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제연합한국통일부흥위원회 UNCURK, 國際聯合韓國..국제연합한국부흥위원회(United Nations Commission for the Unification and Rehabilitation of Korea, UNCURK) 는 1950년 10월에 개최된 제5차 국제연합 총회의 결의에 따라 설립된 한국문제 전담기구. 개설 국제연합한국위원회(UNCOK)의 임무를 인수하여 통일·독립·민주 정부의 수립과 한국경제의 구제·재건을 ...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50년 10월
- 성격 :
- 국제기구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73년 12월 28일
- 분야 :
- 정치·법제/외교
-
유엔 한국통일부흥위원회 UNCURK, ..유엔 한국통일부흥위원회는 유엔 총회에서 1950년부터 1973년까지 한반도에 통일된 독립민주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한 기구이다. 위원회는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하자 유엔군의 승리를 전망한 미국의 주장에 따라 설치되었지만 사회주의권 대표들의 반대로 인해 활동의 제약을 받았다. 대표 위원들은 오스트레...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현대사
-
국제연합 한국통일부흥위원회 UN 한국통일부흥위원회, United Nations Commission for the Unification and Rehabilitation ..1950년 10월 6·25전쟁중에 개최된 제5차 국제연합 총회에서 설립된 한국문제 전담기구. 국제연합 한국위원회(UNCOK)의 임무를 인수하여 통일·독립·민주 정부의 수립과 한국경제의 구제·재건을 목표로 했다. 이 기구는 1968년 제23차 UN 총회 이래 공산권으로부터 매년 해체결의안이 제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주 ...
-
국제연합한국위원회 UNCOK, 國際聯合..90일 이내에 점령군이 철수하도록 조치한다. 한국전쟁 와중에 개최된 제5차 국제연합총회는 1950년 10월 ① 국제연합한국위원회의 임무를 인수하고, ② 한국의 통일·독립·민주정부를 수립하며, ③ 한국의 구조 및 재건을 임무로 하는 국제연합한국통일부흥위원회(UNCURK)의 설치를 결의하였다. 그 후 한국 통일문제의...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8년 12월
- 성격 :
- 국제기구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73년 12월 28일
- 분야 :
- 정치·법제/외교
-
국제연합 한국위원회 UN 한국위원회, ..6·25전쟁 발발 후 본부를 부산에서 도쿄[東京]으로 옮겼으나 미국측의 권고로 곧 귀환했으며 공산군 침략에 관한 보고서들을 UN에 제출해왔다. 국제연합 한국통일부흥위원회(UNCURK)는 1950년 12월 제5차 UN 총회에서 경제사회이사회 산하에 설치된 것으로 UNCOK에 이어 전 재민의 구제, 통일·민주정부의 성립 등을...
-
국제연합 유엔, 國際聯合있었으므로, 이사회의 조치들은 가능하였다. 같은 해 10월 총회는 우리나라의 통일과 독립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원조 및 재건을 임무로 하는 국제연합 한국통일부흥위원회(UNCURK)의 설치를 결의했다. 6·25전쟁 중에도 해마다 한국문제가 국제연합에 상정되었으나, 번번이 소련의 거부권행사로 방해를 받았다. 1953년...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외교
-
과학 科學신라는 통일을 이룩한 지 30여 년, 당대의 중국문화를 받아들여 왕조의 지배구조를 완성하고 나라의 가호를 불교신앙에 의하여 이룩하려는 의욕에서 불국사를 건립하기에 이른 신라문화의 전성기였다. 따라서 신라는 중국에서 새로 번역한 다라니경을 들여왔을 때 이를 여러 벌 인쇄할 필요를 절감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개신교 기독교, 改新敎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미국 대통령과 유엔 사무총장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였는데 구호사업과 유엔군 증파가 주된 요구 사항이었다. 그런데 전쟁의 와중에서도 한국 최대의 교파인 장로교는 분열을 거듭했다. 1952년 신사참배 거부자들을 주요 세력으로 하는 이른바 고려파(高麗派)가 교회의 순수성을 주장하면서 분립...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
대한민국의 대외관계국제연합(UN)은 1948년 12월 한국정부를 한반도에 있어서의 유일한 합법정부라고 선언했고, 북한의 침략에 대해 UN군을 파견했으나 북한을 지지하는 소련과 중국 등 공산권의 반대로 40년 이상이나 UN 회원국 가입을 저지당하는 수모를 겪어야 했다. 그러나 1989년에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이 붕괴하고 냉전체제가 종식...
-
유엔기념공원 UN記念公園국제연합간의 협정’이 체결되었다. 12월 1일 국회의 비준 동의를 거쳐, 12월 11일 한국이 국회 비준을 유엔 측에 통보함으로써 이 협정은 발효되었다. 이 협정...유엔 산하의 시설이 되었다. 1973년 11월 21일 유엔총회 의장이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의 해체 결의안을 제출했다. 이로써 유엔기념공원을 관리할 주체도...
- 시대 :
- 현대
- 유형 :
- 유적
- 분야 :
- 정치·법제/국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