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꼬막조개 ark shell
    꼬막조개류는 패각의 길고 곧게 뻗은 접번선(hinge line)에 많은 수의 작은 교치(interlocking teeth)가 있고, 배 모양의 패각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패각은 보통 두꺼우며 털이 있는 유기질의 각피층(periostracum:패각을 이루는 3겹의 층 중에서 유기질로 된 최외각층)으로 덮여 있다. 꼬막조개류의 외투연(mantle...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체동물
  • 꼬막
    다음 발생하여 2∼3주일간 부유생활(浮游生活)을 마치고 직접 바닥의 모래위에 침강하여 착저한 후 성장하면서 저질 중에 잠입하여 서식한다. 꼬막은 비부착성 조개류이다. 꼬막은 예로부터 연안어민들의 식품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정약전(丁若銓)의 『자산어보(玆山魚譜)』에는 살이 노랗고 맛이 달다고 기록되어...
    분류 :
    돌조개과
    성격 :
    동물, 조개
    유형 :
    동식물
    크기 :
    길이 50㎜, 높이 40㎜, 너비 35㎜
    학명 :
    Tegillarca granosa L
    분야 :
    과학/동물
  • 피조개 피조개 피조개, bloody clam
    개요 연체동물문 이매패강 돌조개과의 한 종. ‘피조개’라는 이름은 헤모글로빈을 함유한 연체가 붉다고 해서 붙은 것이다. 각장은 12cm, 각고는 9cm 내외이다. 껍데기는 흑갈색의 달걀꼴로 잎가장자리는 둥글고 뒷가장자리는 비스듬히 잘려 있으며 맞물린 자리에는 곧고 작은 이가 몇 줄 있다. 각표에는 42개 내외의...
    분류 :
    연체동물 > 부족강 > 사새목 > 꼬막조개과
    학명 :
    Scapharca broughtonii
    용도 :
    구이용, 찜용, 무침용
  • 꼬막 고막조개
    주로 겨울철에 즐기는 별미 식재인 꼬막은 '참꼬막'과 '새꼬막', '피꼬막(피조개)'으로 분류한다.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 일대에 많이 분포하며 갯벌에서 서식한다. 전남 보성군 벌교읍은 지방 향토음식으로 꼬막요리가 유명하다. 특히 피꼬막은 헤모글로빈이 많아 철분이 풍부하고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등...
    원산지 :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 인도양, 서태평양 등
    크기 :
    2~2.5㎝
    학명 :
    Tegillarca granosa L
    영양 성분 :
    단백질, 칼륨, 엽산
  • 피조개
    SCHRENCK)이다. 형태는 난형으로 양쪽 조가비는 팽출(膨出)이 잘 되어 있고 꼬막류 중에서 가장 얇으며 특히 어릴 때는 아주 얇다. 조가비 겉면에는 백색인 볼록...안쪽은 백색이며, 각장 120㎜, 각고 90㎜, 각너비 75㎜가 되는 대형조개이다. 우리나라의 남해안과 동해안의 내만에 많이 분포하며, 특히 진해만산은...
    분류 :
    꼬막조개과
    성격 :
    동물, 패류
    유형 :
    동식물
    크기 :
    각장 120㎜, 각고 90㎜, 각너비 75㎜
    학명 :
    Scapharca broughtonii(SCHRENCK)
    분야 :
    과학/동물
  • 불티나꼬막짬뽕
    당일 공수한 재료를 당일 소진한다는 원칙으로 운영 중이다. 이 때문에 재료가 모두 소진되면 영업을 조기에 마감한다. 대표 메뉴는 꼬막조개가 양껏 들어간 꼬막짬뽕이다. 대개 꼬막짬뽕을 주문한 사람들은 면을 모두 먹은 다음 공깃밥을 육수에 말아먹는다. 이곳에서는 꼬막짬뽕 외에 꼬막짬뽕밥, 짜장면, 탕수육...
    위치 :
    충청남도 아산시 방축동 20-7
  • 꼬막 Tegillarca granosa, ハイガイ
    꼬막을 삶아서 양념에 무쳐먹는데, 쫄깃한 맛이 특징이다.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의 특산물이어서, 조정래의 소설 태백산맥에 등장한다. 참고로, 꼬막을 안다미 조개라고도 하는데, 이는 우리말 안다미로에서 유래하였다. 한국에서 꼬막이 가장 맛있는 시기는 11월부터 3월 사이이다.출처 두피디아 분류군 식별자위키...
    도서 위키백과
  • 백합류 clam
    다이과(Sanguinolariidae)·판도리다이과(Pandoridae)·트라키다이과(Thraciidae)와 퇴조개류·쇄방사늑조개류 등이 있다. 멸종한 미알리나속은 층서학적(層序學的)인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백합류에 속하는 종이나 무리에 대해서는 '꼬막조개류', '왕우럭조개류', '죽합류', '파노프조개' 항목 참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체동물
  • 조개 Clam, 蛤蜊
    족사부착쇄조개과 코끼리조개 석공조개과 돌맛조개 우럭과 우럭 백합목 백합과 대합 바지락 백합 개량조개과 동죽 재첩과 재첩 가리맛조개과 가리맛조개 죽합과...이매패류 (계속) 가리비목 가리비과 가리비 국자가리비 돌조개목 돌조개과 꼬막 피조개 담치목 홍합과 섭조개 진주담치 홍합 굴목 굴과 굴 참굴 진주조개목...
    도서 위키백과
  • 외나로도 外羅老島
    겸하며, 농산물로는 쌀·보리·고구마·유채·유자 등이 생산된다. 연근해에서는 삼치·갯장어·참돔·낙지·꽃게·병어·서대 등이 잡히고, 김·미역·꼬막·조개 등의 양식이 이루어진다. 매년 9~11월에는 삼치파시가 열리며, 북서쪽 신금리의 축정항은 어항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최근에는 근해어업기지이며 여수...
    인구 :
    1,883 (2016)
    면적 :
    26.005㎢
    소재지 :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길이 :
    해안선 45.6km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내동 지석묘 내동고인돌, 內洞 支石墓
    겹 채운 모습이며, 무덤방의 바닥면에는 전체적으로 깬돌이 깔렸다. 출토 유물로는 붉은간토기 및 돋을띠무늬토기 등이 있는데, 뚜껑돌 위에서 발견된 꼬막 조개껍데기와 붉은간토기를 통해 뚜껑돌을 덮은 후에 장송 의례가 거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돌무더기 사이에서는 성인의 아래턱뼈와 팔뼈로 분석된 사람 뼈의...
    시대 :
    선사/청동기
    유형 :
    유적/고인돌·고분·능묘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창녕상설시장
    서는 곳으로 평상시에는 주차장으로 사용되지만 3일, 8일이 되면 어김없이 전통 시장으로 변신한다. 고추, 마늘, 양파 등 각종 채소류와 제철 과일 그리고 꼬막, 조개, 새우 등의 신선한 해산물, 잉어, 가물치, 미꾸라지 등 민물고기를 판매하는 어물전도 즐비하다. 건조식품, 가전용품, 약재, 떡 등 판매하는 품목도...
    위치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창녕시장길 66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꼬막조개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