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귀리
    벼과에 속하는 이년생 초본식물.|개설 학명은 Avena sativa L.이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귀리의 명칭에 관하여 “귀리는 들보리이다. 제비와 참새가 잘 먹기 때문에 연맥(燕麥)·작맥(雀麥)이라고 하며, 또 광맥(穬麥)·이맥(耳麥)이라고도 한다.”라고 하였다. 『아언각비(雅言覺非)』에서는 “연맥은 작맥...
    분류 :
    벼과
    성격 :
    식물, 작물
    유형 :
    동식물
    크기 :
    높이 1m
    학명 :
    Avena sativa L.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5∼6월
  • 귀리 oat
    연맥 또는 작맥이라고도 불리는 귀리는 중앙아시아가 원산지로 유럽에는 기원전 2000~1300년 경전파되어 현재는 아시아지역보다는 서양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다. 귀리(Oat)를 볶은 다음 거칠게 부수거나 납작하게 누른 것, 혹은 이것으로 죽처럼 조리한 음식을 오트밀이라 하는데, 우유에 타먹는 시리얼의 원류로 볼 수 ...
    분류 :
    농산물 〉 곡류 〉 잡곡류
    원산지 :
    전남 강진, 전북 정읍
    생산시기 :
    봄재배 6~10월, 가을재배 9~10월
    가공식품 :
    오트밀, 시리얼
    수입량 :
    2013년 5,019톤, 2014년 14,690톤(9월 까지)
  • 사료작물의 품종 개발, 귀리 국내 육성 목초 및 사료작물 신품종 소개
    귀리는 벼과의 사료작물 중에서 사료가치가 높고 가축 기호성이 매우 좋은 작물로, 봄철과 가을철 재배가 가능한 단경기 사료작물로 파종 후 두 달이 지나면 풋베기나 사일리지로 이용할 수 있다. 국내 육성품종은 2000년 이후 월동 재배용으로 동한 ・ 삼한 ・ 조한 ・ 풍한 ・ 조풍 ・ 광한 등 11개 품종, 월동재배와 ...
    도서 조사료 | 태그 식물 , 산업
  • 귀리 Oats
    분포지역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북부지방에서 흔히 재배한다. 형태 2년생 작물 크기 높이는 1m이상 잎 잎은 길이 15-30㎝, 폭 6-12㎜로서 편평하고 엽초가 길며 잎혀는 짧고 잘게 갈라진다. 꽃 꽃은 5-6월에 피며 원뿔모양꽃차례는 길이 20-30cm이고 가지가 돌려나기하며 다시 갈라진다. 작은이삭은 대가 있고 녹색이며...
    분류 :
    화본목 > 벼과 > 귀리속
    꽃색 :
    녹색
    학명 :
    Avena sativa L.
    개화기 :
    5월, 6월
  • 귀리 oats
    벼목 화본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처음에 유럽의 보리밭에 잡초처럼 자라던 것인데 지금은 세계 거의 모든 곳에서 재배된다. 귀리는 주로 가축의 먹이로 쓰지만 껍질을 벗기고 납작하게 눌러서 오트밀을 만들거나 빻아서 쿠키나 푸딩을 만들기도 한다. 귀리는 가축의 사료용으로도 널리 쓰인다.|개요 벼목 화본과에 ...
  • 귀리 귀리깨, 歸里
    마포구 상암동에 있던 마을로서, 모로 돌아 한강 가에 위치하여 귀가 진 갯마을이라는 뜻의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귀리깨・귀이깨라고도 부른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귀리 燕麥, Oat, Oat straw, Groats
    특성 2년초. 높이 60~100cm. 잎은 선형이며, 길이 15~30cm, 너비 6~12mm로 납작하고, 끝은 좁아져서 뾰족하며, 기부는 줄기를 싸고 있다. 5~6월에 원추화서로 꽃이 달린다. 우리 나라에서는 북부 지방에서 식용 또는 사료용으로 재배하나,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허브 식물로 취급한다. 성분 종자에 campesterol, carotene...
    분류 :
    벼과(Gramineae)
    원산지 :
    터키, 이란, 이라크, 아르메니아
    생산시기 :
    수시(잎), 6월(종자)
    크기 :
    60~100cm
    학명 :
    Avena sativa L.
    용도 :
    식용, 양조, 사료, 알코올 원료, 과자 원료, 퇴비
    이용 :
    잎, 종자
    개화기 :
    5~6월
  • 귀리 Oat, エンバク
    생물 분류귀리는 벼과의 두해살이풀로 학명은 Avena sativa이다. 재배종인 귀리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지역이며 한국에서는 고려시대부터 재배하기 시작했다. 밑부분에서 뭉쳐나며 높이 1 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거의 털이 없으나 마디에는 아래로 향한 털이 있다. 잎은 길이 15-30 cm, 너비 6-12 mm...
    도서 위키백과
  • Oat 귀리, エンバク
    The oat (Avena sativa), sometimes called the common oat, is a species of cereal grain grown for its seed, which is known by the same name (usually in the plural, unlike other cereals and pseudocereals). While oats are suitable for human consumption as oatmeal and rolled oats, one of the most comm...
  • 사료작물, 귀리 재배기술
    일반특성 귀리(연맥)는 봄철과 가을철 재배가 가능한 단경기 사료작물로 파종 후 두 달이 지나면 청예로 이용할 수 있다. 귀리는 목초에 가까운 특성을 가지며, 가축이 먹기를 좋아하고 잎이 많아 사료 가치가 우수하다. 생육 최저온도는 4∼5℃로 추위에 약하여 중북부 지방은 월동에 문제가 있으나 봄과 가을 단경기...
    도서 조사료 | 태그 식물 , 산업
  • 귀리 겉보리 농사일소리 龜里 겉보리 農事일소리
    개설 ‘귀리(龜里)’는 전승지인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와 상귀리를 아울러 이르는 지명이며, ‘겉보리농사일’이란 보리의 일종인 ‘겉보리’ 농사를 지으면서 부르는 민요라는 뜻이다. 내용 귀리 겉보리농사일소리는 ‘ᄆᆞ쉬 ᄆᆞ는 소리’, ‘돗거름 밟는 소리’, ‘ᄆᆞ쉬 짐 싣고 가는 소리’, ‘밭가는 소리’, ‘김매기...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참새귀리 Japanese Chess
    8-11mm, 7-9개의 맥이 있고, 끝은 까락으로 되며 뒤로 젖혀진다. 내영은 외영보다 짧다. 생태 한해살이풀이다. 5-7월에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이용 가축먹이 해설 한국산 참새귀리속(Bromus) 식물 중에서 제1포영에 3-5개의 맥이 있고 제2포영에 7-9개의 맥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현진오...
    분류 :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벼목 > 화본과 > 참새귀리속
    서식지 :
    길가, 논둑, 풀밭
    학명 :
    Bromus japonicus Thunb.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북반구 온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6건

귀리
귀리
귀리
귀리 종자
생산지와 생산시기
귀리이삭
참새귀리
야생귀리
참새귀리
참새귀리
야생귀리
테누타 마라, 귀리
귀리투생이
큰참새귀리
빕새귀리
빕새귀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