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라밀 도(度), 波羅蜜
    上波羅蜜)로 나눈 것이다. 세간바라밀은 신통(神通)을 얻어 천상(天上)에 나기 위하여 닦는 6바라밀행이고, 출세간바라밀은 이승(二乘)이 열반에 들기 위하여...제도하기 위하여 닦는 6바라밀행이다. 또, 4바라밀은 열반의 4덕(德)인 상(常)·(樂)·아(我)·정(淨)을 뜻하는데, 이는 보살이 바라밀행을 완성하고 불(佛...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상락아정 열반사덕(涅槃四德), 常樂我淨
    을 불성과 여래장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예컨대 『승만경』에서 상락아정은 전도견(顚倒見)이 아닌 정견(正見)이라 한다. 나아가 여래의 법신은 상바라밀(常波羅密), 바라밀(樂波羅密), 아바라밀(我波羅密), 정바라밀(淨波羅密)로 설한다. 열반사덕은 성문(聲聞)과 연각(緣覺)은 헤아릴 수 없는 경계라고 하는데, 그...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반야 Prajñā (Buddhism), 般若
    常)ㆍ(樂)ㆍ아(我)ㆍ정(淨)을 허락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나는 이 공한 법에서 다시 무엇을 구하는가? 마땅히 열반의 최선의 법 가운데 들어가서 머물러야 하며, 정진의 힘을 세워서 깊은 사마타(舍摩陀)를 얻는다.깊은 사마타라는 것은 마음이 한 곳에 머무는 것을 말한다. 이곳에서는 적절히 표현할 이름이 없다...
    도서 위키백과
  • 대승불교의 기원과 역사
    涅槃經〉:이 경의 주제는 석존이 입적할 즈음에 이르러 열반에 드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방편에 불과하며 사실 여래는 상주불변하는 법신이며 열반은 상(常)·(樂)·아(我)·정(淨)의 4바라밀(四波羅蜜)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일체중생이 여래장이라는 사상을 〈열반경〉은 일체중생이 불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대혜도경종요 大慧度經宗要
    여래장 그 자체 안에 훈습력(薰習力)이 있기 때문에 중생이 고(苦)를 피하고 (樂)을 구하는 일을 일으키며, 모든 선한 일들을 보다 적극적이고 활발하게...구하다가 그 중간에 제법실상을 깨닫게 되며, 이것을 반야바라밀이라 한다고 하였다. 그 과정에서 반야바라밀의 상은 무루혜안(無漏慧眼)이라는 설과 유루혜라는...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제20회 대한민국국제청소년영화제
    정준아 - 양주연 슈퍼스타 - 이태양 방어가 몰려오는 저녁 - 문영길 러브레터 - 염채원 이사 - 김현민 십오세는되고청소년은안된다 - 윤지용 타짱 - 이성욱 혜지 - 윤채은 컴퓨터 인터넷 네트워크가 끊겼다 - 박도훈 추상화 - 황은빈 층간소음 - 조민우 사랑의 인사 - 김수종 유원지 - 진우혁 우린 X신이다 - 백종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