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나리류 feather star
    해산 무척추동물인 극피동물문에 속하며 자루를 갖지 않는 바다나리류(crinoid).|현재 550종이 있다. 완은 보통 5개인데 깃털 모양의 우지를 갖고 있다. 대개 해저 표면이나 일부 부유물에 붙어서 떠다니는 미생물을 완의 끈끈한 홈 안으로 끌어들여 먹고 산다. 나리류는 얕은 바다의 암석으로 된 해저에서 주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극피동물
  • 바다나리 Crinoid, ウミユリ綱
    우지(pinnule)을 가지며 깃털모양이다. 보대구는 열려 있으며 섬모가 있어서 먹이를 입까지 운반한다. 천공판과 가시, 차극이 없다. 대부분의 바다나리류는 심해산이지만 나리류는 얕은 바다에 살며 특히 서인도~카리브해에 흔하다. 현생종은 대개 길이가 15~30cm이고, 화석종 중에는 자루의 길이가 25cm인 것도...
    도서 위키백과
  • 관절목 Articulata
    일생 동안 자루가 있는 유병류(stalked crinoids:바다술류)와 변태중 일시적으로 자루가 생겼다가 없어지는 무병류(unstalked crinoids:바다양치류, 나리류)가 있다. 유병류는 전세계에 약 80종(種)이 알려져 있으며, 고착생활을 한다. 무병류는 성체 때 자유생활을 하며 약 550종이 밝혀져 있고, 주로 인도양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극피동물
  • 극피동물의 분류
    2차적으로 없다. 악부는 작고 컵 모양으로 대개 가지를 치고 있으며, 먹이를 잡는 완에는 작은 우지가 매우 많다. 유병(有柄)인 바다술류와 무병(無柄)인 나리류로 나뉘는 현존 관절아강(Articulata)이 있다. 약 700종의 현생종이 있다(→ 바다나리). 불가사리아문(Asterozoa) 화석종과 현생종이 있다(오르도비스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극피동물
  • 극피동물의 운동
    즉 바다술류는 보통 부착기라고 불리는 병부의 끝에 있는 구조물로 표면에 단단히 붙어 있으며, 새로운 부착장소를 찾아 움직이기도 한다. 무병 바다나리류, 즉 나리류는 보통 그들의 수많은 완을 위아래로 움직여 유영한다. 유영은 바다나리류와 거미불가사리류, 해삼류에서 알려져 있다. 바로서기 반응 극피동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극피동물
  • 불가사리 starfish
    sunflower starfish)는 15~24개나 되는 많은 완을 갖고 있으며 지름이 보통 60cm쯤 된다. 넓은 반과 짧은 완을 갖고 있는 헬리아스테르속은 중앙 아메리카의 서해안에 서식하며 50개나 되는 많은 완을 갖기도 한다. 한국 근해에는 팔손이불가사리 등의 차극목 종류가 있다.→ 거미불가사리, 나리류, 악마불가사리
    분류 :
    극피동물 > 불가사리강 > 차극목 > 불가사리과
    서식지 :
    바다 밑 모래뻘
    크기 :
    약 10cm ~ 20cm
    학명 :
    Asterias amurensis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극피동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