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제연합환경계획 UN환경계획, Unit..
    국제연합(UN)의 환경계획을 지도·조정할 목적으로 1972년에 결성된 보조기구.|환경협력 증진을 위한 제반 정책들을 모기관에 제안한다. 환경오염 감시망인 지구관측소(Earthwatch)는 이 기구의 잘 알려진 활동 가운데 하나인데, 가입국들은 중대한 환경위험을 사정하여 이에 관한 대안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총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제기구
  • 유엔 환경 계획 (관련어 국제연합환경계획) United Nations ..
    유엔 환경 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또는 '국제연합환경계획'은 환경에 관한 유엔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구이다. 약칭은 유네프(UNEP)이며, 때로는 유넵이라고 칭한다. 1972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의 결정에 따라 1973년에 설립되었으며, 케냐의 나이로비에 본부를 두고 있...
    도서 위키백과
  • 유엔 환경 계획 금융 이니셔티브 United Nations En..
    관계자의 네트워크는 물론 금융기관 간의 국제적 네트워크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국제회의에서 다양한 부문 및 지역별 그룹에 참여해 국제적 어젠다를 작성...상업은행들과 유엔환경계획 기업 운영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에 책임질 것을 함께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1992년에는 유엔환경계획 금융기관...
    도서 위키백과
  • 국제연합환경개발회의 UNCED, 國際聯合環境開發會議
    조화를 추구하는 기본 강령과 이후 국제환경 협약의 철학적 기본 지침이 되는 27개 원칙 조항으로 되어 있다. ‘의제 21’은 21세기를 향한 환경보전 실천계획 또는 행동계획 수립의 지침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리우선언이 모범이라면 ‘의제 21’은 그 시행령의 근간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의제 21은 총 40장으로...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유엔 환경 계획 한국위원회
    환경계획의 아태지역사무소가 있으므로 이는 지역관할사무소이며 국가위원회라고 볼 수 없다. 국가위원회라는 이름은 대한민국 정부와는 직접적인 상관이 없으며...있으나 특별한 제재나 간섭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사실상 시민단체와 국제기구적 성격이 접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모든 유엔환경계획 국가협회...
    도서 위키백과
  • 국제연합 인간환경회의 UN 인간환경회의, 國際聯合人..
    연합 환경회의는 1972년 6월 5일부터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인간환경회의’이다. 이 회의 결과 국제연합 체제 내에 지구환경문제를 전담하는 국제연합 전문기구인 ‘국제연합 환경계획’(UNEP)이 설치되었고 유엔 인간환경선언이 채택되었으며, 세계 환경의 날 제정이 건의되었다. 같은 해 제27차 국제연합 총회에서...
  • 국제연합인간환경회의 UNCHE, 國際聯合人間環境會議
    국제연합체제를 구축하려는데 목적을 둔 이 회의에는 모두 114개국에서 1,200 여명의 각국 대표들이 참가했다. 역사적 배경 1968년 5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에서...유엔총회에서 개최를 결정하였다. 이후 이 취지에 따라 1970년 유엔 인간환경회의 제1차 준비회의에서 ‘유엔인간환경선언’이 채택되었으며, 1972년 유엔...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외교
  • 국제연합 인간환경회의 기념 국제연합 인간환경회의 심..
    우리나라를 포함한 130여 개국에서 공식대표 1,500명, 세계보건기구 등 국제연합의 각 전문기구 대표 400여 명 및 기타 국제기구 대표 650여 명이 모여서 다음과...천연자원 관리의 환경적 측면 3. 환경오염물질의 파악과 규제 4. 환경문제의 교육, 정보, 사회 및 문화적 측면 5. 개발과 환경 6. 각종 행동 계획과 관련...
    발행일 :
    1972.6.5
    발행량 :
    1500000
    종수 :
    1
    액면가격 :
    10원
    디자인 :
    국제연합 인간환경회의 심벌과 마가레트 꽃
    우표번호 :
    812
    인면 :
    23×33
    천공 :
    13
    전지구성 :
    10×5
    용지 :
    백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4도색
    디자이너 :
    김성실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UN 환경개발회의의 배경 UN 환경개발회의의 배경
    지구환경문제를 논의한 최초의 국제연합(UN)환경회의는 1972년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인간환경회의'인데 이 회의 결과 UN 체제 내에 지구환경문제를 전담하는 UN 전문기구인 'UN 환경계획'(UNEP)이 설치되었다. UNEP는 현재까지 지구환경 논의를 주도하는 UN 기구로서 '오존층 보호를 위한 몬트리올 의정서', '기후변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제사회
  • UN 환경개발회의의 주요 회의 결과 UN 환경개발회의의 주요 회의 결과
    환경보전의 불가분성 등이다. 의제21 21세기를 향한 구체적인 지구환경보전 실천계획으로서 4개 부문의 38개 실천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빈곤퇴치, 인구...민간 단체 등 주요 그룹의 역할을 다루고, 제4부에서는 재원, 기술이전, 교육, 홍보, 국제법, UN 체제개편 등 이행방안을 다루고 있다. 산림원칙 열대산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제사회
  • UN 환경개발회의의 주요쟁점사항 UN 환경개발회의의 주요쟁점사항
    실천계획을 이행할 수 없다는 점을 포함시켜 개도국의 입장과 선진국의 입장이 동시에 반영되었다. 반면 기술이전 문제에는 비교적 실질적인 방안에 합의했다...주체에 따라 공공기관소유 기술과 민간소유 기술로 구분하여 공공기관의 환경기술을 이전하는 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민간소유 기술에 대해서도 상호합의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제사회
  • 국제연합 지속개발위원회 UNCSD, 國際聯合 持續開發委員會
    국제협약의 제안이다. 셋째는 이 이념을 실천하기 위한 지침으로서 21세기 지구환경보전 강령인 ‘의제 21’의 작성이다. 이후 1994년 인구와 발전에 관한 국제회의(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가 카이로에서 열렸다. 이 회의에서는 183개국 대표들이 모여 환경문제 발생의 주원인인 인구...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외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