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근본번뇌 根本煩惱
    불교 근본번뇌(根本煩惱, llang)는 탐(貪).cw진(瞋).cw만(慢).cw무명(無明).cw견(見).cw의(疑)의 6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을 말한다.sfnsfnsfnsfnsfn 이들 중 무명(無明)은 치(癡)라고도 한다. 그리고 여기서 견(見)은 모든 견해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악견(惡見) 즉 부정견(不正見)을 뜻한다. 즉 유신견.cw변집견.cw...
    도서 위키백과
  • 오주지번뇌
    5주지번뇌(五住地煩惱, sfnsfn 대승불교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여러 번뇌 분류법 가운데 하나로, 《승만경》에서 설해지고 있는 분류법이다. 5주지번뇌는 근본번뇌를 다섯 가지 유형 또는 그룹으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5주지혹(五住地惑) 또는 줄여서 5주지(五住地)라고도 한다. 5주지 각각에 속한 번뇌가 무엇인지에...
    도서 위키백과
  • 백이십팔근본번뇌
    번뇌를 5부로 세분하여, 욕계에 46가지, 색계에 41가지, 무색계에 41가지의 총 128가지가 성립된다.sfnsfnsfnsfn 128근본번뇌(百二十八根本煩惱)에서 근본번뇌(根本煩惱)는 수번뇌(隨煩惱)에 대응되는 낱말이다. 근본번뇌는 줄여서 단순히 번뇌(煩惱)라고도 한다.sfn 따라서 128근본번뇌도 종종 128번뇌라고도 부른다...
    도서 위키백과
  • 십육근본번뇌
    가운데 수도에서 끊어지는 수혹(修惑) 16가지를 말한다. 16근본번뇌(十六根本煩惱)는 유식유가행파를 비롯한 대승불교의 번뇌론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모든 근본번뇌를 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견혹(見惑)과 수도(修道)에서 끊어지는 수혹(修惑)으로 나눌 때, 수혹에 해당하는 속하는 근본번뇌의 총 개수이며 또한 이들...
    도서 위키백과
  • 번뇌
    끊어지며 이 때 평등성지의 전체가 증득된다. 즉 말나식이 완전한 평등성지로 질적 변형을 하게 된다.sfnsfn 말나식 아뢰야식과 아뢰야식의 3상.cw뢰야3위 근본번뇌와 수번뇌 무상정과 멸진정 관련 마음작용(심소법) 아치 또는 치(癡) 아견 가운데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 중 유신견(有身見) 아만의 7만(七慢...
    도서 위키백과
  • 구십팔수면
    九十八惑等諸漏當起由以知諸法諦理故九十八惑諸偏不生智於漏生能為障礙又 ..." 한편, 108번뇌라고 할 때 그 구성 방법에는 3가지가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근본번뇌인 98수면과 수번뇌인 10전(十纏)을 합한 것이다.sfnsfnsfnsfn 근본번뇌를 3계와 5부로 분별하여 98수면을 세우는 것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번뇌론...
    도서 위키백과
  • 번뇌 혹, 煩惱
    한다. 수면의 종류에는 98가지가 있다고 보고 여기에 10가지의 전을 합한 것이 108번뇌이다. 이러한 번뇌의 분류방법은 수십 종에 달하지만, 일반적으로 근본번뇌(根本煩惱)와 수번뇌(隨煩惱), 견혹(見惑)과 수혹(修惑),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으로 나뉜다. 근본번뇌는 모든 번뇌의 체(體)가 되는 근원적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번뇌 혹(惑), 煩惱
    만 · 무명 · 견 · 의의 6가지 번뇌와 이 여섯 번뇌로부터 생기하는 부수적 번뇌들인 수번뇌(隨煩惱, upakleśa)로 나눈 것이다. 이중 전자인 6가지 번뇌근본 번뇌(根本煩惱), 그리고 그에 따른 부수적 번뇌인 수번뇌를 지말 번뇌(枝末煩惱)라고도 부른다. 이하 설일체유부의 교리에 따라 근본 번뇌와 지말 번뇌의...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백팔번뇌 百八煩惱
    닦고 칼을 숫돌에 갈듯이 점차로 끊어야 한다는 뜻에서 사혹을 ‘수도소단혹(修道所斷惑)’이라고 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이 견혹의 88가지에 사혹의 10가지를 합해 98가지가 되고, 여기에 탐심과 진심(瞋心)과 치심(癡心)의 근본 번뇌에서 일어나는 10가지 부수적인 번뇌를 더하여 백팔번뇌가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번뇌 Kleshas (Buddhism), 煩悩
    예를 들어 탐(貪)은 탐(貪)을 증장시킨다. 부파불교 설일체유부의 논사인 세친은 《아비달마구사론》 제19권에서 번뇌, 특히 근본번뇌: 근본(根本)을 견고하게 한다. 즉, 번뇌의 득, 즉 번뇌의 획득과 성취를 견고하게 한다. 입상속: 소의신[自田]을 번뇌를 일으키기에 적합한 상태로 만든다. 인등류인 수번뇌(隨煩惱)를...
    도서 위키백과
  • 번뇌심소
    번뇌심소 중의 하나이다.sfnsfnsfnsfn 번뇌심소는 모든 번뇌의 근간인 근본번뇌들로 구성된 마음작용들의 그룹이다.sfnsfn 즉, 번뇌심소는 내면의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항상 오염된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그 결과 유정으로 하여금 생사를 윤회하게 만드는 마음작용들의 그룹이다.sfn 대승불교의 유식...
    도서 위키백과
  • 번뇌의 작용
    이 2가지 작용을 동시에 한다.sfnsfnsfnsfnsfnsfnsfnsfnsfn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세친의 《구사론》 제19권에 따르면, 현행하고 있는 번뇌 특히 근본번뇌는 다음의 10가지 작용을 한다.sfnsfn 견근본을 견고하게 한다. 즉, 번뇌의 득, 즉 번뇌의 획득과 성취를 견고하게 한다. 입상속: 소의신[自田]을 번뇌를...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