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군함 軍艦, naval ships and craft
    국가가 그 군사력을 해상으로 확대하는 데 주요수단으로 사용하는 배의 총칭.|군함은 아군이 상륙해 적군과 싸울 해안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호하고, 자국의 상선대를 적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적이 바다로 그 군대를 수송하는 것을 저지하며, 적의 상선들을 공격한다. 군함은 적이 전쟁 수행에 필요한 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군함 軍艦
    해군에 속하며 그 나라의 군함인 것을 나타내는 외부 표지를 부착한 선박.|내용 군함은 함적부(艦籍簿)에 등록되어 있고 해군사관에 의해 지휘되며, 외부 표지로서 소속 부대의 표지와 함종번호(艦種番號)를 표시하며, 정박중일 때는 함수에는 해군기, 함미에는 국기를 게양하고 항해중에는 마스트에 국기를 게양한다....
    유형 :
    개념
    분야 :
    정치·법제/국방
  • 군함 Warship, 軍艦
    군함(軍艦, 군선(軍船), 병선(兵船), 함정(艦艇), 함선(艦船)은 일반적으로는 전투에 종사함을 주목적으로 하는 배로, 주로 해군이 소유하는 선박을 말한다. 군함은 제각기의 임무에 따라 종류도 많다. 군함에는 여러 가지 병기·탄약을 비롯하여 전투에 필요한 레이다 등의 장치 이외에도 다수의 승무원을 태우고 있다....
    도서 위키백과
  • 구축함 (동의어 군함) 驅逐艦, destroyer
    제1차 세계대전까지 구축함은 보통 전투함대의 전방에 배치되어 적함대를 정찰하고 적함대의 구축함을 대포로 격퇴시키며 적의 전함과 순양함에 어뢰를 발사하는 임무를 맡았다. 잠수함이 어뢰를 발사하는 주종함이 되면서, 구축함은 수중음파탐지기와 폭뢰를 갖추고 적 잠수함의 공격으로부터 상선단과 전투함대를 보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군함 軍艦, Warships
    군적을 갖고 있는 선박의 총칭. 무장 선박은 물론, 무장이 없는 각종 특수 군함 및 이들 선박에 탑재되어 있는 단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선이 군사 목적을 위하여 군 장교의 지휘 하에 사용되고 있더라도 군적선이 아닌 이상 군함으로 보지 않는다.
    분야 :
    함정
  • 항공모함 시대의 군함
    이것들은 곧 새로운 해군 항공술에 의해 밀려나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할 무렵에는 항공모함이 항공기들을 발진·회수·격납하고 자체적으로 적의 군함을 공격해 파괴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수상함대의 전투범위는 32km에서 480km로 확장되었다. 1922년 제1차 세계대전의 전승국과 일본의 특사들이 워싱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해양
  • 유도탄 시대의 군함
    소형의 호송함들도 일관성있게 강력한 추진력을 일으키는 가스 터빈의 개발에 의해 성능이 향상되었다. 장갑의 역할은 1945년 이후 크게 줄었다. 그 이유는 군함에 최대의 위협인 항공기가 이제는 유도탄과 갑판의 가장 두꺼운 장갑도 관통할 수 있는 폭탄을 탑재했기 때문이다. 동시에 군함의 새로운 미사일 무기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조선/해양
  • 증기와 철재 시대의 군함
    19세기 산업혁명이 전개되면서 군함의 설계·운용·전술 등의 모든 면에서 괄목할 만한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1800년대 중반에 이르러 위풍당당한 전열함이 바다를 지배하던 시대는 끝났다. 군함을 건조하는 데 철재의 사용이 일반화된 것은 유탄(留彈)을 발사하는 포의 진가가 완전히 인식되고 그에...
    도서 다음백과
  • 노와 충각 시대의 군함
    들이받고 건널판자를 떨어뜨린 다음 로마의 수병들이 적선에 승선하여 적을 제압하게 했다. 로마는 상선들을 호송하고 해적들과 싸우기 위해서는 보다 가벼운 군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개발한 것이 리부르니안(liburnian)이었다. 이것은 본래 가벼운 쾌속 1단노선이었는데 여기에 로마인들이 제2단의 노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해양
  • 대포와 어뢰 시대의 군함
    19세기말부터 제1차 세계대전이 종식될 때까지 군함 개발은 대포와 어뢰의 경쟁적인 발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두 무기의 개량은 수상 군함의 설계와 활용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1900년에 이르러 304㎜ 포로 분당 1~2발을 조준·발사할 수 있게 되었다. 그것은 10년 전 5분에 1발을 조준 발사할 수 있었던 것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해양
  • 총포와 돛 시대의 군함
    처음에는 연철로 제작되었지만 1500년 이후 놋쇠로 대체되었다. 이 총포들 가운데는 무게가 27kg이나 되는 포탄을 발사하는 것도 있었다. 대포로 무장한 군함들로 대양을 누빈 최초의 나라는 포르투갈과 스페인이었고 그 다음이 프랑스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초로 진정한 항양(航洋) 전투함대를 창설한 것은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조선/해양
  • 군함 군함도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농림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과거 사람이 거주했던 집터와 밭터가 있음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30~40년 전 1명 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없음 ㆍ역사적 가치...
    면적 :
    29,752m 2
    좌표 :
    34° 31′ 58.1″ N, 126° 13′ 16.0″ E
    지번 :
    진도읍 수유리 산53
    소유현황 :
    사유지
    육지와의 거리 :
    쉬미항으로부터 3.72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전라남도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0건

군함
군함(naval ships and craf)
각선도본/전선
해군 함정
일본 군함이 청나라 군함을 격침시키고 있다
일본 군함
군함섬
군함섬 해도
군함섬 해도
군함섬 남동
군함섬 해도
군함섬 해도
군함섬 서
군함섬 북
군함섬 남
미 군함 모노카시 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