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와관절 球窩關節, ball-and-socket joint
    척추동물 뼈의 둥글게 생긴 끝이 다른 뼈의 움푹 파진 홈 속에 들어가 움직이는 관절의 일종. 구상관절이라고도 함.|다른 어떤 관절보다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사람과 같은 포유류의 어깨나 대퇴관절에 가장 잘 발달되어 있는데 팔이나 다리를 여러 방향으로 흔들 수 있으며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근골격계
  • 절구 관절 (관련어 구와관절) Ball-and-socket joint, 杵臼關節
    해부학 정보 절구 관절(ball-and-socket joint, spheroid joint, 구상관절, 구와관절, 절구공이 관절, 보올 소켓 연결, 볼 조인트로도 불림)은 한 둥근 뼈의 공 모양 표면이 다른 뼈의 컵 모양 오목한 부분에 맞는 윤활관절의 한 유형이다. 원위 뼈는 하나의 공통 중심을 갖는 무한한 수의 축 주위로 움직일 수 있다. 이...
    도서 위키백과
  • 관절 關節丘, condyle
    [1] 일반적으로 척추동물의 관절에서 오목한 곳, 즉 관절와(acetabulum, cavity)와 관절을 형성하는 공모양의 돌출부분. 대퇴골 등에 잘 발달되어 있다. [2] 곤충에서 주로 큰턱 기부에서 머리부분과 관절을 이루는 돌출물.
  • occipital condyle 후두관절구 후두과, 後頭關節丘
    두골의 뒤쪽에 있는 뼈의 돌기. 제1추골(환추골)과 관절을 형성한다. 대부분의 어류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파충류와 조류에는 1개, 양서류와 포유류에는 2개 존재한다.
  • 스포츠 손상과 안전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진통 소염제가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에 증상이 호전되기 때문에 수술까지 필요한 경우는 드물지만, 상완 이두건 재건술, 장두건의 절단 및 고정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족관절(발목 관절) 손상 최근 생활 스포츠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더불어 증가하고 있는...
  • 구체관절인형 BJD, 球體關節人形
    개요 관절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인형을 일컫는다. 얼굴 모양이나 인체 비례가 실제 인체와 유사하다. 인형의 관절 부위에 둥근 볼(Ball)을 넣어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했다. 인형의 각 관절은 분리할 수 있으며 팔다리와 몸을 줄로 연결하여 정교하게 제작한다. 일반적인 인형보다는 높은 연령대의 소비자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취미
  • 고관절 Hip joint
    관골구와 태퇴골의 대퇴골두를 연결하는 관절입니다. 위치 골반과 다리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관절은 하지를 이루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구조...만나는 부분을 관절이라 합니다. 그 중 고관절은 골반의 컵모양으로 생긴 비부분과 대퇴골의 둥그런 머리부분이 만나 형성된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
    관련 질환 :
    골관절염, 대퇴골절, 변형성 고관절증, 고관절이형성증, 일과성고관절활액막염
    관련 인체 :
    골반, 대퇴골
    관련 검사 :
    비중격 교정술, 자기공명영상, 인공 고관절 치환 수술, 초음파 검사
    도서 인체백과 | 태그 근골격계 , 건강 , 인체
  • 경골 정강뼈, 脛骨
    있는 대퇴골의 관절구와 관절을 이루게 된다. 무릎골(patella)의 인대가 경골 앞쪽에 있는 경골조면에 붙어서 완전한 무릎관절을 이룬다. 바깥쪽에 있는 관절는 더 크며 비골과도 관절을 이루고 있다. 골간(shaft)을 수평으로 자르면 거의 세모꼴이 되며, 여기에 붙어 있는 근육이 미치는 힘 때문에 자국이 생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근골격계
  • 구체관절 인형 Ball-jointed doll, 球体関節人形
    관절 인형은 파츠들을 연결할 때 '관절'와 장력이 있는 고무줄인 '텐션'을 이용한 것이 핵심으로, 구체관절 인형 제작자들은 바디의 가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꼭 동그란 공 모양이 아닌 여러가지 모양의 관절를 채택하고 있다. 구체관절 인형의 조형 종류에는 리얼계 몰드, 애니계 몰드, 아니메 몰드 등이 있으며, 10...
    도서 위키백과
  • 아크 플래닛 (, 어몽더독)
    아크 플래닛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가좌리에 위치한 애견카페이다. 반려견들의 관절을 생각해 실내 운동장 전체에 푹신한 미끄럼 방지 매트를 설치했다. 냉난방기가 있어 4계절 내내 날씨와 상관없이 사랑하는 반려견과 함께 따뜻하고 시원하게 즐길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스튜디오 못지않은 10가지 다양한 포토존이...
    위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근곡로107번길 29
  • 대퇴골 넙다리뼈, 大腿骨
    뼈의 머리는 관절절구(acetabulum)와 함께 구와관절을 이루는데 대퇴골머리인대(ligamentum teres femoris)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사람에게서는 대퇴골목이 대퇴골머리(大腿骨頭)와 대퇴골몸통(骨幹部)을 125°의 각이 되도록 연결시켜 주므로 효율적으로 걸을 수 있다. 대퇴의 제일 윗부분 바깥쪽의 대퇴골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근골격계
  • 어깨 shoulder
    아예 없어서 상완골(humerus)이 앞쪽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어깨의 주요관절관절오목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 즉 상완골이 견갑골 안으로 들어간 구와관절이다. 어깨는 유연하므로 두더지가 땅을 파거나, 영양이 달리거나, 긴팔원숭이가 나무에 매달리거나, 새가 날아가는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인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