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금형주조반장수행직무 작업지시서를 읽고 사용될 주조기계 및 금형의 유형을 결정한다. 주조시간, 금형의 주유, 금형의 가열정도, 금형 사이의 간격 등을 조정한다. 주조제품의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생산계획에 의해 금형교체작업을 지시한다. 작업장을 순회하며 안전교육 및 현장교육을 실시한다.
- 교육수준 :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 숙련기간 :
- 4년 초과 ~ 10년 이하
- 작업강도 :
- 보통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조정
- 직무기능(사람) :
- 감독
- 직무기능(사물) :
- 정밀작업
- 유사명칭 :
- 주조제품생산반장
- 고용직업분류 :
- [8234]주조기조작원
- 표준직업분류 :
- [8411]주조기 조작원
- 자격/면허 :
- 주조기능사, 주조산업기사, 주조기능장
- 표준산업분류 :
- [C243]금속 주조업
- 조사연도 :
- 2015년
-
-
금형주조기조작원이형제 분사압력을 조절하거나 수동 또는 자동으로 사출속도를 조정한다. 공기 분사호스로 금형의 표면에 붙어 있는 금속 찌꺼기를 씻어내고 금형에서 주조제품이 떨어지도록 금형의 구멍과 플런저에 매 작업마다 이형제와 윤활유를 도포한다. 버튼을 눌러 금형을 닫고 플런저를 작동시켜 금형구멍에 용탕을 주입한다...
- 교육수준 :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 숙련기간 :
- 6개월 초과 ~ 1년 이하
- 작업강도 :
- 보통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육체활동 :
- 웅크림, 손사용
- 직무기능(자료) :
- 비교
- 직무기능(사람) :
- 관련없음
- 직무기능(사물) :
- 제어조작
- 고용직업분류 :
- [8234]주조기조작원
- 표준직업분류 :
- [8411]주조기 조작원
- 자격/면허 :
- 주조기능사, 주조산업기사, 주조기능장
- 표준산업분류 :
- [C243]금속 주조업
- 조사연도 :
- 2015년
-
-
금형정비원수행직무 금형의 정밀도를 유지하기 금형의 형합(분리, 조립)과 사용 후 세척, 보관, 적재를 한다. 금형을 작업하기 전에 에어브러시나 솔, 세척제 등으로 세척한다. 조립 시 금형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았는지 확인하여 금형파손을 예방한다. 작업 후 금형의 각 틈과 구멍(홀)에 남아 있는 냉각수 등 이물질을 에어...
- 교육수준 :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 숙련기간 :
- 2년 초과 ~ 4년 이하
- 작업강도 :
- 보통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육체활동 :
- 손사용
- 직무기능(자료) :
- 수집
- 직무기능(사람) :
- 관련없음
- 직무기능(사물) :
- 정밀작업
- 유사명칭 :
- 금형수리원
- 고용직업분류 :
- [8131]금형원
- 표준직업분류 :
- [7411]금형원
- 자격/면허 :
- 금형기능사, 사출금형산업기사, 프레스금형산업기사
- 표준산업분류 :
- [C243]금속 주조업
- 조사연도 :
- 2015년
-
금형제작반장수행직무 제작할 금형의 가공 방법 및 절차, 금형의 구성체 수 등을 고려하여 작업을 지시하고 작업자와 함께 작업하며 작업내용을 점검한다. 금형제작에 필요한 선반, 밀링, 방전기 및 기타 보조공구를 점검한다. 제품도 및 견본품을 검사하여 현도를 제작한다. 현도 된 금형을 적정공정에 배치·이동한다. 정밀을...
- 교육수준 :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 숙련기간 :
- 4년 초과 ~ 10년 이하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육체활동 :
- 손사용
- 직무기능(자료) :
- 조정
- 직무기능(사람) :
- 감독
- 직무기능(사물) :
- 정밀작업
- 고용직업분류 :
- [8131]금형원
- 표준직업분류 :
- [7411]금형원
- 자격/면허 :
- 금형기능사, 사출금형산업기사, 프레스금형산업기사, 금형제작기능장
- 표준산업분류 :
- [C243]금속 주조업 / [C259]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조사연도 :
- 2015년
-
다이 캐스팅 다이 주조, Die Casting주조 형상과 같도록 구리, 알루미늄, 주석, 납 따위를 녹여서 강철로 만든 금형에 주입하여 금형과 똑같은 주물을 얻는 정밀 주조법. 치수가 정확하므로 다듬질할 필요가 없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제품으로는 자동차 부품이 많으며 전기 기기, 광학 기기, 자동차, 방직기, 건축, 계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