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지아 조약 그루지야 조약, Treaty of Georgievsk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2세와 카르탈리니아카헤티아(동조지아)의 예레클레 2세 사이에 맺은 조약(1783. 7. 24).|조약으로 러시아는 조지아의 영토보존과 바그라티드 왕조의 지배권을 계속 보장해주는 대가로 조지아의 외교문제에 관여할 수 있는 특권을 갖게 되었다. 또 예카테리나 2세와 그 후임 황제가 외부 침입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조지아의 역사 그루지야의 역사
    조지아는 서방 그리스도교 세계와 교류할 수 없게 되었고, 그후 3세기에 걸쳐 투르크와 페르시아인들의 계속되는 침공에 시달렸다. 1783년 러시아와 조지아 조약을 맺어 독립을 보장받는 대신 러시아의 종주권을 인정하기로 했으나, 1795년 페르시아의 공격을 받았을 때 러시아로부터 원조를 전혀 받지 못했으며, 1801...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조지아 Georgia
    16세기 초 조지아인들은 터키와 사파비 이란과의 전투에 휘말렸고, 오랜 전쟁 끝인 18세기 중엽에 이르러서야 독립을 되찾았다. 그러나 1783년 러시아와 보호조약을 체결하였고, 1795년 이란군의 침입을 받게 된 이후 러시아제국에 병합되었다. 1918년 5월 공화국이 수립되고 유럽 국가들과 동맹관계를 맺으면서 22개국...
    시대 :
    현대
    위치 :
    흑해 연안 러시아 남부
    수도 :
    트빌리시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6만 9700㎢
    언어 :
    조지아어
    정부/의회형태 :
    공화제, 대통령 중심제, 단원제
    종교 :
    조지아 정교, 이슬람교, 아르메니아사도교
    분야 :
    정치·법제/외교
  • 프랑스 The French Republic
    금지조약(CTBT)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프랑스는 핵실험 재개 결정 이후 1995년 9월 5일, 10월 2일, 10월 28일, 11월 22일, 12월 27일, 1996년 1월 27일에 6회에 걸쳐 핵실험을 실시하였다. 프랑스 정부는 핵실험 횟수를 당초 8회에서 6회로 축소하여 1996년 1월 29일 핵실험을 완전히 종료한다고 발표하였다...
    시대 :
    현대
    위치 :
    유럽 서부 대서양 연안
    수도 :
    파리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64만 3801㎢
    언어 :
    프랑스어
    정부/의회형태 :
    공화국, 대통령제
    종교 :
    가톨릭, 무슬림, 유대교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조지아 왕국 Kingdom of Georgia, グルジア王国
    기대할 수 없게 되자, 루수단은 결국 항복을 결심하고 재상 아센을 바투 칸에게 보내 협상을 진행하도록 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239년 조지아-몽골 조약–1. 조지아의 귀족들에게 몽골 귀족들과 동등한 지위를 보장한다.2. 조지아는 (시르반샤와 같은) 이슬람 봉신국들을 상실하지만, (아르메니아와 같은...
    도서 위키백과
  • 조지아의 역사 History of Georgia (country), グルジアの歴史
    공표했다. 조지아는 그 나라들 중 하나로, 1918년 5월 26일에 독립국으로의 그루지야 민주 공화국(DRG)의 수립을 선언했다. 새로운 나라는 러시아의 볼셰비키에...멘셰비키 당파에 의해 통치되었다. 그 공화국은 러시아(1920년 모스크바 조약)과 1921년에 주요 서부 세력들에 의해서 승인되었다. 1921년 2월 붉은 군대가...
    도서 위키백과
  • 러시아 제국 지배 하의 조지아 Georgia within the Russian Empir..
    조약을 명시한 명예는 훼손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조지아의 통지자는 국민들이 어디로든 돌아간야 한다고 느꼈다. 이레클레가 죽은 후, 카르틀리-카헤티의 옥좌의 계승을 두고 내전이 터졌고 경쟁 후보들은 러시아의 간섭으로 지명되었고, 그 문제는 해결되었다. 1801년 1월 8일, 챠르 러시아의 파울 1세는 러시아...
    도서 위키백과
  • 조지아-오세티야 분쟁 Georgian–Ossetian conflict, 南オセチア紛争
    3일 밤이 지나고, 8월 13일에 휴전에 관한 논의가 진전되었다. 조지아의 국무총리 주랍 즈바니아와 데 팍토 남오세티야 대통령 에두아르트 코코이티는 휴전 조약에 서명했다. 그러나, 그 협정은 서명 후 얼마 못가 위반되었다. 8월 18일과 8월 19일에 유혈 충돌들이 발생했다. 8월 19일에는, 밤샘 전투로 양측 모두 여러...
    도서 위키백과
  • 조지아 정교회 Georgian Orthodox Church, グルジア正教会
    서명했다, 조약의 내용에는 조지아 헌법 제3조에 명시된 것과 같이 정교회의 특권 계층을 정부에서 축출하는 것이나 정교회와 정부의 관계, 사회에서 성직자와 교회의 권리와 같은 부분들이 포함되었다. 2003년 11월에는 셰바르드나제에 대항하여, 부정 선거로 널리 알려져 의회에 경종을 울렸던 시위가 일어났다...
    도서 위키백과
  • 조지아의 종교 Religion in Georgia (country), ジョージア国における宗教
    세네 조약 이후 이베리아에서 공인된 두 번째 종교가 된 조로아스터교를 제외한 모든 종교를 서서히 대체하였으며, 이런 점은 조지아인들을 영구적으로 이슬람 세계와 기독교 세계 간의 분쟁 최전선에 배치하게 했다. 조지아인들은 이슬람 세력의 지속적인 침입과 오랜 기간 외국의 지배에도 대부분이 기독교인으로...
    도서 위키백과
  • 카르스 조약 Treaty of Kars, カルス条約
    카르스 조약은 1921년 10월 13일 터키 카르스에서 체결된 조약이다. 터키 대국민의회(1923년 터키 공화국 수립), 소련의 3개 공화국(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대표가 서명했으며 1922년 9월 11일 아르메니아 예레반에서 비준...
    도서 위키백과
  • 조지아의 세계유산 List of World Heritage Sites in Georgia..
    조지아의 세계유산은 세계유산 위원회를 거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조지아의 세계유산을 일컫는다. 조지아는 1992년 11월 4일 유네스코 조약에 비준한 이래, 3건의 문화유산과 1건의 자연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No. 사진 등록명 소재지 등록년도 등록기준 유네스코지정번호 비고 1 ' 므츠헤타의 역사 기념물 므츠...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