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 Int..
    1949년 세계노동조합연맹(WFTU)에서 공산주의 계열 노동조합과 심각한 의견충돌을 빚은 끝에 탈퇴한 노동조합들이 만든 국제 노동조직. (프). Confederation Internationale des Syndi cats Libres(CISL).|'전세계 자유민주노동조합운동 사이의 협력' 보장을 목표로 내세웠다. 이 연맹의 주된 세력은 서유럽과 영국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 (관련어 국제 자유 노동조합 ..) 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Free Trade Union..
    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國際自由勞動組合總聯盟, ICFTU)은 국가 대표 노동조합이 모인 국가간 노동조합 연합 단체 중심으로, 성실한 노동조합 조직으로 외부 영향에 독립되어있고 민주적인 구조로 운영되었다. 1949년 창립되었으며, 2006년 해산되었다. 세계노동조합연맹에서 이념에 따라 분리되어 1949년 12월 7일 창...
    도서 위키백과
  • 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Free Trade Unions ..
    The 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Free Trade Unions (ICFTU) was an international trade union. It came into being on 7 December 1949 following a split within the World Federation of Trade Unions (WFTU), and was dissolved on 31 October 2006 when it merged with the World Confederation of Labour (WC...
  • 국제노동운동
    노동조합을 결집하여 세계노동조합연맹(WFTU)이 결성되었으나(1945), 마셜 플랜을 둘러싸고 내부 의견이 대립되어 분열되었다. WFTU로부터 탈퇴했던 조합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ICFTU)을 결성하여(1949) 반공산주의, 반세계노련의 입장을 내세워 세계노련과 첨예하게 대립했다. 그러나 반공을 제1원칙으로 하는 AFL...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디킨 Arthur Deakin
    임금교섭가였지만 노동당 정부의 임금제한정책을 지지했다. 완강한 반공주의자였던 그는 자신이 의장으로 있던 세계노동조합연맹(WFTU)에서 반공주의적인 노동조합들을 이끌고 나와 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ICFTU)이라는 경쟁조직을 창설하는 데 앞장섰다. 1951년 노동당 실각 이후에는 노동당내 나이어린 베번의 좌익그룹...
    출생 :
    1890. 11. 11, 영국 워릭셔 서턴 콜드필드
    사망 :
    1955. 5. 1, 레스터셔 레스터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운동가
  • 노동조합의 상급조직과 국제적 조직
    등이 있다. 또한 각종 국제조직들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대표적인 국제기구로는 '세계노동조합연맹'(World Federation of Trade Unions/WFTU)·'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Free Trade Unions/ICFTU)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기구는 상부조직인 만큼 조합이 이데올로기, 사상, 정치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세계노동조합연맹 WFTU, 世界勞動組合聯盟
    했다. 공산계와 비공산계 노동조합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냉전이 극심해지자 분열되고 말았다. 비공산계 노조는 WFTU를 탈퇴하여 1949년 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ICFTU)을 결성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노조들도 상당히 크지만 WFTU에서 가장 큰 가맹노조는 동유럽 국가들의 노조이다. 본부는 프라하에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한국노동조합연맹 한국노총, 韓國勞動組合總聯盟
    자유노동조합연맹으로 양분되었다. 대한노총은 1950년대부터는 친정부적 활동을 추진하여 이승만 정권에 적극적으로 협조하였다. 1960년 4·19혁명 이후, 11월 대한노총은 전국노동조합협의회와 통합하여 한국노동조합연맹(한국노련)으로 개편되었다가, 이듬해 1961년 5·16 군사쿠데타 이후 최고회의포고령 제6호에...
    설립 :
    1961년 8월
    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6길 26
    사이트 :
    http://www.inochong.org
  • 이탈리아 노동조합연맹 Unione Italiana ..
    조합원 수는 1980년대에 50만 명 이상으로 나타났다. 1950년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하던 이탈리아 최대 노조연합조직인 이탈리아 노동자동맹(CGIL)과 가톨릭계의 이탈리아 기업노동자동맹(CISL)에 반대하여 결성되었다. 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ICFTU)에 가입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전국민주노동조합연맹 全國民主勞動組合總 聯盟, Ko..
    등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체제인 1998년에는 당시 김대중 대통령 당선자의 제안으로 설립된 노사정위원회에 한국노동조합연맹과 함께 참여했으며 실업자 대책·고용안정·재벌해체 등을 내걸고 총파업을 전개했다. 1999년 8월 10일, 평양에서 북한의 조선직업총동맹과 남북노동자축구대회를 실시하는 등 통일운동...
    설립 :
    1995년 11월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
    사이트 :
    http://www.nodong.org
  • 세계교원조합연맹 世界敎員組合聯盟, World Federation..
    Educ-Intern])이 1948년 파리에서 개편된 것이다. 처음에는 사회주의 국가의 교원조직만이 아니라 자유국가의 교원조직도 가입했지만, 1949년 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이 탈퇴하여 따로 국제자유교원조합연맹(IFFTU)을 결성, 미국의 미국교원연맹(AFT)과 일본의 교원노조가 주도함에 따라, 세계교원조합연맹은 점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한국노동조합연맹 Federation of Kore..
    노동조합이다. 1946년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으로 발족하면서 피상적인 역사가 시작된다. 1960년 11월 한국노총으로 개칭했다. 1949년 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ICFTU)에 창립회원으로 참가했다. 본부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35번지이다. 노동자 대투쟁 직전인 1987년 6월 30일 당시에 2,449개 노조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