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군정 軍政군정(軍政)은 군사(軍事)에 관한 군행정(軍行政)과 군재정(軍財政)의 총칭이다. 군정(軍政)은 군사(軍事)에 관한 정무(政務)로서, 군사 행정인 군적(軍籍)과 군사 재정의 근원인 군포(軍布)에 관한 일을 뜻하며, 전정(田政), 환정(還政)과 함께 조선시대 주요 정사(政事) 중 하나였다. 내용 군적(軍籍)은 고려시대부터...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군정 軍政, Military Administration(1) 법률의 원리, 원칙 및 전쟁 규칙에 의거하여 군 지휘관이 점령 지역에서 입법 ・ 사법 ・ 행정 권한을 행사하는 통치 기능. (2) 국방 목표 달성을 위하여 군사력을 건설 ・ 유지 ・ 관리하는 양병 기능으로서 국방 정책의 수립, 국방 관계 법령의 제정, 개정 및 시행, 자원의 획득 배분과 관리, 작전 지원 등을 하는...
-
군정장관 軍政長官개설 1945년 9월부터 1948년 8월까지 재조선미국육군사령부 소속 현역 장성들이 역대 군정장관으로 취임했다. 초대 군정장관은 아놀드(Archibold V. Arnold, 재임기간 1945.9.12∼1946.1.4) 소장, 제2대는 러취 (Archer L. Lerch, 재임기간 1946.1.4∼1947.9.11) 소장, 제3대는 딘(William F. Dean, 재임기간 1947.11.25...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군정법령 제33호 軍政法令 第三十三號제정 목적 군정법령 제33호란 1945년 12월 6일 미군정 법령 제33호로 제정된 「조선내 소재 일본인재산권 취득의 건」을 말한다. 내용 군정법령 제33호 제2조에서는 “1945년 8월 9일 이후 일본정부, 그의 기관 또는 그 국민, 회사, 단체, 조합, 일본정부의 기타 기관 혹은 그 정부가 조직 또는 취체한 단체가 직접 간접...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구군정 九君亭개설 구군정은 활쏘기 훈련장으로 만든 조선시대의 정자로 해발 177.6m되는 용수산 지맥이 북쪽으로 흘러내린 낮은 언덕 암반 위에 동쪽을 향해 세워져 있다. 호정, 관덕정, 군자정, 명월정, 반구정, 보선정, 채빈정과 더불어 조선시대 개성에 있었다는 8개 사정 가운데 하나이다. 관덕정, 호정 등이 양반과 한량들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등통군정 登統軍亭있다. 의주(義州)의 용만과 부산의 동래부(東萊府:灣府)는 예로부터 군사상의 요충지이기 때문에 이 통군정을 두고 지은 시편이 많다. 그 중 이안눌의 「등통군정」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꼽히고 있으며, 이것은 정철(鄭澈)의 미인곡을 두고 지은 「문가(聞歌)」와 함께 그의 대표작이 되고 있다. 이안눌은 동악시단...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인눌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중기
- 성격 :
- 한시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군정연장반대시위 軍政延長反對示威, a demonstration against..총동맹, 전국학생총연맹, 건국독립당, 국민회청년대 등의 단체는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유진산, 김성주, 신창균, 최규설 등 네 대표가 민정장관에게 항의서한을 제출했다. 11월 8일에는 중앙청 앞 등에서 항의시위가 전개되었다. 안재홍은 「요강」의 보도내용이 원문과 다르다면서 군정연장 청원설을 부인했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발생 :
- 1947년 11월 8일
- 성격 :
- 시위사건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현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조선민주당, 서북청년회, 대한독립촉성애국부인회, 여자국민당, 대한독립촉성노총연맹, 민족통일총본부, 대동청년단, 대한농민총연맹, 한국민주당, 청년조선총동맹, 전국학생총연맹, 건국독립당, 국민회청년대, 유진산, 김성주, 신창균, 최규설
- 관련 장소 :
- 중앙청 앞
-
박정희 대한민국 제5·6·7·8·9대 대통령, 朴正熙7사단장, 제1군 사령부참모장, 제6관구사령관, 육군군수기지사령관, 제1관구사령관,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제2군 부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5·16군사정변과 군정 시대 1961년 소장으로 제2군 부사령관에 재직중 "누란(累卵)의 위기에서 조국을 구하고 도탄에 빠진 민생고를 시급히 해결하겠다"는 등의 혁명공약을...
- 출생 :
- 1917. 11.14, 경북 선산
- 사망 :
- 1979. 10. 26, 서울
- 국적 :
- 한국
- 직업 :
- 군인, 정치인, 대한민국 제5·6·7·8·9대 대통령
- 호 :
- 중수(中樹)
-
이충작 군정(君貞), 李忠綽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군정(君貞), 호는 졸암(拙庵) 또는 낙빈(洛濱). 직산(稷山) 출신. 세종의 제4남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후손이며, 이주(李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진(李珎)이고, 아버지는 당은부수(唐恩副守) 이휘(李徽)이며, 어머니는 오황(吳滉)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59...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21년(중종 16)
- 사망 :
- 1577년(선조 10)
- 경력 :
- 형조좌랑, 사헌부장령, 충청도관찰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을사사화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全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