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그레고리오 성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예배 의식에서 부르는 단선율의 라틴어 성가를 말한다.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라는 이름은 590년부터 604년까지 재위했던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이름에서 나온 것이다. 전설에 의하면 그레고리오 1세는 비둘기 형상을 한 성령이 불러주는 선율을 받아 적어 성가를 완성했다고 한다. 중세...
  • 그레고리오 성가 Gregorian chant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의 미사와 성무일도 시간에 부른 단선율 예배음악.|그레고리오 성가그레고리오 1세(590~604 재위)의 이름을 따서 붙였으며, 그의 재위기간 동안 편찬되었다. 프랑크 왕국의 샤를마뉴(768~814 재위)는 예배의식에 당시 일반적으로 쓰이던 갈리아 성가 대신 그레고리오 성가를 쓰도록 했다. 8~9...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그레고리오 성가 (관련어 그레고리오성가) Gregorian chant,..
    그레고리오 성가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전통적인 단선율 전례 성가의 한 축을 이루는 성가로서 로마 전례 양식 때 사용하는 무반주의 종교 음악이다. 원래 9세기에서 10세기에 걸쳐 유럽 지역에 구전되던 음악들을 모아 채보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직접 작곡한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카...
    도서 위키백과
  • 그레고리오 성가 ~聖歌, Gregorian Chant
    그레고리오 성가는 로마 전례에 특히 잘 어울리는 노래로 알려져 있다.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은 다른 조건들이 같다면 전례 행위 안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그레고리오 성가라고 지적한다. 로마 전례의 고유한 이 성가는 유명한 음악가였던 대 그레고리오 교황이 개정하여 만든 것이다(옮긴이 주 : 그레고...
  • 그레고리오 성가 ~聖歌, Gregorian chant
    그레고리오 성가란 로마 교회의 전례용 성가로 전례와 함께 발달했고, 전례와 함께 정형화되어 오늘날까지 불려지고 있다. 그레고리오 성가는 7세기 교황 성 그레고리오(Gregorius) 1세 때 형성된 것으로, 그 전까지 구전되어 오던 성가를 집대성하여 정착화시켰다는 점에서 그레고리오 성가라 불리게 되었다. 교황은 전...
  • 그레고리오 성가 ~聖歌, Gregorian chant
    이는 7세기 교황 그레고리오 1세(Gregorius I) 때 형성된 것으로, 그때까지 구전되어 오던 성가를 집대성한 교회의 전례 성가이다. 여기서 전례 성가의 전통이 수립되었고, 중세 음악 교육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그 후 여러 세기 동안 개혁 작업이 진행되어 왔으며, 19세기에 이르러 중세기 선율(旋律)에 대한 관심이 ...
  • 음악관의 변화와 새로운 음악의 도래, 고대와 중세 (동의어 그레고리오 성가)
    음악을 학문의 영역으로 다룬 고대에는 그리스 학자들을 중심으로 철학, 교육학, 음향학, 심리학, 천문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음악을 연구했다. 중세에 이르러서는 그레고리오 성가를 중심으로 발전을 거듭하는 한편, 수많은 음악 양식이 자리를 잡았다.
  • 그레고리오 성가 Gregorian chant, cantus Gr..
    7세기 성 그레고리오 1세 교황 때 교회 전례를 확립하면서 구전되어 오던 성가를 집대성한 단선율의 전례 성가.|7세기 성 그레고리오 1세 교황 때 교회 전례를 확립하면서 구전되어 오던 성가를 집대성한 단선율의 전례 성가.
  • Gregorian chant 그레고리오 성가, グレゴリオ聖歌
    Gregorian chant is the central tradition of Western plainchant, a form of monophonic, unaccompanied sacred song of the western Roman Catholic Church. Gregorian chant developed mainly in western and central Europe during the 9th and 10th centuries, with later additions and redactions. Although pop...
  • 그리스도교의 영향과 서양 중세음악
    모으는 방대한 작업을 펼친 결과 이후 서양 예술음악의 발전에 토대가 될 교회 단성음악의 커다란 몸체를 형성시켰다고 하는데, 이것이 곧 그레고리오 성가이다. 그레고리오 성가는 처음 얼마 동안 여러 전통간의 융합과정을 거친 후 9세기에 이르면서는 두 선율선 이상이 동시에 울리는 다성음악적 발전을 통해 확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구로마 성가 Old Roman chant
    전통은 적어도 8세기 이전까지 거슬러올라가지만 5개의 성가 필사본(3개의 승계송과 2개의 교송)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1071년의 것이다. 구로마 성가그레고리오 성가 간의 관계는 복잡해서 지금까지도 해명되지 못하고 있다. 이 두 성가는 전통미사와 성무일과 구조에 있어서 매우 비슷하며 여러 예배의식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암브로시오 성가 Ambrosian chant
    성가)과 어느 정도 관련되어 있다. 두 성가에 연민송(Kyrie)과 영광송(Gloria)이 들어있는데 암브로시오 성가에서는 연민송이 영광송에 첨가된 반면 그레고리오 성가에서는 연민송이 영광송 앞에 나온다. 또한 두 성가 모두 신앙고백송(Credo:암브로시오 성가에서는 '심볼룸'이라고 함)과 거룩송(Sanctus)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그레고리오 성가 악보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
그레고리오 성가 ‘진노의 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