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전력 起電力, electromotive force도체 내에서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양. 도체 내 두 점 간의 기전력은 도체 내 전계의 선적분(線積分)으로 주어지며, 국제 단위계(SI)에서 정한 단위는 전위 차와 동일한 볼트(V)이다.
-
Electromotive force 기전력, 起電力Electromotive force, also called emf (denoted \mathcal{E} and measured in volt), is the voltage developed by any source of electrical energy such as a battery or dynamo. It is generally defined as the electrical potential for a source in a circuit. A device that supplies electrical energy is call...출처 영어 위키백과
-
유도 기전력 誘導起電力, induced electro-motive force수(자속)가 변할 때 회로에 생기는 유도 전류는 자기력선의 수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또는 자석의 운동 방향으로 흐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유도 기전력의 방향은 코일 면을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즉, 유도 전류에 의한 자기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이 된다. 이것을...
-
전자기 유도 電磁氣誘導, electromagnetic induction유도 기전력(전압)은 다음과 같다. 아래 그림과 같이 막대자석을 코일에 가까이했다 멀리했다 하여 코일 속을 지나는 자기력선에 변화를 주면 코일에 유도 전류가 발생된다. 이 경우 전류의 세기는 코일의 감은 횟수와 자기력선의 변화에 비례하여 커지는데, 교류 발전기는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아래 그림에서...
-
유도 기전력 誘導起電力, Induced Electro-motive Force전자기 유도에 따라 생기는 기전력. 폐회로 가까이에서 자석을 움직이거나 전류가 흐르는 다른 회로를 이용해 자기장을 변화시키면 폐회로에 전류가 통하게 되는데 이때 전류를 생성하는 힘을 뜻한다. 유도 기전력은 발전기가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원리가 되며 자기장 변화만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
볼타 전지 volta cell구리 금속의 반응성의 차이에 따른 산화 ・ 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전류를 흐르게 만든 장치다. 볼타 전지에서 두 금속 사이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힘을 기전력 또는 전위차라 하는데 그 크기는 약 1.1V이다. 볼타 전지는 그림처럼 금속 아연과 구리를 전해질인 묽은 황산에 넣고 도선으로 연결하면, 반응성이 큰 아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