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군악대 軍樂隊, military band
    군대에 속하는 악대. 군의 사기진작, 홍보, 국가행사시의 전용음악의 연주를 목적으로 설치되었다.|군의 사기진작, 홍보, 국가행사시의 전용음악의 연주를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군악대는 야외활동이 많기 때문에 실제로는 취주악단 편성이 주가 되고 있다. 영어의 'military band'는 군악대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군악대 軍樂隊, military band
    군대의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서양식 악기 편성에 의해 설치된 악대.|내용 우리나라에서는 1900년(광무 4)에 처음으로 설치되었으며 시위대(侍衛隊)에 부속되었기 때문에 시위대군악대라고도 불렸다. 대장 1인, 부장 1인, 1등 군악수 3인, 2등 군악수 6인, 악수(樂手) 27인, 악공 12인, 서기 1인 도합 51인으로 발족...
    시대 :
    근대
    성격 :
    기관, 악단
    유형 :
    제도
    시행일 :
    1900년(광무 4)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군악대 Military band, 軍楽隊
    군악대(軍樂隊) 또는 군악단(軍樂團, 사기 진작과 홍보, 군인 정신과 애국심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야외 활동이 많기 때문에 금관과 목관 악기군과 일부 타악기로 구성성된 취주악단 편성이 주를 이루며, 편성은 나라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진다. 군악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16세기를 전후한 프랑스이며, 근세...
    도서 위키백과
  • 군악대 복식 軍樂隊 服飾
    제정 목적 1900년(광무 4) 12월에 군악대 설치령으로 군악대의 편제가 제정되었으며, 1901년(광무 5) 7월에 군악대 복식이 규정되었다. 이는 군악대의 첫 공연이 1901년 9월 고종 황제의 만수성절(萬壽聖節)에 있었기 때문에 이렇게 규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군악대는 황실 행사를 중심으로 동원되었다. 내용...
    시대 :
    근대/대한제국기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생활/의생활
  • 한양의 유흥가를 누빈 군악대 용호영의 리더, 이패두 李牌頭
    혼자 영업하기 힘들었으므로 기둥서방을 두거나 연희집단에 소속되었다. 이들을 통해서 춤과 노래를 비롯한 우리 전통예술이 전승되었다. 군악대가 상업적인 연주도 하던 시절 군악대는 물론 군사들의 용기를 북돋우기 위해 연주했지만, 후기에는 민간의 초청에도 동원되어 연주하였다. 용호영 악대는 25명, 총융청 악대...
    도서 조선의 중인들 | 태그 조선
  • 양악대 洋樂隊
    1907년 군대의 해산으로 군악대가 해산되면서 같은 해 11월 군악대가 개편되어 생겼다. 1896년 민영환이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서 군악대를 인상 깊게 보고 그 필요성을 역설하여, 1901년 일본 군악대를 20년 동안 지휘·지도한 독일인 지휘자 F. 에케르트가 지휘를 맡아 6월 발족되었다. 군악대 본연의 임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작은북 snare drum
    파고드는 듯하며 상대적으로 고음의 음향을 낸다. 근대 작은북은 나무, 베니어 합판, 금속 등의 원통으로 만들며 높이 13~30㎝, 지름 35~40㎝의 크기이다. 군악대에서는 필드 패턴 북, 또는 가드 패턴 북이라고 불리는 좀더 큰 형태의 북이 사용된다. 송아지 가죽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가죽면을 작은 손잡이가 있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큰북 bass drum
    북 중에 가장 크기가 크고 깊은 소리를 낸다. 군악대용 큰북은 가죽면이 2개 있고, 각각 가죽끈이나 금속 막대로 팽팽하게 조인다. 반면 대부분의 관현악단용 큰북은 가죽면이 1개이고 막대로 조인다. 그러나 가죽면이 2개 있더라도 대개 한쪽 면만을 사용한다. 현대의 대중음악 밴드에서는 페달로 작동되는 1개의 채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수자 John Philip Sousa
    널리 알려져 있다. 최초의 음악 경력은 14세 때 춤 밴드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한 것으로 시작되었다. 1868년에 미국 해병대 군악대의 견습생으로 들어갔고, 1880~92년 이 군악대를 지도해서 빈틈 없는 지휘자로 명성을 쌓았다. 1892년 군대음악과 일반 관현악에 능통한 정선된 멤버들로 자신의 악대를 처음 결성했고, 이...
    출생 :
    1854. 11. 6, 미국 워싱턴 D. C.
    사망 :
    1932. 3. 6, 펜실베이니아 레딩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서울 탑골공원 탑공원, 서울 塔골公園
    50전씩을 투입하여 정자·의자·화단·연못·회유도로·전등·수도·온실 등의 시설을 하였으며, 벚나무와 상록수를 심었다는 기록이 있다. 한편, 한국군의 군악대를 조직, 육성하기 위하여 독일인 에케르트(Eckert, F.)가 내한한 것은 1900년 가을이었는데, 그 해 「군악대설치령」이 공포되었다. 파고다공원 서쪽 부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뷰글 bugle
    음보다 아래의 C음(첫번째 배음, 혹은 기음)을 사용하여 지금보다 낮은 음을 연주했다. 각종 뷰글 신호를 공식적인 표로 처음 만들어 발표한 것은 1798년의 일이다. 군악대와 함께 연주하는 뷰글 행진곡이 출판되고 경가극에서 뷰글이 사용되었다는 점으로 보아 18세기말 뷰글 호른의 인기를 짐작할 수 있다. 181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관악기
  • 군례악 軍禮樂
    악기로 나(鑼), 큰 물소뿔로 만든 대각(大角), 주라(朱刺:붉게 칠한 대각의 일종)·점자(點子:소형 운라) 등이 보인다. 그리고 겸내취(兼內吹)로 불리던 군악대는 궁중의 선전관청(宣傳官廳)에 매여 행악(行樂)을 취주했는데, 행악에는 성문 안 행진과 성문 밖 행진이 중요한 행례(行禮)였다. 이 때에는 전부고취(前部...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1건

군악대
군악대
군악대
군악대
해군 군악대
구 한국군악대
구 한국군악대
육군 군악대
오스트리아의 군악대
군악대(1900년경)
 우리 나라 육군 군악대의 시가 행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