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압 氣壓, atmosphere
    지표의 해수면에 작용하는 평균대기압과 거의 같은 크기인 압력단위. '표준기압'이라고도 한다. 1기압은 기상학에서 사용하는 압력계에서 760mm의 수은 기둥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에 해당한다. 기압이 낮다는 것은 쌓여 있는 공기 층의 무게가 적고, 기압이 높다는 것은 공기 층의 무게가 많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기압 氣壓, atmospheric pressure
    대기압 또는 기압은 대기가 지구 표면을 누르는 힘이다. 적은 양의 공기가 내리누르는 높은 산에서는 해수면에서보다 대기압이 낮다. 더 많은 공기가 내리누르는 광산의 깊은 갱도 안에서는 대기압이 높다. 고기압과 저기압 저기압에서는 상승기류가 발생하여 공기가 위로 올라가고,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낮아진...
    도서 손안의 지구과학 | 태그 지구
  • 기압 氣壓, air pressure
    대기의 무게로 인해 접촉하고 있는 면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힘을 의미|기압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의 무게로 인해 접촉하고 있는 면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단위 면적(1m2)당의 힘을 의미한다. 기압의 차원은 M/LT2(M은 질량, L은 길이, T는 시간)으로 표시되며, 위에 쌓인 대기의 무게로...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기압 Standard atmosphere (unit), 標準気圧
    기호: atm)은 압력의 단위로, 지구 해수면 근처에서 잰 대기압을 기준으로 한다. 1기압은 101325 Pa, 760 mmHg이다. 기준압력(reference pressure)이나 표준압력(standard pressure)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해수면에서 지구의 평균 대기압과 거의 같다. 대기압 저기압 고기압 열대저기압 온대저기압 태풍 파스...
    도서 위키백과
  • 온도와 기압 (동의어 기압)
    주위 공기의 온도를 아는 것은 내일의 일기 예보를 준비하는 데 있어서 기상학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뜨겁고 차가운 공기의 온도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최고 및 최저 온도를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대기의 압력을 추적하는 것 역시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 지구를 순환하는 고기압과 저기압의 영역들은 일기의 ‘지...
  • 고도에 따라 기압은 얼마나 감소할까?
    수학을 이용하여 고도가 낮아질수록 기압이 얼마나 되는지를 계산할 수 있다. 지상에 가까워지면 중력으로 인해 공기 분자에 가해지는 기압은 최대(해수면에서 약 1,000밀리바)가 된다. 약 18,000ft(5,500m) 높이에서 기압은 500밀리바까지 낮아진다. 40마일(64.37km) 지점에서는 지상 기압의 1/10000이 된다. 다른 방법...
  • 기압광선 氣壓光線, barometric light
    전기방전은 기압계 관 내에 들어 있는 희박한 기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네온(Ne)은 대기압에서도 붉은 빛을 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기압광선은 반드시 기압계 관을 흔들어주어야 나타나는데, 이는 기압계 관을 흔들 때 수은이 튀면서 그리고 수은이 기압계 관의 표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대전 현상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남고북저형의 기압배치
    낮아서 바다에 고기압이 위치하고, 대륙에 저기압이 위치하여 남쪽에 고기압이 있게 되고 북쪽에 저기압이 자리하게 되는데 이를 남고북저형(南高北低型)의 기압배치라 한다. 여름이 되어 태양고도가 점점 높아지면 저위도로 물러났던 북태평양 고기압이 북서쪽으로 세력을 확장해오며, 오호츠크 해 기단과 북태평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상/기후
  • 서고동저형의 기압배치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부 아시아의 겨울철 대표적인 기압배치는 시베리아 고기압과 알류샨 저기압 간에 형성되는 서고동저(西高東低)형으로 시베리아 고기압이 강력하게 발달할 때는 두 기압간의 차이가 80mb에 달하게 된다. 이때 남동쪽으로 한랭한 북서계절풍이 한파를 이루면서 세차게 불어와 2~3일 동안 기온이...
    도서 다음백과
  • 기압경도력 氣壓傾度力, pressure gradient force
    대기 중에서 두 지점의 기압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힘. 바람이 불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 기압은 수평적 관점에서 고기압과 저기압으로 나뉘고 위로 올라갈수록 낮아지는데, 어떤 두 지점 간에 이에 따른 기압의 차이가 발생하면서 기압경도력이 생기고 이것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한다. 이는 바람이라는 자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태풍 颱風, typhoon
    cyclone)이라 한다. 강도에 따라 열대 요란, 열대 폭풍, 태풍으로 분류되며, 강도는 주로 최대풍속에 의해 결정된다. 태풍의 계급은 ① 중심에서의 최저기압, ② 1~3분 또는 5분 동안의 평균 풍속이나 돌풍의 세기, ③ 풍향, ④ 강수량과 강수강도, ⑤ 87km/h 또는 118km/h 풍속이 나타나는 반지름, 또는 1,000mb(밀리바...
  • 기압외상 Barotrauma
    어지럽고 귀속이 웅웅거린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는 갑자기 고도가 변했을 때 외부압력과 내부압력의 차이로 중이에 발생하는 압력에 의한 외상으로, 기압외상 혹은 압력상해로 불린다. 대개, 공기가 코에서 중이로 들어가 평형을 유지하는데 기압이 차이가 날 경우는 코에서 귀까지 이어진 유스타키오관이 기능을...
    도서 생활 속 건강 | 태그 건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4건

고기압과 저기압
기압 기록계
기압 패턴
기압 경도
전 지구 기압
겨울 기압 배치
여름 기압 배치
겨울 기압 배치
여름철 기압 배치도
▲ {1월 기압과 바람}
▲ {8월 기압과 바람}
온도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1기압 산소 기체 1 g)
 ① 인공 위성에서 찍은 아프리카의 열대 저기압 ② 높이와 기압 ③ 자기 기압계 ④ 아네로이드 기압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