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그리스 도기 Greek pottery
    고대 그리스 도기.|형태와 장식이 매우 아름답고 그리스 회화의 발전에 영향을 준 점에서 중요하다. 거의 남아 있지 못한 그리스의 벽화·직물과는 달리, 구워서 만든 도기는 내구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도기 그림 장식은 그리스 예술가들이 입체형의 물체나 형상(동물·사람)을 평면이나 곡면에 표현한 기법의 개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고대 그리스의 도예 Pottery of ancient Greece, 古代ギリ..
    포도주의 증류 등 상류층의 소비에 사용되었다. 도기 회화는 기하학 양식과 함께 후기 암흑기에서부터 유행하였으며 고졸기에 오리엔탈화(Orientalizing)의 시기를 거쳤다. 고졸기에서 고전기 그리스까지 생산된 도기들은 초기에는 흑회식으로 그려졌으나, 점차 적회식이나 백지 기법과 같은 양식이 등장했다.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부케로 도기 bucchero ware
    스트럼·암포라·크라테르·킬릭스 등에 상감이나 모형, 또는 새와 동물들을 띠 모양이나 기하학 구도와 연관된 무늬로 장식한다. 장식은 때로 채색된 그리스 도기의 장식처럼 서사적인 형상 부조로 나열했다. 이런 장식무늬는 오목하게 디자인이 새겨진 실린더를 부드러운 점토 위에 굴려 만들어낸 다음 마지막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적회식 도기 赤繪式陶器, red-figure pottery
    양식에서의 장식은 흑색으로 윤곽을 잡고 윤곽선 바깥쪽의 바탕도 흑색으로 채워 무늬는 적색으로 남겨둔다. 세부는 새겨서 묘사하기보다는 그려서 표현하기 때문에 사람 모양이나 움직임, 그리고 무엇보다도 표정을 더 자유롭게 나타낼 수 있으며 명암과 정확한 원근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그리스 도기 장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대 , 공예
  • 고대 에게 및 지중해의 회화
    대한 관심이 적었고 파거나 찍은 기하학적 문양이 대부분이었다. 중기 이후의 도기는 윤이 나는 물감으로 엷게 칠하거나 각진 패턴으로 장식되었다. 그리스 본토에서도 도기 위에 그림을 그리는 것에 관심이 적었고, 기념비적 건물들이 꽤 있지만 벽 장식은 없다(그리스 도기, 장식예술). BC 2200년경 새로운 정착민들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화 , 미술
  • 그리스 세계의 팽창
    특히 도기제조의 발달에 주력했다. 초기 코린토스 양식이라 불리는 이 도기들은 이집트나 시리아의 오리엔트 양식의 문양을 본받고 있다. 그때까지 그리스 도기는 기하학 문양이었지만, 코린토스 양식이 빛을 발한 기원전 8세기 말부터 사자나 스핑크스가 그려지기 시작했다. 약간 누런빛이 나는 흰 바탕 위에 홍차 색의...
  • 흑회식 도기 黑繪式陶器, black-figure pottery
    아테네인들은 장식용으로 코린트인들이 쓰던 동물대 장식을 계속 유지했으나, BC 550년경에 엑세키아스와 아마시스 화공을 포함한 아테네의 훌륭한 화공들이 설화적 장면의 장식을 개발하고 흑회식 양식을 완성했다. 코린트와 아테네 이외에 흑회식 도기를 생산한 가장 중요한 작업장은 스파르타와 그리스 동부에 있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고대 그리스의 회화
    있던 도기 회화로 그 양상을 짐작할 수 있다. 주요 벽화가로는 아테네와 델피에서 활동한 폴리그노토스·미콘 등을 들 수 있다. 전성기(BC 450경~400)의 그리스 도기 장식은 대부분이 선묘이며 회화기법에 있어서는 아테네의 화가 아폴로도로스가 스키아그라피아라는 음영법을 도입함으로써 혁신적 변화가 일어났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화 , 미술
  • 바실리키 도기 Vasiliki ware
    표면이 적색이나 갈색의 반광택성 색이 칠해졌고 고르지 않은 소성으로 얼룩덜룩해 보인다.→ 그리스 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암포라 amphora
    암포라는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기하학시대(BC 900경)부터 그리스 도기 제품의 하향기까지 일반적으로 쓰였던 몸체와 목 부분이 날카롭게 꺾이는 형태와, 다른 하나는 BC 7세기에 나타난 목부터 몸체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형태의 것이있다. 암포라의 길이는 1.5m에 달하는 대형의 기하학적 양식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반산도기 半山陶器, Panshan Ware
    물레 위에 올려놓고 손으로 천천히 돌려서 만든 것 같다. 손잡이는 항아리 몸체에 낮게 달려 있고, 손잡이 아래쪽에는 아무 장식도 하지 않았다. 그리스 원기하학 양식의 장례용 도기도 역시 손잡이 밑에는 장식을 하지 않아서 반산도기와 유사점을 갖는다. 반산도기는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 중국 신석기시대의 도기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양면 도기 회화 Bilingual vase painting
    양면 도기 회화는 고대 그리스 도기 회화의 특정 양식이다. 영어로는 '이중언어 도기' (Bilingual vase)라 부르는데, 한 사람이 두 개의 언어를 쓰는 것을 이중언어라 부르듯, 양면 도기는 고대 그리스 도예의 주요 기법이었던 흑회식과 적회식 기법을 동시에 쓴 것을 말한다. 양면 도기는 기원전 6세기 후반부터 5세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그리스 도기
오르토스, BC 510-500년경의 그리스 도기 그림
헤라클레스, 케르베로스, 에우리스테우스, BC 525년경의 그리스 도기 그림
고대 그리스 문향의 도기들
게리오네우스와 싸우는 헤라클레스, 고대 그리스의 BC 540년경의 도기 그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