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조기능주의 교육학 構造機能主義敎育學, struct..
    교육학 고유의 이론이라기보다는 사회학, 나아가 사회과학의 일반이론으로부터 유추되어 사용되고 있는 이론이다. 구조기능주의 교육학 관점에서 보는 교육의 기능은 기존 사회의 문화를 자라나는 세대에 전수하는 사회화와 사회 각 분야의 역할을 뽑아서 배치하는 사회적 선발이라고 본다. 그러나 구조기능주의 교육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학문
  • 구조주의 vs. 기능주의 현상을 이해하려면 분석해야 하는가? 기능을 알아야 ..
    심리학, 기능주의는 다양한 응용심리학 분야에 적지 않은 흔적을 남겨놓았다. 참고로 structuralism을 구조주의가 아니라 구성주의라고 번역하기도 하며...복잡한 정신세계를 최소 단위의 구성 요소로 환원하고자 했던 티치너의 학파다. 현존하는 구조주의자들은 없다. 반면에 인간의 인지와 학습, 교육 과정에서 언급...
  • 갈등주의 교육이론 葛藤主義敎育理論, conflict theory of education
    이해를 달리하는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되며 교육 역시 이러한 힘의 관계를 반영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사회를 안정지향적·균형지향적 구조로 이해하는 구조기능주의 교육이론과는 반대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S. 보울스, H. 긴티스, L. 알튀세, M. 애플, M. 카노이 등의 마르크스주의자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한국의 가족
    관계는 부모의 이해와 자녀의 이해, 둘 모두가 고려되어야 한다. 어머니가 양육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것이 자녀 성장에 바람직하다는 모성 이데올로기와 구조 기능주의 가족관은 부성의 욕구를 무시하며 어머니의 다른 사회적 욕구와 이해를 무시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최근의 가족 사회학·여성학·교육학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 잠재적 교육과정 潛在的敎育課程, latent curriculum
    대한 교육학적 사고가 세련됨에 따라 교과에서 의도한 바와 관련 없는, 또는 상반되는 학습결과에 주목하게 됨으로써 등장하게 되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교과의 범위를 벗어난 일상의 학교생활에서 학교의 계획과 의도와는 관계없이 학생들이 가지는 경험들이 허다하며 이러한 경험들은 학교교육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민족학 Ethnology, 民族学
    경로와 교육학 교리를 따라 발전해 왔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문화 인류학이, 영국에서는 사회 인류학이 지배적이 되었다. 세 용어의 구분이 점점 모호해지고 있다. 민족학은 18세기 후반부터 특히 유럽에서 학문 분야로 간주되어 왔으며 때로는 인간 집단에 대한 비교 연구로 간주되기도 한다. 15세기 유럽 탐험가들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