이며 무게는 4~8g 정도 된다. 난소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혈류로 분비하는 내분비선의 기능을 한다. 에스트로겐은 2차 성징의 발달을 조절한다. 프로게스테론은 수정란이 자궁에 안전하게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식/비뇨기
  • 생식기, 난자 구조 몸속에 가장 큰 세포
    분열을 반복해서 1차 난모세포까지 분열을 마치고 휴면기에 들어간다. 휴면기의 난모세포는 난소 내벽에서 난포라는 작은 주머니에 싸여 있다. 이것을 원시난세포라고 한다. 사춘기가 되면 뇌의 하수체에서 분비하는 난포자극 호르몬의 작용으로 1차 난모세포는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세포로 분열한다. 큰 것을 2차 난모...
    참고 :
    사춘기 여성의 난소에는 약 40만 개의 원시난포가 있다. 그러나 여성이 일생 배란하는 개수는 400~500개 정도고, 나머지는 망가져서 폐경기를 맞이할 무렵에는 사라진다.
  • 난자형성 卵子形成, oogenesis
    태아가 발생을 시작한 지 8~20주 뒤, 앞으로 난세포가 될 세포들은 분열을 거듭하여, 여자 아이가 태어날 무렵엔 여성이 왕성한 생식기간 동안 분비하게 될 모든 난세포들이 이미 난소(卵巢)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세포들을 제1난모세포라 하며 약 40만 개 정도가 있는데, 난세포가 난소에서 분비되는 배란 직전까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극핵 極核, polar nucleus
    두 개의 핵으로 생식세포분열 과정에서 만들어지며 중복수정을 거쳐 배젖으로 발달한다. 속씨식물의 배낭 안에는 중심세포를 중심으로 한 쪽 면에는 1개의 난세포, 2개의 조세포가, 다른 쪽에는 3개의 반족세포가 있다. 이 중 중심세포를 구성하는 것이 2개의 극핵으로, 하나의 세포로 융합되어 있어 중심세포는 2n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속씨식물
  • 종자식물의 생식방법
    1개 생산된다. 다섯째, 소포자는 소포자낭 안에서 수배우체로 발달하며, 수배우체가 성숙하면서 꽃가루관을 내고 이를 통해 정자를 난세포로 운반한다. 여섯째, 정자와 난세포의 결합 및 접합자로부터 포자체로의 발생은 암배우체 안에서 이루어지며 배(胚)가 발생하면서 밑씨는 씨로 성숙한다. 이와 같은 유사점에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황체 黃體, corpus luteum
    황체는 난소에서 성숙해 난자 또는 난세포를 방출하는 여포(follicle : 또는 sac)가 있던 자리에 형성된다. 황체는 자궁이 수정란의 착상과 배의 양육에 보다 적합하도록 자궁 내 변화를 일으키는 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한다. 난세포가 수정되지 않으면 황체는 10~14일 후에 활동이 중지되고 월경이 시작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꽃가루받이 수분, pollination
    가루가 자라기 시작하여 꽃가루관을 만들고 꽃가루관은 계속해서 아래쪽으로 자라 밑씨에 다다른다. 꽃가루관 안에 들어 있던 정세포와 밑씨 속에 들어 있던 난세포가 결합하여 수정이 일어나고 식물의 배가 만들어지며 밑씨가 자라 씨가 된다(→ 종자식물). 꽃가루를 지니고 있는 수술의 꽃밥과 암술머리는 스스로 붙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선태식물의 생활사
    선태류의 생활사는 정자와 난세포를 생산하는 배우체 세대와 포자를 생산하는 포자체 세대(2n)가 교대되는 세대교번을 보인다. 핵상이 반수체로 되어 있는 포자가 발아하면 가지를 친 실 모양의 원사체를 형성하고 여기서 배우체가 자라나게 된다. 성숙한 배우체는 주머니 모양의 장정기 속에 많은 정자를, 목이 달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선태식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7건

〈사진 4〉 배란을 끝낸 사람의 난세포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 ×530
〈사진 5-1〉 수정을 끝내고 난할을 시작한 사람의 난세포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 ×340
〈사진 5-2〉 수정을 끝내고 난할을 시작한 사람의 난세포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 ×340
〈사진 1〉 미숙한 난포(Follicular)를 광학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 토끼. MG염색. ×100
〈사진 2〉 성숙 과정의 난포를 광학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사진. 원숭이. HE. ×85
〈사진 3-2〉 성숙한 난포 일부를 확대한 사진. 생쥐. ×430
〈사진 3-1〉 성숙한 난포 일부를 확대한 사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