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본 Basic law, 国家基本法
    다른 뜻 기본(basic law)은 성문화된 헌법이거나, 성문화되지 않은 헌법이 있는 국가에서는 헌법의 효과를 갖도록 고안된 법률이다. 기본이라는 용어는 어떤 곳에서는 "헌법"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되며, 헌법이 공식적으로 제정될 때까지 임시적이지만 필요한 조치로 의도될 수 있다. "기본"은 때때로 헌법처럼 "...
    도서 위키백과
  • 기본 Fundamental Laws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가 표면상으로 자신이 10월선언(October Manifesto)에서 약속한 정부개혁을 실행하기 위해 공포한 법률(1906).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국어기본 國語基本法
    개설 ‘국어기본’은 국어의 사용을 촉진하고 국어의 발전과 보전의 기반을 마련하여 국민의 창조적 사고력의 증진을 도모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고 민족문화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제정된 국어 관련 법률이다. 2005년 1월 27일 법률 제7368호로 공포되어 2005년 7월 28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언론기본 言論基本法
    측면에서 접근해감으로써 언론의 자유가 마치 언론의 공적 책무에 대한 반사(反射)로서 보장되는 것처럼 파악하여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주요내용 언론기본은 7개 장으로 나뉜 전문 57조와 부칙 4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총칙으로서 이 의 목적(제1조)과 언론의 자유(제2조), 공적책임(제3조), 국가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언론기본 言論基本法
    관한 헌법이론으로서의 ‘언론의 공적 과업’의 개념을 기초로 해서 제정된 것이며, 그 언론의 공적 과업을 수행하도록 제도화한 것이 특색이다. <언론기본>은 먼저 제1조에서 ‘국민의 표현의 자유’, ‘알 권리’와 함께 ‘여론형성에 관한 언론의 공적 기능’을 보장하는 데 이 의 목적이 있음을 밝히면서, 제...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국가유산기본 國家遺産基本法
    특히 '문화재'라는 용어에 '재산'이라는 물질적인 의미가 있어 다양한 성격의 유산을 포용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지적되어 왔다. <국가유산기본>은 1962년 <문화재보호> 제정 이래 변화된 문화재 정책 환경을 반영하고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등에서 새롭게 제시하고 있는 국제적 기준에 따라 문화재를...
  • 국세기본 國稅基本法
    도모하며 국민의 납세의무의 원활한 이행에 기여하기 위하여 1974년 12월 21일 법률 제2679호로 제정한 후 수차의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국세기본>은 8장 86조와 부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장 ‘총칙’에서 특별한 경우 이외에는 세법에 우선하여 이 을 적용하도록 세법과의 관계를 규정하고, 기간...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74년 12월 21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 災難-安全管理基本法, Misfortune..
    보상 등, 제9장 보칙, 제10장 벌칙 등 총 10장 82개조와 부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4년 3월 11일 법률 제7188호로 제정된 이후 일부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 에서 사용하는 '재난'이란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서 태풍·홍수·호우(豪雨)·강풍·풍랑·해일(海溢)·대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농업기본 農業基本法
    금법> 등이 있고, 1983년 12월 31일 농어촌소득원의 개발을 위하여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을 제정, 시행하고 있다. <농업기본>·<농산물가격유지> 및 <농수산물수출진흥>은 폐지하고 새로이 <농업·농촌기본>이 1999년 2월 5일 법률 제5758호로 제정되어 2000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바, 이는...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67년 1월 16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근로자복지기본 勤勞者福祉基本法
    또는 사회적 신분 등에 따른 차별을 받지 않도록 배려하고 지원해야 한다. 또한 이 에 따른 근로자의 복지향상을 위한 지원을 할 때는 중소·영세기업 근로자...노동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근로복지 증진에 관한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해야 한다(제9조).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근로자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교육기본 敎育基本法
    제1장 총칙, 제2장 교육 당사자, 제3장 교육의 진흥 등 전문 29조와 부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1997년 12월 13일 법률 제5437호로 제정된 이후 일부 내용이 개정되었다. 모든 국민은 평생에 걸쳐 학습하고, 능력과 적성에 따라 교육받을 권리를 가지며(제3조), 성별·종교·신념·인종이나 사회적 신분, 경제적 지위 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소방기본 消防基本法
    안전협회, 제9장 보칙, 제10장 벌칙 등 총 10장 57개조와 부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3년 5월 29일 법률 제6893호로 제정된 이후 일부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 에서 사용하는 '소방대상물'이란 건축물, 차량, 항구 안에 매어둔 선박, 선박건조구조물, 산림, 그밖의 공작물 또는 물건을 말한다(제2조). 소방방재청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74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