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군함조 軍艦鳥, Lesser Frigatebird
    서식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의 열대·아열대해역에서 번식한다. 지리적으로 3아종으로 분류한다. 국내에서는 낙동강 하구, 한강 하구, 청평호, 경포호, 어청도, 외연도, 제주도 등지에서 관찰기록이 있는 미조다. 주로 6월 하순부터 9월 하순 사이에 관찰된다. 행동 먹이는 직접 수면에서 잡기도 하지만 종종 갈매기 등...
    분류 :
    군함조과(Fregatidae)
    서식지 :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의 열대·아열대해역에서 번식한다.
    크기 :
    L71~81cm
    학명 :
    Fregata ariel Lesser Frigatebird
  • 군함조 Lesser frigatebird, コグンカンドリ
    생물 분류 군함조(軍艦鳥, llang) 또는 쇠군함조는 가다랭이잡이목 군함조과에 속하는 새이다. 주로 열대 섬 지방에 분포한다.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의 열대 섬 및 해안 지방에서 번식한다. 분포 지역의 대부분은 큰군함조와 중복이 되지만, 수는 그만큼 많지 않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혼슈, 규슈의 태평양과 이즈 ...
    도서 위키백과
  • Lesser frigatebird 군함조, コグンカンドリ
    The lesser frigatebird (Fregata ariel) is a seabird of the frigatebird family Fregatidae. At around 75 cm (30 in) in length, it is the smallest species of frigatebird. It occurs over tropical and subtropical waters across the Indian and Pacific Oceans as well as off the Atlantic coast of Brazil.T...
  • 군함조 Great Frigatebird
    먹는 습성이 있다. 깃털은 방수성이 없으며 다리는 매우 짧고 발가락에는 물갈퀴가 약간 달려 있을 뿐 헤엄칠 수 없으며 물에서 날아오를 수 없다. 특징 군함조보다 크지만 구별이 어렵다. 날 때 날개아랫면 기부의 흰 무늬 패턴으로 군함조와 구별한다. 수컷 군함조와 같이 멱에 붉은색 피부가 노출된다. 그 외 몸...
    분류 :
    군함조과(Fregatidae)
    서식지 :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의 열대·아열대해역에서 번식한다.
    크기 :
    L85~105cm
    학명 :
    Fregata minor Great Frigatebird
  • 군함조 Great frigatebird, オオグンカンドリ
    생물 분류 큰군함조는 가다랭이잡이목, 군함조과로 분류된 조류의 한 종류이다. 전 세계 열대, 아열대에 널리 분포하는 군함조의 한 종류이다. 다 자란 것은 길이 100 cm, 날개를 편 길이가 230cm에 달하는 큰 바닷새이며, 체중은 1.2 kg 정도로 비교적 가볍다. 부리가 길고 끝이 갈고리처럼 아래로 구부러져 있다. 날개...
    도서 위키백과
  • 아메리카군함조 Magnificent frigatebird, アメリカグンカンドリ
    생물 분류 아메리카군함조는 군함조과에 속하며 학명은 Fregata magnificens이다. 열대해양에 떼를 지어 서식한다. 몸길이는 약 1m이지만, 날개편길이는 무려 2.5m나 된다. 몸의 윗면은 금속 광택이 나는 검은색의 깃털로 덮여 있다. 어린새는 머리가 흰색이다. 꽁지깃은 길고 가늘며 둘로 갈라져 엇갈린다. 목에 주머니...
    도서 위키백과
  • 군함새 Frigate Bird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펠리칸목 > 군함새과 > 군함새속
    원산지 :
    인도양, 태평양, 대서양
    서식지 :
    바다
    크기 :
    약 1m ~ 2.5m
    무게 :
    약 3.2kg ~ 3.5kg
    학명 :
    Fr­egata magnificens
    식성 :
    육식
  • 군함조류 frigate bird
    160㎞ 이내의 거리에서 활동한다. 섬에서 많은 개체가 모여 군집을 이루어 번식하며, 흰색의 알을 1개 낳아 암수 같이 포란한다. 가장 대형 종은 미국군함조(Fregata magnificens)로 몸길이가 약 115㎝에 달하며, 미국의 양쪽 해안, 카리브 해, 베르데 곶에서 발견된다. 큰군함조(F. minor)와 군함조(F. ariel)는 전세계...
    먹이 :
    날치, 해파리, 갑각류, 새끼 거북이, 알 등
    임신기간 :
    약 40~50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경남 FC 경남 도민프로축구단, 경남 FC
    2024년에는 12위를 기록했다. 홈구장·마스코트 홈구장은 경상남도 창원시 사파정동 305번지에 위치한 창원축구센터이다. 마스코트는 빠른 새로 알려져 있는 군함조인 '군함이'로, 온종일 날아 다녀도 물위에 내려 앉는 일이 없을 정도로 강한 바닷새이다. 예리한 눈빛과 검은 깃털, 붉은 가슴은 군함조의 트레이드마크...
    설립 :
    2006년
    소속 :
    대한민국 K리그2
    지역 :
    경상남도
    사이트 :
    https://www.gyeongnamfc.com
  • 군함조과 Fregatidae
    세계의 아열대·열대 바다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세계에 알려진 5종 가운데 1종인 군함조가 여러 번 발견되었다. 긴 날개와 제비꼬리 모양의 긴 꼬리를 가진 큰 바다새로 길다란 부리는 끝이 고리 모양으로 굽어 있다. 하늘 높이 날며, 종종 거의 정지상태에 있기도 한다. 바다 위나 지상에서 새나 거북이의 새끼 따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바닷새의 특징
    있다. 그래서 풍선에 바람을 넣으면 떠오르듯이 좀 더 쉽게 날 수 있는 것이다. 바닷새의 뼈가 매우 가볍다는 사실은 날개 길이 2m가 넘는 군함조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군함조는 전체 뼈의 무게가 100g 정도 나간다. 이는 깃털의 전체 무게보다 가벼운 수준이다. 깃털보다 가벼운 바닷새의 뼈. 흔히 ‘가볍다’는...
  • 인도양의 천연자원
    오징어 종류도 많다. 어류 중 날치류·발광안초비·랜턴피시·참치·돛새치·상어류 등이 많고, 바다거북·해우·향유고래·수염고래·돌고래·물개 등의 대형 해양포유류도 널리 분포하고 있다. 알바트로스와 군함조는 인도양에서 가장 흔한 조류이며, 여러 종류의 펭귄이 남극대륙의 해안과 중위도의 섬에 분포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도양 , 지구 , 바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6건

군함조
군함조 성조 수컷(2008.12.13. 호주 Broome)
군함조 어린새(2008.12.13. 호주 Broome)
군함조 어린새(2011.6.28. 강원 강릉 경포호)
군함조 어린새(2009.8.29. 충남 보령 외연도)
① 군함조 ② 이구아나 ③ 다윈 연구소(1964년 설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