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근본번뇌 (관련어 근본혹) 根本煩惱
    불교 근본번뇌(根本煩惱, llang)는 탐(貪).cw진(瞋).cw만(慢).cw무명(無明).cw견(見).cw의(疑)의 6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을 말한다.sfnsfnsfnsfnsfn 이들 중 무명(無明)은 치(癡)라고도 한다. 그리고 여기서 견(見)은 모든 견해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악견(惡見) 즉 부정견(不正見)을 뜻한다. 즉 유신견.cw변집견.cw...
    도서 위키백과
  • 백이십팔근본번뇌
    뇌 즉 112이 견혹에 해당하며 16근본번뇌 즉 16이 수혹에 해당한다. 기본적으로, 수번뇌는 6근본번뇌 혹은 세부적으로는 128근본번뇌(128)를 따라 일어난 번뇌이므로 근본번뇌가 끊어질 때 수번뇌도 함께 끊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교학에서는 근본번뇌에 대해 3계 5부로 분별하여 수행계위...
    도서 위키백과
  • 번뇌 혹, 煩惱
    견혹(見惑)과 수혹(修惑),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으로 나뉜다. 근본번뇌는 모든 번뇌의 체(體)가 되는 근원적인 번뇌로서 본(本惑)이나 근본(根本惑)이라고 한다. 근본번뇌에는 탐(貪:욕심)·진(瞋:성냄)·치(癡:어리석음)·만(慢:거만)·의(疑:의심)·견(見:삿된 소견)의 6번뇌가 있다. 이 중 견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오주지번뇌
    5주지번뇌(五住地煩惱, sfnsfn 대승불교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여러 번뇌 분류법 가운데 하나로, 《승만경》에서 설해지고 있는 분류법이다. 5주지번뇌는 근본번뇌를 다섯 가지 유형 또는 그룹으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5주지(五住地惑) 또는 줄여서 5주지(五住地)라고도 한다. 5주지 각각에 속한 번뇌가 무엇인지에...
    도서 위키백과
  • 십육근본번뇌
    뇌 즉 112이 견혹에 해당하며 16근본번뇌 즉 16이 수혹에 해당한다. 기본적으로, 수번뇌는 6근본번뇌 혹은 세부적으로는 128근본번뇌(128)를 따라 일어난 번뇌이므로 근본번뇌가 끊어질 때 수번뇌도 함께 끊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교학에서는 근본번뇌에 대해 3계 5부로 분별하여 수행계위...
    도서 위키백과
  • 구십팔수면
    자계(自界).cw자지(自地)의 견고소단.cw견집소단.cw견멸소단.cw견도소단.cw수도소단의 5부의 법을 소연으로 하여 그 법들을 오염시키는 작용을 하는 수면 즉 근본번뇌를 말한다. 그리고 비변행수면(非遍行隨眠).cw비변행(非遍行惑) 또는 비변사(非遍使)는 오로지 자과(自果).cw자부(自部)의 법만을 소연으로 하여 그...
    도서 위키백과
  • 사번뇌
    뜻한다.sfnsfnsfnsfnsfn 4근본번뇌(四根本煩惱).cw4종번뇌(四種煩惱) 또는 4(四惑)이라고도 한다. 《성유식론》 제4권에 따르면, 염오식(染汚識)으로서의 말나식이 상응(相應)하는 4근본번뇌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아치(我痴)가 근본원인이 되어서 아견(我見)→아만(我慢)→아애(我愛)의 순서로 생겨난다.sfn...
    도서 위키백과
  • 번뇌 혹(惑), 煩惱
    인생의 근본 문제를 해결하는 참다운 길이며, 그 지름길이 되는 것이다. 불교의 모든 법문은 이 번뇌를 다스리는 교훈이며, 번뇌가 다할 때 거기에는 해탈이 있다고 본 것도 이 때문이다. 이 번뇌와 같은 뜻으로 사용하는 말에 ‘수면(隨眠, anuśaya)’이 있다. 번뇌는 주로 표면에 나타나지 않고 마음 속에 사악한 성격...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유교 유술, 儒敎
    계승하지만, 근본에서는 인문주의적 예제문화(禮制文化)와 합리적 정신을 중요시하였다. 고대 한국에서는 인간주의를 바탕으로 주술신앙과 같은 종교적 신비주의를 가지고 있었다. 제천사상과 조상숭배를 비롯해 영성신(靈星神) · 일신(日神) · 수호신 · 귀신숭배 등 각종 ‘음사(淫祀)’가 성행하였다. 여기에 유교...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백십이
    본번뇌로 세분되며, 이 가운데 112근본번뇌 즉 112이 견혹에 해당한다. 기본적으로, 수번뇌는 6근본번뇌 혹은 세부적으로는 112근본번뇌(112)를 따라 일어난 번뇌이므로 근본번뇌가 끊어질 때 수번뇌도 함께 끊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교학에서는 근본번뇌에 대해 3계 5부로 분별하여 수행계위...
    도서 위키백과
  • 수번뇌 隨煩惱
    견혹에 해당하며 16근본번뇌 즉 16이 수혹에 해당한다. 기본적으로, 지말번뇌로서의 수번뇌는 6근본번뇌 혹은 세부적으로는 128근본번뇌(128)를 따라 일어난 번뇌이므로 근본번뇌가 끊어질 때 수번뇌도 함께 끊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교학에서는 근본번뇌에 대해 3계 5부로 분별하여 수행계위...
    도서 위키백과
  • 변행인
    뚜렷이 구분되며 변행인이 동류인에 포함되는 관계도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동류인 외에 별도로 변행인을 세운 것이다.sfnsfnsfnsfn 변행인이 될 수 있는 근본번뇌들을 변행수면(遍行隨眠) 또는 변행(遍行惑)이라고 하며, 구역(舊譯)으로 변사(遍使)라고도 한다.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변행수면으로는 견고...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