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꼬리이끼 wind-blown moss
    이끼목에 속하는 꼬리이끼이끼. fork moss라고도 함.|북반구 전역에 걸쳐 수백 종이 자란다. 흙·통나무·바위 등에서 방석 모양으로 무리져 빽빽하게 자라며 북아메리카에는 20종 이상이 있다. 가장 흔한 종은 비꼬리이끼로 빗자루나 덤불처럼 자라기 때문에 때때로 빗자루이끼(broom moss)라고 부른다. 줄기는 ...
    분류 :
    선태식물 > 선강 > 참이끼목
    원산지 :
    북아메리카
    서식지 :
    흙, 통나무, 바위
    크기 :
    약 5cm ~ 12cm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선태식물
  • 호랑꼬리이끼 범꼬리이끼
    중앙세포는 선형이고 유두는 없다. 기부세포는 선형이고 세포벽은 두꺼우며 막공이 있다. 삭병은 황갈색이고, 삭은 곧게 서며 원통형이다. 북한에서는 범꼬리이끼라고 부른다. 형태 식물체는 녹색 또는 황록색이며 군생한다. 1차 줄기는 기어 자라고 2차 줄기는 곧게 서며 수목상이 되고 불규칙하게 분지한다, 2차 줄기...
    분류 :
    선태식물문 > 선강(솔이끼강) > 방울이끼목 > 호랑꼬리이끼과 > 호랑꼬리이끼속
    서식지 :
    돌 위
    학명 :
    Isothecium cymbifolium Lindb.
    국내분포 :
    제주
    해외분포 :
    일본, 중국, 타이완
  • 잎눈꼬리이끼 곧은털이끼
    개요 썩은 나무에 군생하거나 나무 기부에 산다. 식물체는 작고 녹색 또는 암녹색이며 윤기는 없다. 줄기는 곧게 서며 끝에는 비늘잎을 가진 다수의 무성아가 있다. 줄기잎은 마르면 말리고 피침형이고, 잎 끝은 송곳 모양으로 신장한다. 잎 가장자리는 내곡하며 전연이지만 잎 상부에는 치돌기가 있다. 잎맥은 뚜렷하고...
    분류 :
    선태식물문 > 선강(솔이끼강) > 꼬리이끼목 > 꼬리이끼과 > 꼬리이끼속
    서식지 :
    썩은 나무 위, 나무 기부
    학명 :
    Dicranum flagellare Hedw.
    국내분포 :
    전북, 강원, 제주
    해외분포 :
    일본, 중국, 극동러시아, 코카서스, 유럽,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 울릉잎맥호랑꼬리이끼
    개요 최근까지 일본의 고유종이라고 알려진 식물이지만, 울릉도 성인봉 인근에서 자생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분포지역은 홋카이도, 혼슈 및 울릉도이다. 식물체는 황록색 또는 녹색이며, 1차 줄기는 땅 위를 기어 자라고 2차 줄기는 비스듬히 선다. 2차 줄기잎은 복와상으로 착생하며 난상 타원형이고 가운데가 오목하게...
    분류 :
    선태식물문 > 선강(솔이끼강) > 방울이끼목 > 호랑꼬리이끼과 > 잎맥호랑꼬리이끼속
    서식지 :
    산지 능선부의 부식토가 깔린 바위 위
    학명 :
    Isothecium hakkodense Besch.
    국내분포 :
    울릉도
    해외분포 :
    일본
  • 잎맥호랑꼬리이끼 쪽배이끼
    치돌기가 있다. 잎맥은 잎 길이의 2/3에 달한다. 잎 중앙세포는 선형이며 세포벽은 두껍고 유두는 없다. 익부세포는 잘 발달하고 사각형이다. 북한에서는 쪽배이끼라고 부른다. 형태 식물체는 연녹색 또는 녹색이며 약간 윤기가 있다. 1차 줄기는 기어 자라며 짧고 2차 줄기는 50mm이고 불규칙하게 분지한다. 비늘줄기잎...
    분류 :
    선태식물문 > 선강(솔이끼강) > 방울이끼목 > 호랑꼬리이끼과 > 잎맥호랑꼬리이끼속
    서식지 :
    돌 위, 나무 기부
    학명 :
    Isothecium subdiversiforme Broth.
    국내분포 :
    충남, 제주
    해외분포 :
    일본, 중국, 타이완
  • 꼬리이끼 Dicranales, シッポゴケ目
    생물 분류 꼬리이끼목(Dicranales)은 꼬리이끼아강에 속하는 이끼 목 중의 하나이다.웹 인용 브루키아과 (Bruchiaceae) 칼림페롭시스과 (Calymperaceae) 카토스코피움과 (Catoscopiaceae) 꼬리이끼과 (Dicranaceae) 금실이끼과 (Ditrichaceae) 나무연지이끼과 (Erpodiaceae) 에우스티키아과 (Eustichiaceae) 봉황이끼과...
    도서 위키백과
  • 너구리꼬리이끼 Rhizogoniales, ヒノキゴケ目
    생물 분류 너구리꼬리이끼목(Rhizogoniales)은 참이끼아강에 속하는 이끼 목 중의 하나이다. 긴몸초롱이끼과 (Aulacomniaceae) 오르토돈티움과 (Orthodontiaceae) 너구리꼬리이끼과 (Rhizogoniaceae) 각주분류군 식별자
    도서 위키백과
  • 이끼숲반지꼬리주머니쥐 Painted ringtail possum
    생물 분류 이끼숲반지꼬리주머니쥐(Pseudochirulus forbesi)는 반지꼬리주머니쥐과에 속하는 유대류의 일종이다.MSW3 Groves 인도네시아와 파푸아뉴기니에서 발견된다. 캥거루목
    도서 위키백과
  • 이끼 Oncophorus
    길며 잎세포는 네모꼴로, 밑쪽으로 갈수록 긴 네모꼴이 된다. 잎가장자리는 2층의 세포가 있고 잎의 위쪽에는 돌기가 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종은 곱슬혹이끼로 산과 들이나 바위 위에서 자라며, 식물체는 섬세한 짙은 녹색으로 바위에 작은 덩어리를 이룬다. 줄기는 보통 1㎝ 이하이고, 잎은 길이가 3~4㎜ 정도이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선태식물
  • 소뇌의 운동학습 운동학습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형성하지요. 그리고 곁가지를 내어 꼬리핵, 조가비핵, 창백핵, 시상복외측핵, 적핵과 시냅스합니다. 계속해서 운동신경섬유는 교뇌핵과 시냅스하고 연수에서...운동학습이 되지요. 소뇌 푸르키녜세포, 소뇌심부핵, 평행섬유, 등정섬유, 이끼섬유를 형성하는 신경세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억제성 뉴런 : 별세포...
  • 봉황이끼 Fissidens, ホウオウゴケ属
    생물 분류 봉황이끼속(Fissidens)은 꼬리이끼목 봉황이끼과에 속하는 이끼 식물 분류군이다. 봉황이끼과는 봉황이끼목(Fissidentales)의 단일 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름은 잎이 봉황새의 깃털처럼 생겨서 붙여졌다. 잎은 녹색부터 암녹색까지 띠며,Moss Flora of China (2001) Vol. 2 p.3 잎이 줄기에 2열로 늘어서...
    도서 위키백과
  • 긴방울이끼 큰방울이끼
    분포한다. 잎맥은 1개이다. 삭병과 삭은 포엽에 쌓여 있다. 북한에서는 큰방울이끼라고 부른다. 형태 식물체는 모여서 자라며 황록색 또는 담녹색이며 광택이...1차 줄기는 기어 자라고 2차 줄기는 서고 비스듬히 굽어지며, 마르면 끝이 꼬리 모양으로 위쪽으로 말려 올라간다. 잎은 밀생하며 우상분지를 하고 작은 가지...
    분류 :
    선태식물문 > 선강(솔이끼강) > 방울이끼목 > 방울이끼과 > 방울이끼속
    서식지 :
    돌 위
    학명 :
    Forsstroemia neckeroides Broth.
    국내분포 :
    전북
    해외분포 :
    일본, 중국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꼬리이끼
호랑꼬리이끼
잎눈꼬리이끼
잎맥호랑꼬리이끼
울릉잎맥호랑꼬리이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