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온체감률 氣溫遞減率, lapse rate
    지구대기권 내에서 고도에 따라 관찰되는 온도변화율.|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내려가면 체감률은 양(+), 온도가 변하지 않으면 영(0), 온도가 올라가면 음(-)이 된다. 특히 부의 기온체감률기온역전이라 한다. 보통 정상기온 혹은 실제기온체감률이라고 하는 상승하지 않는 공기의 체감률은, 복사, 대류 및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건조단열감률 乾燥斷熱減率, dry adiabatic lapse rate
    냉각되거나 하강함에 따라 승온되는 기온 변화율이다. 건조단열 기온변화율은 고도 100m 변함에 따라 대략 ±1.0℃이다. 습윤단열감률은 건조단열감률보다 적게 나타나며 실제 기온감률과 비교하여 대기의 안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습윤단열감률과 구분하는 이유는 공기덩이의 상승과 하강에 따른 수증기의 잠열의 흡수...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기온감률과 체감온도 등산 조난 대처법
    저체온증에 제대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온감률과 체감온도에 대한 올바른 상식이 필요하다. 기온감률이란 높이에 따라 기온이 낮아지는 비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100m가 높아짐에 따라 건조한 공기에서는 섭씨 0.5℃가량 낮아지고, 습한 공기에서는 섭씨 1℃가량 낮아지며, 보통 대기에서는 섭씨 0.6℃가량 낮아진다...
    도서 똑똑한 등산 | 태그 취미
  • 기온감률 氣溫感率, temperature lapse rate
    값은 공기덩이가 건조공기인가, 습윤공기인가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00m 상승할 때마다 0.65oC가 감소한다. 건조공기인 경우에는 건조단열감률 (dry adiabatic rate)에 따라 기온은 100m 상승시 약 1oC의 온도감소를 보이고, 습윤공기인 경우에는 습윤단열감률 (moist adiabatic rate)이 적용되어 100m마다 0.5oC의...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기온 감률 Lapse rate, 気温減率
    기온 감률은 고도가 상승함에 따라 대기의 온도가 감소하는 비율이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지구의 대류권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 개념은 중력에 의해 묶여진 기체로 확장될 수 있다. "the Glossary of Meteorology"의 공식 정의는 다음과 같다: 높이에 따른 온도의 감소에서 별도로 명시되지 않은 한, 온도가...
    도서 위키백과
  • 기온 감률 氣溫減率, Lapse Rate
    고도 상승에 따른 온도의 변화율. 대류권 내의 기온 감률은 약 6.5℃/㎞(표준 온도 체감율에 의한 온도 변화는 대략 1,000피트당 섭씨 2도씩 감소)이다.
    분야 :
    항공
  • 단열감률 斷熱減率, adiabatic lapse rate
    熱]의 방출로 인해 감률이 감소하게 되어 일반적으로 100m 당 0.5∼0.6℃로 낮아진다. 습윤단열감률 값은 지표면 인근의 기온에 따라서 변화하게 되는데, 100m 당 0.5℃ 정도의 습윤단열감률은 지표면 근처의 기온이 20℃라고 가정되었을 경우의 값이다. 기온이 감소하면 습윤단열감률과 건조단열감률 값이 유사해진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온도감률 溫度減率, lapse rate of temperature, temp..
    기온감율 또는 기온체감율이라고도 한다. 대체적으로 건조상태는 100m마다 1℃씩 낮아지며 습윤상태는 0.5℃씩 낮아진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단열 체감율 斷熱 遞感率, adiabatic lapse rate
    熱]의 방출로 인해 감률이 감소하게 되어 일반적으로 100m 당 0.5∼0.6℃로 낮아진다. 습윤단열감률 값은 지표면 인근의 기온에 따라서 변화하게 되는데, 100m 당 0.5℃ 정도의 습윤단열감률은 지표면 근처의 기온이 20℃라고 가정되었을 경우의 값이다. 기온이 감소하면 습윤단열감률과 건조단열감률 값이 유사해진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기온역전 氣溫逆轉, temperature inversion
    공기는 압력의 증가로 인해 압축되어 공기층의 하부보다 상부가 더 많이 침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압축에 의한 열은 하부보다 상부가 훨씬 커지게 되며, 기온체감률은 감소하게 된다. 만일 기단이 충분히 하강하면 기단의 상부는 하부보다 온도가 높아져서 기온역전이 발생한다. 겨울철에 대륙의 북부나 아열대의 바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기온 氣溫
    평균 0.65℃/100m씩 기온이 하강한다. 그 값을 환경기온감률 또는 기온감률(temperature lapse rate)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고도 상승에 따른 기온 하강은 대류권과 성층권 사이의 경계면인 대류권계면(對流圈界面)까지 나타나며 권계면 부근에서는 온도변화가 거의 없다. 대류권의 환경기온감률은 대류권계면에서의...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뇌우 雷雨, thunderstorm
    적당한 수직적인 온도분포가 필요하다.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온이 감소하는 비율을 기온체감률(氣溫遞減率)이라 하는데, 일반적으로 뇌우는 급격한 기온감률(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온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상태)을 보이는 곳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뇌우가 발생하는 이유는 주위보다 따뜻한 공기덩어리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