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단 氣團, air mass
    기단(氣團, air mass)은 공기가 한 곳에 머물면서 지표면의 성질을 닮아 수평 방향으로 기온, 습도 등의 대기 상태가 거의 같은 성질을 가진 공기 덩어리다.|기단이 최초로 형성되기 시작하는 곳을 발원지라 한다. 거대한 기단이 일정한 특징이 있으려면 발원지가 대체로 평탄한 곳, 균일한 조성, 약한 지상풍 등 일정...
  • 기단 基壇
    집터를 잡고, 터를 반듯하게 다듬은 다음에 터보다 한층 높게 쌓은 단.|내용 기단을 만드는 목적은, 첫째 개개의 초석으로부터 전달되는 건물의 하중을 받아 지반에 골고루 전달하기 위한 것이고, 둘째 빗물과 지하수 등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셋째 건물을 집터보다 높게 보이게 하여 건물에 장중함과...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기단 氣團, air mass
    장기간에 걸쳐 한 지역에 정체하면서 지표면의 성질이 반영된 공기 덩어리.|개설 공기가 장기간에 걸쳐서 한 지역에 정체하면서 지표면의 성질이 반영된 공기덩어리를 말하며, 수직적으로 3∼10km, 수평적으로 1,000km가 넘는 대규모이다. 내용 기단의 성질은 기온과 수증기량, 환경기온감율 등에 의해 결정된다. 기단...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기단 氣團, air mass
    뚜렷한 경계를 가지고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수백에서 수천㎞까지 뻗어 있다. 때때로 대류권(지표면에서 약 10∼13㎞ 높이) 상부에까지 걸쳐 있음을 볼 수 있다. 대륙성 한대기단은 겨울철에 발생하며 중앙아시아, 북부 캐나다, 남극대륙과 같은 광범위한 대륙지역에서 형성되는데 안정되고 응결형태가 자유로운 것이 특...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단 基壇
    건물과 탑 등을 앉히기 위해 터를 고른 다음 터보다 한층 높게 쌓은 단.|기단은 건물의 하중을 지반에 골고루 전달하면서 지하수 등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려는 구조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건물을 돋보이게 하려는 부차적인 목적에서 축조된다. 목조를 주재료로 하는 전통건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기단 氣團, air mass
    온도, 습도 등의 물리적 특성이 같은 대규모의 공기덩어리|온도, 습도 등의 물리적 특성이 같은 대규모(수백 또는 수천km의 규모)의 공기덩어리를 말한다. 발생지에 따라 다른 성질을 가지는 기단이 형성된다. 기단은 지표면의 상태가 거의 균일한 넓은 대륙이나 해양에서, 바람이 약한 정체성이 강한 고기압권 내에서...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기단 Air mass, 気団
    기단(氣團, 습도 등)이 달라지게 된다. 기단은 바다나 대륙과 같이 같은 성질의 지표면과 대기가 오랫동안 접촉하고 있으면 열 또는 수증기를 교환해서 같은 성질을 가진 거대한 공기의 덩어리 즉 기단이 된다. 대기가 지표면과 오래 접촉하려면 바람이 약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조건이 된다. 이와 같은 조건에 맞는 곳은...
    도서 위키백과
  • 기단 (건축) Gidan (architectural style)
    기단(基壇)은 집터를 잡고, 터를 반듯하게 다듬은 다음에 터보다 한층 높게 쌓은 단이다. 이 문서는 한국의 건축 양식을 다룬다. 기단을 만드는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개개의 초석으로부터 전달되는 건물의 하중을 받아 지반에 골고루 전달하기 위함 빗물과 지하수 등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함 건물을 집터보다...
    도서 위키백과
  • 가구식 기단 架構式 基壇
    개설 기단은 건물 하단에 위치하는 높은 대를 말하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발생한 습기가 건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통풍과 채광 등을 유도하여 쾌적한 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기단은 만드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토축기단, 자연석기단, 장대석기단, 가구식기단, 전축기단, 와적기단, 혼합...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시베리아기단 시베리아氣團
    내용 겨울철에 시베리아대륙에서 형성되는 대륙성 한대기단을 말하며, 북서계절풍, 삼한사온, 꽃샘추위의 원인이 된다. 시베리아기단은 연중 가장 오랜 기간 동안 한반도의 날씨에 영향을 미친다. 대체로 늦장마가 끝나는 9월 중순 이후부터 오호츠크해기단이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5월 중순까지 시베리아기단의 영향...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시베리아기단 ---- 氣團, Siberian air mass
    한랭건조한 성질의 대륙성 기단으로 상대습도는 100%에 가깝고 혼합비는 매우 적다. 지표로부터의 높이가 3㎞ 정도로서 키 작은 난쟁이 고기압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상층의 대기흐름에 영향을 받는다. 이 기단은 시베리아 대륙의 일부가 복사 냉각되어 형성되는 고기압에 의해 생긴다. 남쪽(티베트 고원)과 서쪽(우랄...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오호츠크해기단 오호츠크海氣團
    내용 오호츠크해에 주변의 융설수 및 융빙수가 유입되면서 형성되는 해양성 한대기단으로 늦은 봄철 한반도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 오호츠크해는 저기압이 자주 통과하고 다른 곳에서 발원한 기단이 지나는 곳이므로 기단이 발원하기 어렵다. 그러나 늦은 봄에 시베리아 지방의 눈이 녹기 시작하면서 오호츠크해 주변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9건

기단
기단
한반도 주변의 기단
한랭한 기단의 변질
온난한 기단의 변질
양산 통도사 대웅전 기단 연꽃문양
달성 도동서원 중정당 기단 우측면
고령 반룡사 기단
익산 미륵사지 석탑 기단
청도 대적사 극락전 / 기단
청도 대적사 극락전 기단
청도 대적사 극락전 기단
경주 불국사 사리탑 기단
사랑채 지붕과 기단
시베리아 기단(Siberian air mas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