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설화·구전문학유럽인들이 최초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을 만났을 때만 해도 이들은 글을 갖고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들의 노래·영가·전설·이야기들은 일종의 구전문학에 속한다. 20세기 후반에 비로소 연구가 시작된 이 구전문학은 섬세하고 복잡한 특징을 보여준다. 원주민들의 구전문학은 본질적으로 의례적인 기능을 갖고...
-
Oral tradition 구전, 口承Oral tradition and oral lore is cultural material and tradition transmitted orally from one generation to another.Vansina, Jan: Oral Tradition as History, James Currey Publisher reported statements from present generation" which "specifies that the message must be oral statements spoken, sung or ...출처 영어 위키백과
-
구전가요 口傳歌謠개설 ‘구전가요’라는 용어를 그대로 풀이하면 입으로 전승되는 노래이다. 그러나 전근대시대에 구비전승(口碑傳承)되는 방식의 노래인 민요(民謠)를 구전가요라고 지칭하지 않으므로, 구전가요라는 말은 주로 근대 이후의 구비전승되는 노래에 한정되어 쓰인다. 따라서 구전가요는, 민요와 같은 구비전승 노래의 특성...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대중음악
-
아리랑개설 아리랑은 ‘아리랑……’ 또는 ‘아라리……’ 및 이들의 변이를 여음(후렴 또는 앞소리)으로 지니고 있는 일군(一群)의 민요로, 아리랑이라는 명칭은 이들 여음에서 비롯하고 있다. 아리랑은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널리 퍼져 있어서 이른바 「독립군아리랑」을 비롯하여 「연변아리랑...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조선구전민요집 朝鮮口傳民謠集『조선구전민요집(朝鮮口傳民謠集)』 의 서지사항 『조선구전민요집(朝鮮口傳民謠集)』의 판형은 A5판이고, 전체 688면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 민요 자료집이며, 원 표제는 ‘언문조선구전민요집(諺文朝鮮口傳民謠集)’이다. 1933년 국내 출판업자들의 거절로 일본 동경 제일서방(第一書房)에서 발간하였고, 1945년...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도서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정영제구전갚게 될 것이니 아직 드러내지 말라고 지시한 일을 이야기한다. 한승상은 진나라에 들어온 정영과 조무 일행을 만나게 된다. 의의와 평가 이와 같이, 「정영제구전」은 정영과 공손저구가 보여준 인간으로서 해내기 어려운 충의대절과, 억울하게 죽은 조삭 일문의 원수를 어렵게 살아난 아들 조무가 갚는다는 이야기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고전소설
- 유형 :
- 작품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소장/전승 :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