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군령 軍令, Military Command국방 목표 달성을 위하여 군사력을 운용하는 용병 기능으로서 군사 전략 기획, 군사력 건설에 대한 소요 제기 및 작전 계획의 수립과 작전 부대에 대한 작전 지휘 및 운용 등.
-
조령 / 군령 현판 操令 / 軍令 懸板유물설명 군령(軍令)과 조령(操令)을 각각 앞뒷면에 새긴 양편 현판이다. 세부적인 내용이 아닌 그 종류를 새긴 일종의 목록이라 할 수 있다. 군령은 1호부터 3호까지, 조령은 발방(發放)을 비롯하여 여러 진(陣)을 나열하였다. 두 현판은 군영에 걸었던 것으로 보이나 어느 군영의 훈련법인지, 어디에 걸었던 것인지...
- 분류 :
- 유물 > 현판
- 크기 :
- 가로: 90.4cmcm, 세로: 40.6cmcm
- 재질 :
- 잣나무
-
군령급조령 현판 軍令及操令 懸板유물설명 군령과 조령을 각각 앞 뒷면에 새긴 양면 현판이다. 앞면은 조령(操令)을, 뒷면은 군령(軍令)을 새겼다. 세부적인 내용이 아닌 그 종류를 순서대로 새긴 일종의 좌목이라 할 수 있다. 군령은 1호 부터 3호 까지, 조령은 군사훈련의 종류를 주간과 야간으로 나누어 각각 나열하였다.
- 분류 :
- 유물 > 현판
- 크기 :
- 가로: 90.4cmcm, 세로: 42.4cmcm
- 재질 :
- 잣나무
-
병조 兵曹병조 예하의 3개 속사에서 분담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처럼 병조는 군정(軍政)을 총괄하는 관서였다. 병조는 군정 업무와 별도로 군사의 지휘 계통을 뜻하는 군령체계(軍令體系)상으로도 중추적 위치에 있었다. 원래 군령기관으로는 의흥삼군부가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그러나 1405년에 병조가 승격되어 승추부를 흡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의흥삼군부 삼군부, 義興三軍府삼군부는 군사력이 거의 없고 10위가 그 통할을 맡을 뿐, 사병(私兵)이 혁파되기 전까지 이른바 삼군은 사실상 각 절제사에 영속(領屬)되어 있었다. 따라서 군령 · 군정기관이라고 하나 중앙군을 이루는 무반(武班) 군사들을 통할하는 데 불과하였다. 소속 기관으로는 진무소(鎭撫所)와 사인소(舍人所)가 있었다. 진무...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삼군도총제부 三軍都摠制府모든 군사 조직을 통할하였다. 당시 이성계(李成桂)는 삼군도총제사(三軍都摠制使)로 임명됨으로써 병권 장악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조선 건국 후 최고 군령 기관인 삼군도총제부는 1393년(태조 2)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이어서 1401년(태종 1) 사병(私兵) 혁파와 함께 승추부(承樞府)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중앙...
- 시대 :
- 조선 전기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391년(공양왕 3)
- 폐지일 :
- 1432년(세종 14)
- 시행처 :
- 병조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오위도총부 五衛都摠府통제를 꾀하였다. 그 뒤 1400년(정종 2) 사병을 혁파하고 고려시대 이후 군기(軍機)와 숙위(宿衛)를 장악한 중추원을 의흥삼군부에 합속시켜 병권의 합일과 군령체계의 정비에 큰 진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의흥삼군부는 1401년(태종 1)승추부(承樞府)로 개칭되었다. 이후 1405년 육조의 지위가 높아지고 기능이 강화됨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