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그레고리오 성가로마 가톨릭 교회의 예배 의식에서 부르는 단선율의 라틴어 성가를 말한다.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라는 이름은 590년부터 604년까지 재위했던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이름에서 나온 것이다. 전설에 의하면 그레고리오 1세는 비둘기 형상을 한 성령이 불러주는 선율을 받아 적어 성가를 완성했다고 한다. 중세...
-
-
음악관의 변화와 새로운 음악의 도래, 고대와 중세 (동의어 그레고리오 성가)음악을 학문의 영역으로 다룬 고대에는 그리스 학자들을 중심으로 철학, 교육학, 음향학, 심리학, 천문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음악을 연구했다. 중세에 이르러서는 그레고리오 성가를 중심으로 발전을 거듭하는 한편, 수많은 음악 양식이 자리를 잡았다.
-
Gregorian chant 그레고리오 성가, グレゴリオ聖歌Gregorian chant is the central tradition of Western plainchant, a form of monophonic, unaccompanied sacred song of the western Roman Catholic Church. Gregorian chant developed mainly in western and central Europe during the 9th and 10th centuries, with later additions and redactions. Although pop...출처 영어 위키백과
-
그리스도교의 영향과 서양 중세음악모으는 방대한 작업을 펼친 결과 이후 서양 예술음악의 발전에 토대가 될 교회 단성음악의 커다란 몸체를 형성시켰다고 하는데, 이것이 곧 그레고리오 성가이다. 그레고리오 성가는 처음 얼마 동안 여러 전통간의 융합과정을 거친 후 9세기에 이르면서는 두 선율선 이상이 동시에 울리는 다성음악적 발전을 통해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