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Equal-field system 균전제, 均田制The equal-field system or land-equalization system was a historical system of land ownership and distribution in China used from the Six Dynasties to Mid-Tang dynasty.By the time of the Han dynasty, the well-field system of land distribution had fallen out of use in China, though reformers like E...출처 영어 위키백과
-
북위, 균전제 시행중국 북위 효문제의 섭정인 풍태후가 한족 관리 이안세의 건의를 받아들여 균전제를 시행했다. 균전제는 15세에서 70세까지의 성인에게 일정한 넓이의 토지를 지급하고, 70세가 되거나 사망하면 국가에 반납하도록 하는 제도였다. 오랜 전쟁으로 황폐해진 토지를 농민들에게 나눠 줌으로써 농업을 발전시키고 더 많은...
- 시대 :
- 485년
- 국가/대륙 :
- 아시아
-
수나라 균전제 전국 확대문제가 균전제(북위, 균전제 시행 참조)를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했다. 수나라 균전제의 특징은 농민에게 군 복무 대가로 토지를 지급함으로써 균전제를 부병제(중국 서위, 부병제 실시 참조)와 결합했다는 점이다. 이는 농민의 생활을 안정시켜 국가 경제를 발전시키고, 군사 조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뿐 아니라, 농민...
- 시대 :
- 592년
- 국가/대륙 :
- 아시아
-
다민족 통일 국가로 거듭나기 위한 효문제의 한화 정책, 북위의 낙양 천도내게 해 계절에 따라 관료들의 봉록을 지급했다. 더불어 뇌물을 수수하는 관료들을 엄히 다스려 비단 한 필을 받은 자도 사형에 처했다. 이듬해인 485년에는 균전제(均田制) 실시를 선포했다. 화북 지역은 오랫동안 전쟁에 시달려 경제가 피폐해지고, 황무지가 늘어났으며, 귀족들의 토지 겸병으로 안정적인 재정을 확보...
- 시대 :
- 493년
-
정전 丁田정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는 견해가 있다. 요컨대, 백성에 급여된 정전이 연수유의 토지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이러한 사실로 균전제(均田制)나 토지의 수수를 생각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주장하였다. 즉, 연수유전답의 면적이 각 촌에 균등하지 않았다는 점, 호구(戶口)·정수(丁數)와 아무런...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성격 :
- 토지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722년(성덕왕 21)
- 분야 :
- 역사/고대사
-
당나라, 새로운 세금 제도 양세법 탄생 균전제를 포기하다양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기는 제도다. 이는 당나라 초기에 비해 대지주가 부쩍 늘어난 당시의 현실에 적합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가 공식적으로 균전제(당 현종, ‘개원의 치’ 시작 참조)를 포기하고 대지주의 토지 독점을 인정했다는 의미도 있다. 균전제와 양세법 이때까지 당나라의 세금 제도는 균전제에...
- 시대 :
- 780년
- 국가/대륙 :
- 아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