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권리청원 Petition of Right
    영국에서 국왕을 상대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보장된 청원.|가장 유명한 것으로는 의회가 찰스 1세에게 법률 위반 사례를 일일이 열거하며 불만을 표한 1628년의 권리청원이다. 이 용어는 백성들이 국왕에게 소송을 제기하는 법적인 절차(1947 폐지)를 뜻하기도 했다. 보통법에 따르면 국왕 또는 국왕에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권리청원
    1628년 영국 의회가 찰스 1세의 승인을 얻어 발표한 선언으로 국민의 인권에 관한 선언이다. 국민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인권선언으로, 누구도 함부로 체포·구금될 수 없으며 국민의 군법에 의한 재판을 금지하고 의회의 동의 없이는 어떠한 과세·증여도 부과하지 않을 것을 담고 있다. 마그나카르타 및 권리장전과 ...
  • 권리청원 (관련어 권리 청원) Petition of Right, 権利の請願
    권리청원이란 1628년에 영국의회가 찰스 1세의 승인을 얻은 국민의 인권에 관한 선언으로 권리장전이 명예혁명의 결과에 의한 인권선언의 성격을 띤 데 반해, 권리청원은 청교도 혁명과 관련된 인권선언이다. 1625년에 즉위한 찰스 1세는 왕위를 계승한 이래 프랑스·에스파냐와의 잦은 전쟁으로 그 비용을 강제기부(強...
    도서 위키백과
  • 근대 법치주의 탄생의 역사 (관련어 권리청원)
    대헌장 왕도 법에 따르라 실제로도 1215년 대주교와 귀족들이 힘을 모아 존 왕에 대한 충성 포기 선언을 하게 되자 영국 국정은 마비되고 말았습니다. 위기를 느낀 존 왕은 귀족들이 원하는 대로 무엇이든지 따르겠다고 하고, 그들이 요구하는 내용대로 문서를 만들어 서명을 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마그나 카르타, 즉 ...
  • 〈권리청원〉부터 청교도 혁명까지, 찰스 1세의 처형
    작은 분쟁에 군대를 보내 미주알고주알 간섭했고, 사치를 일삼았다. 그러다 국고가 바닥나면 닥치는 대로 세금을 거두어들였다. 1628년 의회는 찰스 1세에게 〈권리청원〉을 제출했다. 의회의 허락 없이는 제아무리 왕이라 하더라도 국민에 대해 세금을 부과할 수 없고, 국민은 법적인 근거 없이 체포될 수 없다는 내용...
    시대 :
    1649년
  • 잉글랜드의 찰스 1세 〈권리청원〉 승인
    30년전쟁 등에 개입하면서 국고를 탕진한 찰스 1세가 의회의 반대를 무릅쓰고 세금을 강제로 걷었다. 이에 의회는 의회의 권한을 정리한 「권리청원」을 작성해 왕에게 승인을 요구했다. 의회의 동의 없이는 세금을 거둘 수 없고, 법에 의하지 않고는 누구도 체포하거나 감옥에 가둘 수 없다는 것 등이 주된 내용이었다...
    시대 :
    1628년
    국가/대륙 :
    유럽
  • 영국 혁명, 국왕과 의회의 충돌
    쓸데없이 에스파냐, 프랑스와 소규모의 전쟁을 일으키고 패배하면서 왕의 위신을 실추시켰고, 의회에게 부족한 전쟁경비를 마련하기 위하여 1628년 권리청원(Petition of Right)을 승인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에드워드 코크가 기초한 것으로 알려진 권리청원은 대헌장(Magna Carta)의 원칙을 분명하게 재확인하며 왕권을...
    도서 이야기세계사2 | 태그 세계사
  • 다넬 판례 5인의 기사판례, Darnel's case
    권리청원(權利請願)을 제정하는 데 이바지했다. 1627년 3월, 토머스 다넬 경, 존 코벳 경, 월터 얼 경, 에드먼드 햄던 경, 존 헤빙엄 경 등이 국왕 찰스 1세가 부과한 강제 공채를 거절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었다. 이 기사들은 국왕이 자신들을 구금한 정당한 이유를 제시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자신들은 보석금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근대적 시민 헌장, 마그나 카르타의 승인
    예는 거의 없었다. 이 문서를 영국 민주주의, 법치주의의 발원으로 보는 견해는 바로 이러한 측면 때문이다. 또한 〈마그나 카르타〉는 훗날 잉글랜드의 〈권리청원〉, 미국 연방헌법과 주헌법에 영향을 미쳤다. “일반 평의회의 승인 없이 군역 대납금과 공과금을 부과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한 제12조는 의회의 승인...
    시대 :
    1215년
  • 찰스 1세와 의회의 힘
    이를 지켜본 하원의 청교도 의원들은 의회가 열리자 국왕이 멋대로 부과한 세금과 인신 구속을 비난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유명한 '권리청원'을 제출하게 된다. 권리청원은 대헌장의 재현이자 일부 발전된 문서로서, 여기서 요구한 것은 '의회의 동의 없이 과세하지 말 것, 정당한 이유 없는 구금의 반대, 백성들의...
  • 브리스틀 John Digby, 1st earl of Bristol
    하려는 찰스에 의해 투옥되었다. 2년 후 상원의 도움으로 풀려나 상원에 돌아온 그는 왕권에 의한 자의적인 투옥과 과세를 금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권리청원이 의회에서 통과되는 데 기여했다. 그후 공직생활을 청산했으나 의회와 찰스 1세 간의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이를 완화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품고...
    출생 :
    1580. 2
    사망 :
    1653. 1. 16, 파리
    국적 :
    잉글랜드,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인권 人權, human rights
    보편적인 사회적 요구와 현실로 받아들여진 것은 르네상스기에서부터 17세기에 이르는 기간이었다. 토마스 아퀴나스, 그로티우스의 저술과 마그나 카르타, 권리청원(1628), 영국의 권리장전(1689) 등은 "모든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타인에게 양도할 수 없는 고유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천부인권(天賦人權) 사상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권리청원
권리청원(Petition of Right)
〈권리청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