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사편찬위원회 국사관(國史館), 國史編纂委員會우리나라의 역사 연구에 필요한 각종 사료를 체계적으로 조사·수집·보존·편찬 보급함으로써 한국사 연구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 운영되는 국가 기구. 연원 및 변천 1946년 3월 국사관설치규정이 제정 · 공포되어 경복궁의 집경당(緝敬堂)에 국사관(國史館)이 처음 설치되었다. 1948년 대한민국정부가 수립...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국사편찬위원회, 国史編..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NIKH) is a South Korean national organization in charge of researching, collecting, compiling, promoting the study of historical materials on Korean history. It was established as Guksagwan (국사관 國史館) in March 1946, one year after the liberation of K...출처 영어 위키백과
-
『대동여지도』 「기장현 지도」[1861년, 국사편찬위원회] 大東輿地圖 機..[개설]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기장현 지도(機張縣地圖)」는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는 흑백본 『대동여지도』 중 기장, 양산, 울산부 일대 지도이다. 현재 남아 있는 『대동여지도』 목판에 이 일대의 목판이 남아 있으며, 채색되기 이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외에 국립중앙박물관...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國史編纂委員會 委員長)은 국사편찬위원회를 대표하는 직위이다. 차관급 정무직 공무원으로 보한다. (교육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18조 제2항) 위원장은 교육부장관의 명을 받아 소관 사무를 총괄하고, 소속 직원을 지휘·감독한다 허동현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이승만 정부 초대 신석호...도서 위키백과
-
임시사료편찬회 사료조사편찬회, 臨時史料編纂會책을 간행한 뒤 임시정부 내에 상설화되지 못하고 사실상 해산되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지니기도 했다. 한편 『한일관계사료집』은 1972년 국사편찬위원회가 미국 컬럼비아대학 극동도서관에서 처음 발견해 1974년 『한국독립운동사자료(韓國獨立運動史資料)』 제4권으로 활인 간행하고, 비슷한 시기에 고려대학교...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보각국사비첩 普覺國師碑帖서울대학교 규장각(奎章閣)본 · 영남대학교 동빈문고(東濱文庫)본 · 고려대학교 화산문고(華山文庫)본 · 전보삼본Ⅱ · 대동금석첩(大東金石帖)본 · 국사편찬위원회본의 12종 탁본이 실려 있다. 이후에 간송문고(澗松文庫)본이 추가로 공개되었다. 내용에 논란이 많은 음기의 복원본으로 《인각사보각국사비명첩》에...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한국사 韓國史서지적 사항 25책. 1만 1736면. 탐구당(探求堂)에서 번각·배포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1) 배경 국사편찬위원회에서 1970년대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한 사업이다. 광복 이후 25년 동안 우리의 역사를 연구해 왔으나, 이를 집대성한 한국사의 편찬은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국사편찬위원회
- 창작/발표시기 :
- 1973년∼1978년
- 성격 :
- 학술서, 역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5책
- 간행/발행 :
- 국사편찬위원회, 탐구당
- 분야 :
- 역사/근대사
-
장지영 ・ 김윤경 ・ 권덕규 말살되어가는 민족언어, 숭고한 희생으로 보존하다고유한 특징에 맞게 설정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한글의 독창성과 민족성에 주목한 견해로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온 민족관이 드러난다. 1952년 2월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1955년 7월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이 되어 국가의 지성으로 인정받았다. 4월 22일에는 “우리나라 글자 및 말의 역사적 변천을...
- 출생 :
- 장지영 1887년, 서울김윤경 1894년, 경기권덕규 1891년, 경기
- 사망 :
- 장지영 1976년김윤경 1969년권덕규 1950년
- 포상훈격 :
- 장지영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김윤경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권덕규 2019년 건국훈장 애국장
-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8부 밖에 두지 않았다. 광복 후 국내외를 막론하고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자들이 많아졌다. 이에 따라 실록 보급의 필요성도 절실해져서 국사편찬위원회에서 1955∼1958년까지 4년 동안 태백산본을 8분의 1로 축쇄, 영인하여 A4판 양장본 48책으로 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국내 각 도서관은 물론 구미...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