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권리청원1628년 영국 의회가 찰스 1세의 승인을 얻어 발표한 선언으로 국민의 인권에 관한 선언이다. 국민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인권선언으로, 누구도 함부로 체포·구금될 수 없으며 국민의 군법에 의한 재판을 금지하고 의회의 동의 없이는 어떠한 과세·증여도 부과하지 않을 것을 담고 있다. 마그나카르타 및 권리장전과 ...
-
근대 법치주의 탄생의 역사 (관련어 권리청원)대헌장 왕도 법에 따르라 실제로도 1215년 대주교와 귀족들이 힘을 모아 존 왕에 대한 충성 포기 선언을 하게 되자 영국 국정은 마비되고 말았습니다. 위기를 느낀 존 왕은 귀족들이 원하는 대로 무엇이든지 따르겠다고 하고, 그들이 요구하는 내용대로 문서를 만들어 서명을 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마그나 카르타, 즉 ...
-
〈권리청원〉부터 청교도 혁명까지, 찰스 1세의 처형작은 분쟁에 군대를 보내 미주알고주알 간섭했고, 사치를 일삼았다. 그러다 국고가 바닥나면 닥치는 대로 세금을 거두어들였다. 1628년 의회는 찰스 1세에게 〈권리청원〉을 제출했다. 의회의 허락 없이는 제아무리 왕이라 하더라도 국민에 대해 세금을 부과할 수 없고, 국민은 법적인 근거 없이 체포될 수 없다는 내용...
- 시대 :
- 1649년
-
잉글랜드의 찰스 1세 〈권리청원〉 승인30년전쟁 등에 개입하면서 국고를 탕진한 찰스 1세가 의회의 반대를 무릅쓰고 세금을 강제로 걷었다. 이에 의회는 의회의 권한을 정리한 「권리청원」을 작성해 왕에게 승인을 요구했다. 의회의 동의 없이는 세금을 거둘 수 없고, 법에 의하지 않고는 누구도 체포하거나 감옥에 가둘 수 없다는 것 등이 주된 내용이었다...
- 시대 :
- 1628년
- 국가/대륙 :
- 유럽
-
영국 혁명, 국왕과 의회의 충돌쓸데없이 에스파냐, 프랑스와 소규모의 전쟁을 일으키고 패배하면서 왕의 위신을 실추시켰고, 의회에게 부족한 전쟁경비를 마련하기 위하여 1628년 권리청원(Petition of Right)을 승인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에드워드 코크가 기초한 것으로 알려진 권리청원은 대헌장(Magna Carta)의 원칙을 분명하게 재확인하며 왕권을...
-
근대적 시민 헌장, 마그나 카르타의 승인예는 거의 없었다. 이 문서를 영국 민주주의, 법치주의의 발원으로 보는 견해는 바로 이러한 측면 때문이다. 또한 〈마그나 카르타〉는 훗날 잉글랜드의 〈권리청원〉, 미국 연방헌법과 주헌법에 영향을 미쳤다. “일반 평의회의 승인 없이 군역 대납금과 공과금을 부과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한 제12조는 의회의 승인...
- 시대 :
- 1215년
-
찰스 1세와 의회의 힘이를 지켜본 하원의 청교도 의원들은 의회가 열리자 국왕이 멋대로 부과한 세금과 인신 구속을 비난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유명한 '권리청원'을 제출하게 된다. 권리청원은 대헌장의 재현이자 일부 발전된 문서로서, 여기서 요구한 것은 '의회의 동의 없이 과세하지 말 것, 정당한 이유 없는 구금의 반대, 백성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