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낙엽활엽수림 落葉闊葉樹林낙엽활엽수림은 봄에 새잎이 나고 가을에 잎이 지는 쌍떡잎식물이 자라는 숲이다. 낙엽활엽수는 기온이 낮거나 건조한 계절에는 잎이 떨어지는 넓은잎나무다. 낙엽활엽수는 분류학적으로는 속씨식물 쌍떡잎식물에 속한다. 봄에 새잎이 나고 여름에 푸르고 가을에 잎이 져서 하록낙엽활엽수(夏綠落葉闊葉樹)라고도 한다. ...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
상록활엽수림 常綠闊葉樹林상록활엽수림(常綠闊葉樹林)은 동아시아에서는 난온대 기후의 우리나라 남해안, 중국 남부, 일본 남부에 주로 분포한다. 한반도에서는 중생대에 녹나무속 · 감탕나무속 등, 신생대 제3기 초기부터 송악속 · 가시나무속 · 구실잣밤나무속 등이 출현하였다. 오늘날 한반도에는 130여 종의 상록활엽수가 종 다양성(種多...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물낙엽버섯드물게 방망이 모양이며 가끔 끝이 돌출하고 기름 방울을 가지고 있는 것이 있다. 표피낭상체는 100-117.5×12.5-15㎛이고 긴방망이 모양이다. 표피의 자실층은 6-10×4-5㎛로 끝이 돌출한 방망이형이다. 발생은 여름에 활엽수림의 낙엽에 군생한다. 분포는 한국의 오대산, 변산반도국립공원 등이고 유럽에 분포한다...
- 분류 :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 낙엽버섯속(Marasmius)
- 서식지 :
- 활엽수림의 낙엽
- 학명 :
- Marasmius wettsteinii Sac.&Syd.
- 발생시기 :
- 여름
- 군락형태 :
- 군생.
-
자주색줄낙엽버섯덮여 있고 근부는 약간 굵거나 뿌리 모양인데 거친 털로 덮여 있다. 포자의 크기는 22.5-30×5-7㎛이고 긴 막대 모양이다. 식용은 불가능하다. 발생은 봄에서 여름에 걸쳐서 활엽수림의 낙엽이나 떨어진 나무 가지에 단생 또는 군생하여 나무를 썩힌다. 분포는 한국에서는 지리산, 만덕산, 완주(위봉사)와 일본에 분포...
- 분류 :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 낙엽버섯속(Marasmius)
- 서식지 :
- 활엽수림의 낙엽, 떨어진 가지
- 학명 :
- Marasmius purpureostriatus
- 국내분포 :
- 가야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 발생시기 :
- 봄에서 여름까지
- 이용 :
- 목재부후균.
- 군락형태 :
- 군생
-
털낙엽버섯11-16.5×3-4.5㎛이며 곤봉형 또는 플라스크형이다. 표피세포는 10-16×9-11㎛이고 풍선 모양 또는 두부는 풍선 모양에 자루가 있으며 표면에 돌기가 나 있다. 발생은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활엽수림의 그늘진 축축한 낙엽에 군생하며 낙엽을 분해한다. 분포는 한국에서는 오대산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유럽 등에 분포...
- 분류 :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 낙엽버섯속(Marasmius)
- 서식지 :
- 축축한 낙엽
- 학명 :
- Marasmius capillipes
- 발생시기 :
- 여름-가을
- 이용 :
- 낙엽분해균
- 군락형태 :
- 군생.
-
저도 豬島곤충은 세줄날개가지나방, 큰분홍애기자나방, 쉬파리류, 대모벌, 일본왕개미 등 5종 발견됨. ㆍ주요 식생 · 식물 - 약 40~50년생의 곰솔, 소나무, 낙엽활엽수림 등이 군락을 형성함. - 식물상은 20과 22속 21종 2변종으로 총 23분류군이 출현.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암석해안 및 해빈. 해식애, 타포니, 절리 발달...
- 면적 :
- 434,181m 2
- 좌표 :
- 128° 44′ 30.12″ E, 35° 01′ 05.25″ N
- 해도번호 :
- 206
- 지번 :
-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 산88-1외19
- 소유현황 :
- 국유지(국방부)
- 육지와의 거리 :
- 0.0km
-
물푸레나무 심목(梣木)가지는 회갈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5-7장의 작은 잎으로 된 겹잎이다. 꽃은 4-5월에 새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부리는 없다. 낙엽활엽수림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분류군 내의 형태적 변이가 심하여 분류군의 한계가 명확하지 않다. 형태 줄기는 높이 10m에 달하며, 작은 가지는...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현삼목 > 물푸레나무과 > 물푸레나무속
- 서식지 :
- 산지의 능선, 남사면 및 서사면의 경사 지대
- 학명 :
-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 국내분포 :
- 전국
- 해외분포 :
- 중국 동북부, 일본
-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香爐峰·乾鳳山 天然保護區域따라 분류한 단위)을 형성한다. 각종 참나무속군집, 단풍나무군집도 우세하며, 그것들과 혼생하는 소나무·떡갈나무·버드나무 군집이 눈에 띈다. 이러한 낙엽활엽수림은 이 지역을 대표하는 임상으로서, 특히 건봉산의 동남부계곡은 해양성기후의 영향을 받아 수목과 초본의 성장이 매우 양호하다. 활엽수림의 그늘진...
- 유형 :
- 지명
- 분야 :
- 과학/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