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꿀벌레나방류 꿀벌레나방류 꿀벌레나방, carpenter moth크기가 작고 세계 어느 나라에나 있는 나비목 꿀벌레나방과에 속하는 곤충들.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성충은 구기의 흔적만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종으로는 프리노키스투스 로비니아이와 꿀벌레큰나방, 표범굴나방 등이 있다. 개요 곤충강 나비목 꿀벌레나방과에 속하는 절지동물. 학명은 ‘Cossus japonica...
- 분류 :
-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 꿀벌레나방과
- 원산지 :
- 아시아
- 학명 :
- Cossus japonica
-
나방의 채집과 사육꽃꿀이나 나무의 진을 찾는 습성을 이용하여 인공적인 당밀을 만들어 채집하는 방법이다. 인공당밀을 만드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간단하게는 흑설탕을...참나무 · 떡갈나무 등의 나무 줄기에 발라두고 어두워진 후에 그 곳에 모인 나방을 채집하면 된다. 이 방법으로는 빛을 보고 달겨들지 않는 종도 채집할...
-
곤충 昆蟲나비 · 나방), 두 번 변하는 것들(파리 · 모기), 한 번 변하는 것들(매미), 변하지 않는 것들(지네 · 지렁이)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치와 충이 같은 것이어서 서로 변하는 것을 모른다. 그래서 드디어 발이 없는 것을 나충이라 하니 탄식할 만하다.” 이와 같이, ≪물명고≫의 저자는 곤충의 변태사실을 잘 알고...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동물
-
리오네 Pieter Lyonet, Pierre Lyonnet대한 연구 보고 Mém-oires pour servir à l'histoire d'un genre de Polypes d'eau douce à bras en forme de cornes〉(1744)에 삽화를 그렸다. 꿀벌레큰나방 애벌레의 해부 구조를 다룬 〈버드나무를 갉아먹는 애벌레의 구조론 Traité anatomique de la Chenille, qui ronge le bois de Saule〉(1760)이라는 그의...
- 출생 :
- 1708. 7. 22,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
- 사망 :
- 1789. 10. 10, 헤이그
- 국적 :
- 네덜란드
-
떡갈나무 가랑잎나무, Daimyo oak거꿀달걀형이고 둔두 귀형이 보통이지만 심장저, 원저를 거쳐 둔저인 것도 있으며 길이 5 ~ 42cm(보통 9 ~ 22cm), 나비 3.5 ~ 27cm(보통 5 ~ 17cm)로서 가장자리에 3~17쌍의 측맥이 뚜렷하고 큰 치아모양톱니가 있다. 양면에 갈색의 별모양털이 있으나 없어지고 주맥 위에만 남으며 뒷면에는 끝까지 긴 성모가 남고...
- 분류 :
- 참나무목 > 참나무과 > 참나무속
- 학명 :
- Quercus dentata Thunb.
- 개화기 :
- 4월, 5월
-
갈참나무 Oriental Chestnut Oak, <일>ナラガシワ거꿀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5~30cm, 나비 3~19cm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가 보통이지만 원저 또는 심장저도 있고 끝이 둔하며 4~8쌍의 이빨모양 또는 뾰족한 톱니가 있고 표면은 광택이 나는 녹색이며 뒷면은 회백색이고 2~17개로 갈라진 성모가 있으며 주맥 위의 단모는 곧 떨어지고 잎자루는 길이 1~36mm...
- 분류 :
- 참나무목 > 참나무과 > 참나무속
- 학명 :
- Quercus aliena Blume
- 개화기 :
- 5월
-
느릅나무 가유, Japanese Elm거꿀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의 시과로 중앙부에 잔털이 있고 길이 1.0~1.5cm되고 5월 중순에 익는다. 종자는 날개의 상부에 치우쳐 있는 편이고 열매에는 전혀 털이 없다. 줄기 원줄기가 곧게 자라고 많은 가지가 생겨 둥근 수형을 이룬다. 나무껍질은 암갈색으로 세로로 균열이 생긴다. 일년생가지는 적갈색으로 단모가...
- 분류 :
- 쐐기풀목 > 느릅나무과 > 느릅나무속
- 꽃색 :
- 자주색
- 학명 :
-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 개화기 :
- 3월, 4월, 5월
-
천적 天敵요인은 다양한데 흔히 문제가 되는 것은 먹이조건이나 서식장소이다. 혼효림(混淆林:혼합림)을 조성하거나 밀원식물(蜜源植物:꽃이나 잎에서 꿀을 분비하는 식물)을 도입하는 것은 그 예이다. 천적류의 이식은 무당벌레류와 같이 떼를 지어 월동할 때 이를 채집하여 필요한 곳에 방사하는 수도 있으나, 주로 실내에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동물
-
들메나무 Manchurian Ash, <일>やちだも식재할 수 있다. 껍질은 염료, 탄닌을 채취할 수 있으며, 꽃에는 꿀을 생산할 수 있는 밀원이 풍부하다. 보호방법 자생지와 자생지외 지역의 꾸준한 보호와 관리...천연하종발아도 잘된다. 병해충정보 • 충해:박쥐나방, 미국흰불나방, 진딧물류, 깍지벌레류, 잎벌레류, 들메나무 하늘소 • 병해:흰가루병, 탄저병, 잎...
- 분류 :
- 물푸레나무목 > 물푸레나무과 > 물푸레나무속
- 학명 :
- Fraxinus mandshurica Rupr.
- 개화기 :
- 5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