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비문학 구전문학, 口碑文學
    말로 된 문학. 글로 된 문학인 기록문학과 구별된다. 구전문학·구술문학·유동문학·적층문학이라고도 한다.|문자를 사용하기 이전이나 문자를 사용할 수 없었던 사회에서 생성·전승된 구비문학은 그 질과 양에서 문학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 기록문학과 대비되는 몇 가지 성격을 살펴보면 구비문학의 특성이 분명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구비문학 口碑文學
    구비문학은 말로 정착된 문학이다. 구전문학이라고도 한다. 구비는 비석에 새겨 놓은 것처럼 오래도록 전해온 말을 뜻한다. 구전되는 것 중에서 설화·민요·무가·판소리·민속극·속담·수수께끼만이 구비문학에 포함된다. 기록문학이 생기기 이전부터 있었으며 기록문학을 낳은 단초이기도 하다. 한문 전래 이전의 국...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구비문학
  • 구비문학 구전문학, 口碑文學
    구비문학은 말로 전승된 문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구비문학은 설화,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속신어 등으로 분류된다.|개념과 정의 구비문학은 말로 전승된 문학인 설화,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속신어 등의 문학을 연구하는 문학의 분과 학문이다. 구비문학은 입을 통...
    분류 :
    인문학 > 문학 > 구비문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민속학 (동의어 구비문학) 民俗學, folklore
    대체로 문맹률이 낮고 과학기술이 발달한 사회 내에 예로부터 전통적으로 구전이나 모방을 통해 전해내려오는 문학과 유형문화재 및 하위문화들의 관습을 연구하는 학문.|문자를 갖지 않았거나 문맹률이 높은 사회의 민간전승을 연구하는 것은 민족학(ethnology)과 인류학(anthropology)에 속한다. 민속학이라는 용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학문
  • 고전 문학 (관련어 구비문학) 古典文學, classical literature
    모든 언어권에서 불후의 작품들을 낳은 시대의 문학을 지칭하는 말.|고전 문학의 영역은 크게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으로 나누어진다. 고대의 문학은 고조선의〈건국 신화>, 부여·고구려계의 〈동명왕 신화>, 신라의 〈박혁거세 신화> 등 신화·서사시가 주를 이룬다. 삼국 시대에 한문을 사용하면서 한국 문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구비문학 작품과 자료
    구비문학은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생성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그 자료가 보존되지 못하고 사라져버렸기 때문에 작품이 그리 많지 않다. 구비문학을 가장 원형에 가깝게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은 문자로 기록해두는 것이다. 구비문학이 기록된다고 해서 전승이 중단되거나 본질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한국구비문학대계 韓國口碑文學大系
    발간 경위 『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가 간행되기 이전의 구비문학자료 조사로는 문화공보부(현,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관리국(현, 국가유산청)이 주관하고 한국문화인류학회가 대행한 『한국민속종합보고서』가 있었다. 그러나 조사 지역이 한정적이었고 채록 보고된 자료의 양도 매우 적었다. 그 밖에도...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도서
    분야 :
    문학/구비문학
  • 구전문학 (관련어 구비문학) Oral literature, 口承文学
    문학 구전문학 (口傳文學)은 구비문학(oral literature), 연설(orature) 또는 민속문학(folk literature, 민간문학)은 많은 구비문학이 전사되었지만 쓰여진 것과 대조적으로 말하거나 노래하는 문학 장르이다. 전설, 역사가 음성 형태로 포함된다. 구전문학은 언어예술의 하나로 문자화되지 않고, 말로써 전승(傳承)된 ...
    도서 위키백과
  • 묘족의 문학과 예술과 과학기술
    구비문학 묘족의 구비문학은 설창(说唱)의 형식으로 민간에서 전해지고 있다. 원고 시기, 묘족들은 진솔하고, 소박한 형식으로 천체운행, 천문현상변화, 사물생멸의 도리를 해석한 수많은 신화들을 만들어냈다. 구전되어온 신화는 검동남(黔东南) 지역의 『개천벽지(开天辟地)』, 『타주청천(打柱撑天)』, 『주조일월...
    분류 :
    묘요어족 민족 > 묘족
  • 구비문학대계 口碑文學大系
    7-, 경상남도는 8-, 제주도는 9-, 보유편은 10-이다. 각 권 서두에 조사지역 개관을 실어 해당 시·군의 역사적 유래, 사회적·문화적 상황, 민속과 구비문학의 특징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조사기간 및 일정 그리고 조사자를 밝혔으며, 제보자의 직업·성격·태도 등을 구체적으로 쓰고 제공한 자료의 목록도 제시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구전 (관련어 구비 문학) Oral tradition, 口承
    다른 뜻 구전, 또는 구비(口碑)은 어떤 사회에서 역사나 문학작품, 법률 또는 지식 따위를 글이나 문자를 쓰지 않고 대대로 전승하는 방법이다. 문자가 발명되기 전이나, 글의 혜택에서 소외된 계층에서 이루어진 전승법이다. 서양에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나 《오디세이아》 같은 서사시가 있고, 한국에는 판소리나...
    도서 위키백과
  • 구비문학 연구의 성과와 의의
    구비문학의 조사·연구는 17세기경 동양의 중세적 단일 문화인 한문문화에서 벗어나 민족문화를 부각시켜야 한다는 자각이 일어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런 운동이 근대 민족문화를 수립하는 데 이르기 전 일제에 의해 나라가 강점되면서 제국주의적 연구와 민족주의적 연구가 대결하게 되었다. 해방 후에는 얼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구비문학 중 판소리 공연 장면.
구비문학대계
구비문학대계
더보기