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규조류 硅藻類, diatom
    담수와 해수에 널리 분포하는 조류(algae)의 일종으로 갈색식물문의 한 강으로 단세포이며 규산질 껍데기를 갖고 있는 특징이 있음|규조류는 현존하는 종으로는 6,000에서 약 10,000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이것이 사멸하여 규조토 또는 토양의 주요 성분이 된다. 댐과 호수, 연못 등지에서 남조류와 녹조류가 번식하기...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규조류 diatom
    약 1만 6,000종(種)으로 이루어진 규조식물문(硅藻植物門 Bacillariophyta) 중 물에 떠 사는 조류(藻類).|단세포이거나 군체로 생활한다. 규산질로 된 껍질은 약상자 뚜껑처럼 위껍질과 아래껍질로 되어 있으며 무늬가 복잡하고 정교해 현미경의 해상력 시험재료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규조류는 뛰어난 대칭성과 아름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규조류 硅藻類, diatom
    부등편모식물(不等鞭毛植物)의 1군으로, 단세포의 특수한 형태의 조류(藻類). 세포벽이 규산화되어 있고 벽에 다양하고 복잡한 모양의 미세한 구멍, 즉 진공(eupole)이 있다. 이 구조는 종(種)의 표징이 된다.
  • 돌말 규조류, diatom
    바다에 떠다니는 미세 식물플랑크톤의 하나.|주요한 조류 군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으로 가장 흔한 종류의 하나다. 규조라고도 불린다. 대부분의 돌말은 단세포지만, 가는 실, 리본, 날개, 지그재그 등의 형태를 가진 집단으로 살아가고 있다. 1㎛(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몇㎜ 크기로 매우 미세한 구멍 구조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돌말류 (관련어 규조류) Diatom, 珪藻
    생물 분류 돌말류 또는 규조류(硅藻類, 000여종으로 추정될 정도로 흔한 식물성 플랑크톤이다. 수화된 규산염이 유기물의 기질에 파묻혀 유리와 같은 세포벽을 형성한다. 단세포 식물로 현재 약 12,000종 가량의 종류가 알려져 있다. 민물이나 바닷물에서 부유 생활(식물 플랑크톤)이나 부착 생활을 한다. 한편, 규조류...
    도서 위키백과
  • 원시배선규조류
    생물 분류 원시배선규조류(原始背線硅藻類)는 돌말류(또는 규조류) 분류군의 하나이다. 원시배선규조강(Bacillariophyceae)저널 인용 또는 원시배선규조아강(Bacillariophycidae)웹 인용으로 분류한다. 전통적으로 돌말강의 우상규조목가 분류하는 원시배선규조아강(Bacillariophycidae)의 최신 분류는 아래와 같다...
    도서 위키백과
  • 짱뚱어 짝동이, Blue-spotted mud hopper
    있다. 피부 호흡을 하며 잘 발달된 육질의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하여 개펄에서 생활한다. 물이 빠지면 연안과 기수역의 개펄에서 바닥을 기어 다니며 주로 규조류를 먹고 산다. 산란은 6-8월에 한다. 수컷이 개펄에 Y자 형태의 구멍을 판 후 여기에 암컷을 유인하여 산란을 유도한다. 암컷이 구멍에 산란하고 산란장을...
    분류 :
    척삭동물문 > 조기어강 > 농어목 > 망둑어과 > 짱뚱어속
    서식지 :
    연안과 기수역
    학명 :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Linnaeus, 1758)
    국내분포 :
    남해와 서해
    해외분포 :
    일본, 중국, 대만, 미얀마 말레이 반도 등
  • 빙설조류 氷雪藻類, cryoflora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잘 알려져 있는 적설현상은 클라미도모나스속·규조류가 증식하여 나타나며, 갈색설현상은 장구말·규조류·남조류, 녹색설현상은 연두벌레·클라미도모나스, 황설현상은 프로토데르마·남조류, 그리고 흑설현상은 스코티엘라 니발리스, 라피도네마가 증식되어 나타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저서생물 底棲生物, benthos
    에는 다모류·복족류·요각류·패충류·쿠마류·선충류·와충류·유공충류 등이 있다. 몸의 크기가 0.1㎜ 이하인 미세저서생물(microbenthos)에는 세균·규조류·섬모충류·아메바·편모충류 등이 있다. 저서생물의 다양성과 풍부함은 위도·깊이·수온·염분도에 따라 다양하며, 하층토의 특징처럼 지역적으로 제한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클레베 Per Teodor Cleve
    발견한 것과, 때때로 클레베산으로 알려진 아미노나프탈렌술폰산의 발견을 들 수 있다. 1890년부터 그는 생물학 연구, 특히 민물에 사는 조류, 플랑크톤 및 규조류 연구에 힘을 쏟았다. 그는 퇴적층 내 규조화석으로부터 빙하기 후기 및 빙 하기 다음 시대 퇴적층의 연대와 층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규조류...
    출생 :
    1840. 2. 10, 스톡홀름
    사망 :
    1905. 6. 18, 웁살라
    국적 :
    스웨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플랑크톤이 풀어내는 익사 사건
    있는 플랑크톤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조직을 녹여야 하는데 이때 강산을 처리하기 때문에 다른 플랑크톤 종류는 모두 녹아 없어지고 강산에도 녹지 않는 규조류만 남게 된다. 따라서 현미경 관찰 시 실제로 관찰되는 것은 규조류가 주를 이룬다. 플랑크톤 검출 시험에 사용되는 장기는 부검 시 적출된 간장, 폐장, 심장...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생물
  • 농경지, 토양에 서식하는 미생물 종류
    표층 토양에 주로 분포하며 종종 유기물이 부족한 토양 표면에 가장 먼저 집락을 형성한다. 온대토양에서 조류의 상대적 발생 빈도는 녹조류가 가장 다양하며 규조류, 남세균, 황녹조류 순이다. 그들의 형태는 단세포성, 군집성 또는 사상성을 띤다. 녹조류는 가장 다양한 조류군으로 유사분열이나 분절을 통해 무성생식...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규조류 (diatom)
식물플랑크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